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간격
길거리
사이
길
틈
가로
틈새
d라이브러리
"
거리
"(으)로 총 4,485건 검색되었습니다.
“아라온 호, 극지 심해서 자원 확보한다”
과학동아
l
200908
남극 대륙 주변부에 있어요. 대륙에 가면 빙하, 고층 대기, 자기장처럼 좀 더 다양한 연구
거리
를 만날 수 있습니다. 세종 기지는 해양 연구 중심으로 특화하는 게 바람직합니다.”한국 최초 쇄빙선 아라온 호의 어제와 오늘, 그리고 내일을 책임지고 있는 남상헌 실장. 그가 그려 나갈 한국 극지 ... ...
빛과 전자가 만나 광정보통신 세계 연다
과학동아
l
200908
아직까지 수백μm에서 1mm 정도에 그치기 때문이다. 이 교수는 “플라즈몬파의 신호 전달
거리
를 늘리는 일이 연구단이 앞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라고 말했다.이 교수는 자유로운 분위기에서 연구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려고 노력한다. 예를 들어 연구단에는 출퇴근 시간이 딱히 정해져 있지 않다. ... ...
점점 작아지는 베텔게우스
과학동아
l
200907
측정해온 자료를 공개했다. 1993년 당시 이 별의 반지름은 5.5AU(1AU는 지구에서 태양 사이의
거리
, 약 1억 5000만km).최근 측정 결과 이보다 15%가 작아졌다는 게 연구팀의 설명이다. 금성의 궤도만 한 면적이 사라졌다는 뜻이다.1964년 노멜물리학상 수상자인 타운스 교수는 “매우 놀라운 변화”라며 ... ...
[입학사정관제] 입학사정관제에 대한 우려와 전망
과학동아
l
200907
정착 단계에 들어서게 되더라도 고교와 대학의 연계라는 선진적 대학입시 모델과도
거리
가 멀어지게 된다. 결론적으로 시대착오적인 교육과정을 해결하지 않은 채 입학사정관제를 전면적으로 확대 시행한다면 고등학교는 대학 진학률에 큰 타격을 입을 것이다.입학사정관제가 안착되기 위한 ... ...
제3세대 컴퓨터입력장치 '펜앤마우스 블루'
과학동아
l
200907
돼 편리하다.무선 광마우스인 펜앤마우스 블루는 블루투스 통신 방식을 이용해 최대 15m
거리
까지 사용할 수 있다. 블루투스 방식은 진동수 대역을 나눠 고유한 신호를 보내기 때문에 혼선될 염려가 없고, 수신기의 위치나 신호를 수신하는 각도에 상관없이 수신률이 높은 장점이 있다. 펜앤마우스 ... ...
아이스 에이지
과학동아
l
200907
기후학자들은 지구의 기후 사이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큰 요인으로 태양과 지구의
거리
를 들고 있다. 이 주장은 처음 제기됐던 19세기 말 당시 엄청난 센세이션을 불러 일으켰다. 그 이유는 대학에서 정식 교육을 받은 적이 없는 어느 대학 수위의 주경야독에서 비롯됐기 때문. 제임스 크롤은 ... ...
한국도 2020년 달에 간다
과학동아
l
200907
연구단은 관측 장비를 가벼우면서도 전력을 적게 쓰는 형태로 개발하고 있다. 특히 먼
거리
에서도 지구 자기장을 자세히 관측할 수 있도록 감지기의 성능을 높이는 데 주력하고 있다.국내에서는 달 표면에 널린 흙으로 콘크리트를 만드는 연구도 진행 중이다. 최근 한양대 토목환경공학부 이태식 ... ...
나로 호 성공, 발사 뒤 5초에 달렸다
과학동아
l
200907
쫓을 수는 없다. 배가 해안에서 멀어지면 수평선 너머로 사라지듯이 발사체도 장
거리
를 날면 지구 저편으로 사라져 쫓을 수가 없다. 센터와 제주에 있는 레이더가 한계를 보이는 1600km 지점을 전후해 해경 선박이 추적 임무를 넘겨받는 이유다. 나로 호는 발사장에서 2055km까지 날아가 위성을 분리할 ... ...
손가락 굵기에 도전하는 LED TV
과학동아
l
200907
있다”며 “하지만 LED에 오목한 렌즈를 씌우면 빛이 넓게 퍼져 나와 광원과 화면 사이의
거리
를 좁힐 수 있다”고 말했다. LG는 이 방식을 세계 최초로 개발해 직하방식으로는 세계에서 가장 얇은 두께 24.8mm짜리 LED TV ‘LG LH93 시리즈’를 만들었다.LG전자 LED TV개발팀은 “당분간은 얇게 만들기 쉽고 ... ...
[culture] 한여름 보양식의 제왕 뱀장어
과학동아
l
200907
몸 옆면을 따라 여섯 개의 아가미구멍이 늘어서 있는 겉모습도 전형적인 장어류와는
거리
가 멀다. 이태원 교사는 서울대 대학원에서 세포생물학으로 석사학위를 받았으며, 우리나라 전통 문헌에 나타난 과학 관련 내용에 관심이 많다. 저서로 조선후기 학자 정약전의 어류학서 ‘자산어보’를 ... ...
이전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