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디엔에이
유전자
d라이브러리
"
DNA
"(으)로 총 1,897건 검색되었습니다.
Ⅳ. 수학적 사고가 미래 생물학을 지배한다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각광을 받고 있을까. 인간게놈프로젝트 때문이다. 애초에 사람과 몇가지 모델동물들의
DNA
염기서열을 모두 밝히는 것이 출발점이던 인체게놈프로젝트는 여러가지 파급효과를 가져왔다.이 가운데 하나는 다양한 방식으로 대규모 정보를 생물체로부터 얻는 일들을 수행하려는 움직임이다. 예를 들어 ... ...
인간복제는 시간문제 복제양 돌리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복제하는데 성공했다. 서울대 수의학과 황우석교수팀이 젖소의 자궁세포에 들어있던
DNA
를 복제해 어린 젖소를 출산시킨 것이다. 이 복제젖소의 이름은 ‘영롱이’라고 붙여졌다. 영롱이가 태어난지 두달 뒤에는 복제한우인 ‘진이’가 태어났다. 물론 둘다 암컷이다.이제 인간복제는 시간문제가 ... ...
Ⅲ. 미래형 신분증
DNA
칩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기능유전체학이나 비교유전체학은 인간게놈프로젝트의 결과물을 인간에게 실질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길을 열고 있다. 그러나 속도가 문제다.간세포 하 ... 신원이나 친자확인에도 사용될 것이다. 정상적인 사람들이라 해도 각자 조금씩 다른
DNA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다 ... ...
Ⅱ. 환자 개인별로 맞춤약 개발된다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위치한 한 게놈 전문회사(Genset)는 특정 약품에 대해 반응의 차이를 보이는 사람들의
DNA
염기서열을 비교할 수 있는 인간게놈지도를 작성했다.비교유전체학은 사람끼리의 차이를 연구하는데 그치지 않는다. 동물들 가운데 사람과 유사한 유전자를 가진 종류가 많다. 예를 들어 침팬지의 유전자는 ... ...
Ⅴ. 한국형 인간게놈프로젝트 10년간 1천억 투자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선진국보다 늦게 시작한 '대가'는 분명히 존재한다. 기초자료가 없기 때문이다.
DNA
칩을 국내에서 개발해 간암을 진단한다고 생각하자. 기본적으로 갖춰야 하는 것은 칩에 들어갈 10만개 유전자다. 시험 대상자의 간유전자 상태가 어떤지 비교할 대상이다. 그런데 10만개 유전자는 선진국의 손에 쥐어져 ... ...
침팬치는 진화해도 인간이 될 수 없다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고릴라는 아시아에서 살고 있는 유인원인 오랑우탄보다 인류에 더 가깝다(침팬지는
DNA
의 98.6%가 사람과 닮았음). 이는 침팬지와 고릴라는 인류와 함께 인류과로 분류되어야함을 의미한다(그림2). 그러나 많은 학자들은 절멸됐거나 살아있는 인류만을 인류과로 분류하는 전통을 따르고 있다 ... ...
60억 인구의 미래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이뤄냈다. 하늘을 날고 바닷속을 여행하고. 원자 속의 쿼크가 부리는 조화와 세포핵 속의
DNA
가 담고 있는 생명의 비밀도 인간의 호기심 앞에서 그 옷을 벗고 말았다. 그러나 과학기술의 힘으로 판도라의 상자를 연 인간 앞에는 새로운 문제들이 펼쳐지고 있다. 환경문제, 에너지문제, 그리고 스스로의 ... ...
과학적 사고와 문제해결력의 만남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10분의 1정도인데, 그 이유는
DNA
전부가 하나의 구로 뭉쳐져 있지도 않을뿐더러, 산성인
DNA
는 히스톤(histone)이라고 하는 염기성 단백질들을 감싸고 있는 특이한 구조를 가지기 때문이다 ... ...
국내 신약 1호 항암제 선플라 개발 주역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풀렸을 때 그 사이에 끼어들어가 붙어버린다. 이때 암세포의
DNA
는 더이상 풀어지지 않아
DNA
의 복제가 일어날 수 없다. 그 결과 암세포의 분열이 진행될 수 없다.백금을 이용한 약들이 이미 개발돼 있다고 하는데, 이들과의 차이는?76년에 시스플라틴, 86년에 카보플라틴이 개발됐다. 그런데 ... ...
의학혁명 일으킨 방사선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하는 셈이다. 그러나 이 정도는 사람에게 큰 해가 되지 않는다. 사람 몸속에 손상된
DNA
를 고쳐주는 효소가 있기 때문이다. 문제는 이 효소가 감당할 수 없을 만큼 방사선을 많이 쬐는 경우다.방사선을 많이 쬐게 될 가능성이 높은 곳은 병원, 원자력연구소, 원자력발전소와 같은 방사성물질을 다루는 ... ...
이전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