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존재"(으)로 총 2,012건 검색되었습니다.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약이 되는 독액 이야기2018.09.04
- 추정되는데 현재까지 실체가 확인된 건 0.1%도 안 된다. 독성 펩티드가 1000만 가지 이상 존재할 것으로 보이는 거미류의 경우는 0.01%에도 못 미친다. 독샘의 펩티드 유전자 전사체(transcriptome) 분석과 독액의 펩티드 단백질 분석 기술이 눈부시게 발전하면서 앞으로 얼마나 많은 놀라운 약물들이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왜 남이 하는 건 항상 쉬워 보일까?2018.09.01
- 것은 왠지 쉬워 보인다는 것이다. 그만큼 우리는 어떤 성과를 볼 때 그 성과가 있기까지 존재했을 노력, 인내, 좌절을 함께 떠올리기보다 그냥 성과만을 바라보고 있는 것일지도 모르겠다. 특히 ‘남’이 한 것이라면 더더욱. 내가 잘 한 일은 나의 노력과 재능 덕분(내적 귀인)이지만 타인이 잘 한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뱃살의 과학2018.08.28
- 환경에서 건강에 도움이 되는 음식을 선택하게끔 인도하는 몸의 지혜 같은 것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주장한다. 어린이가 유해한 음식에 노출되지 않게 하는 규제는 당연하고 시급하며 특히 “가장 먼저 학교에서 경쟁보다는 건강에 중점을 두는 체육교육이 의무화되어야 한다”고 촉구했다.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여성을 믿지 못하는 사람들 2018.08.18
- 여성을 향한 불신이 강하고, 여성은 겉과 속이 다른 이중적인 존재라거나 알 수 없는 존재라는 등의 잘못된 사고방식을 강하게 내비친다는 점이다(Marshall & Moulden, 2001; Polaschek & Gannon, 2004). 여성들이 자신의 인생을 망쳐가면서까지 없는 범죄 사실을 만들어서 무고한 남성의 삶을 망치려고 한다는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진짜와 가짜를 구분하는 능력이 중요하다 2018.08.11
- 의미 있는 말과 의미 없는 말을 구분할 줄 아는 것은 아니어서 여기에는 ‘개인차’가 존재한다. 최근 PLOS One에 실린 한 연구에 의하면 아무 말을 구분할 줄 아는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들 사이에는 다음과 같은 차이가 있었다. 비교적 나이가 많고, 교육수준이 높고, 수학 계산 능력이 좋으며,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갈색지방 속 ‘숙신산’서 다이어트 효과 찾았다2018.08.07
- 한다고 여겨지지는 않았다. 그런데 최근 구연산이나 숙신산 같은 물질이 혈액 중에도 존재한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이들이 신호분자 같은 또 다른 역할을 한다는 증거가 나오고 있다. 근육에서 만들어져 혈관을 타고 이동 연구자들은 대사체학 분석 결과 갈색지방조직에 유독 숙신산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정자에 왜 후각수용체가 있을까?2018.07.31
- 가운데 인식하는 분자를 알고 있는 건 10% 수준에 불과하다. 그나마 대다수는 후각상피에 존재하는 수용체에 달라붙는 냄새분자들이다. 반면 개체 내 또는 개체 간에 신호를 주고받는 관점에서 후각수용체와 인식하는 분자가 규명된 건 몇 개에 불과하다. 아직 갈 길이 멀다는 말이다. 그럼에도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우리의 몸은 조금도 잘못되지 않았다2018.07.28
- 비교적 덜 겪는다는 연구가 있었다(Webb et al., 2016). 성별에 따른 이중잣대와 차별에 존재하는 상황에서 차별을 내면화하지 않고 부끄러움으로부터 자유롭기란 쉽지 않은 일이다. 하지만 맛있는 음식을 먹으며 행복해 하는 여성들이 주인공인 방송들이 점점 인기를 얻고 있는 등 쓸데없는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고기를 향한 무서운 열망... 어떻게 해결할까? 2018.07.24
- 정당화할 수 있을 것이다. 아무튼 책을 읽으며 소뿐 아니라 돼지, 닭 같은 가축들이 한 존재로서 최소한의 존중을 받다가 삶을 마무리했으면 하는 소망이 간절해졌다. 무섭게 늘고 있는 중국의 육류소비 학술지 ‘사이언스’ 7월 20일자에는 오늘날 가축 대다수가 구조적으로 이런 삶을 살 수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코알라는 어떻게 유칼립투스 잎만 먹고 살까 2018.07.17
- 게놈 분석 결과 코알라에는 MM1이라는 고유한 유전자가 있고 젖에 그 산물인 단백질이 존재했다. 연구자들은 이 단백질이 항미생물 활성을 띨 것으로 추측했다. 코알라가 외래종에서 옮은 병원체에 취약한 이유도 게놈 분석을 통해 어느 정도 밝혀졌다. 호주 퀸즈랜드의 야생동물 병원의 경우 ... ...
이전15015115215315415515615715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