d라이브러리
"공학"(으)로 총 5,957건 검색되었습니다.
- Intro. 튼튼한 건물부터 똑똑한 로봇까지! 종이의 놀라운 변신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4호
- 내 취미는 종이로 장난치기! 낙서도 하고, 종이접기도 하고, 휴지를 북북 찢어서 날리기도 하지. 종이는 싸고 흔해서 장난치고 버리기 딱 좋아!어? 뭐야? 내가 방금 낙서하고 버린 종이가 커지더니 날 태우고 하늘을 날잖아!▼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튼튼한 건물부터 똑똑한 로봇까지! 종이 ... ...
- Part 3. 마음대로 접히는 종이의 무한 변신!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4호
- 앞으론 종이를 얕잡아보면 안 되겠어. 그러고 보니, 어릴 땐 종이를 오리고, 접고, 그림을 그려서 이것저것 많이 만들곤 했지. 이걸 과학에 이용할 순 없을까?종이 로봇, 좁은 틈으로 쏙~!종이가 로봇이 된다면 저렴하면서 가볍고, 변신까지 가능한 로봇이 되겠죠? 미국 하버드대학교 로버트 우드 교 ... ...
- Part 2. 시민과학과 드론으로 모기를 감시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4호
- 휴대전화로 모기를 감시하는 시민과학 프로젝트말라리아, 뎅기열 등 모기는 무서운 질병을 옮기는 ‘질병매개곤충’이에요. 전세계 각국에서는 모기를 통해 전파되는 질병을 관리하기 위해 1년 중 언제 어떤 모기가 나타나는지, 실제로 병원균을 갖고 있는지 등을 감시하고 있어요.그런데 시민들 ... ...
- Part 1. 종이 기둥으로 건물을 짓는다? 종이건축!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4호
- 종이를 타고 한참을 날아가자 저 멀리 건물이 보이기 시작했어. 도대체 종이는 나를 왜 여기로 데리고 온 걸까? 그런데 잠깐, 저 건물에 세워진 기둥이 뭔가 이상한데…. 저건 설마 종이?종이로 건물을 지을 수 있을까요? 건축에서 가장 중요한 건 안전이에요. 그래서 콘크리트나 철근처럼 단단한 재 ... ...
- Part 5. 돌돌 말아서 척! 종이로 사람의 몸속을 그려낸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4호
- 오징어로 만드는 종이라니, 종이는 정말 다양하구나. 그런데, 종이의 변신이 아직도 남아 있다고? 종이로 몸속을 실감나게 만들 수도 있다지 뭐야. 함께 보러 가지 않을래?종이는 색과 재질이 다양하면서도 다루기 쉬워서 미술 재료로도 많이 활용돼요. 미국의 예술가 리사 닐슨은 작은 종잇조각을 ... ...
- [과학뉴스] 유튜브로 공부한 AI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말 한 마디로 조종이 가능한 로봇의 탄생이 멀지 않았다. 오성회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교수팀은 사람의 말과 행동 간의 관계를 스스로 습득하는 인공신경망인 ‘텍스트투액션(Text2Action) 네트워크’를 개발했다. 이 인공신경망에 사람의 행동을 설명하는 문장을 입력하면, 스스로 언어와 행동 ... ...
- [시사기획] 北 생화학 무기 개발, 어디까지 왔나과학동아 l2017년 12호
- 기상천외한 생물 무기가 탄생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북한은 1990년대부터 꾸준히 생명공학 연구에 투자하고 있다. 2000년대 초반에 이미 감자 바이러스의 외피 단백질을 생산하는 유전자를 조작해 바이러스에 저항성이 있는 유전자 조작 감자를 만드는 실험을 하기도 했다. 예방의학 관점에서 ... ...
- [Culture] 4차 산업혁명의 핵심은 인간의 마음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코세라’에서 세계인을 대상으로 명상 강좌인 ‘인간완성을 위한 자아성찰, 공학적 구현’을 진행했다. 이 강좌를 통해 명상을 체험하고 긍정적인 효과를 얻었다는 e메일이 전 세계에서 날아 들었다. 독자 여러분도 마음빼기 명상을 통해 자기 자신을 돌아보고 미완성에서 완성으로 가는 즐거움과 ... ...
- [Career] 원자로 안전 책임질 설계 프로그램 ‘맥카드’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연쇄반응을 제어하는 것이 원자로 안전을 결정하는 핵심 기술이다. 심형진 서울대 원자핵공학과 교수는 중성자의 움직임을 예측해 원자로의 안전성을 높이는 기술을 개발했다. 원자로 안전은 핵분열 연쇄반응 속도 제어가 핵심얼핏 생각하면 에너지가 큰 중성자가 핵분열 반응을 잘 일으킬 것 ... ...
- [수학뉴스] 뉴욕에서도 인정받은 허준이 박사수학동아 l2017년 12호
- 파이널리스트를 선정해요. 허 박사가 상을 받은 물리학 및 공학 분야는 수학, 물리학, 공학 연구자 중 수상자를 정하지요. 전국 부문은 미국 전 지역에 있는 젊은 교수를 대상으로, 지역 부문은 뉴욕, 뉴저지, 코네티컷 세 지역의 박사후과정 연구자를 대상으로 수상자를 뽑습니다. 올해 지역 ... ...
이전15115215315415515615715815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