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극단
연극단
끝
끄트머리
궁극
극치
극한
d라이브러리
"
한쪽
"(으)로 총 2,058건 검색되었습니다.
태평양 표류 생존법
과학동아
l
2000년 08호
한가운데를 지나던 유람선이 뜻하지 않은 폭풍에 휘말려 난파된 상황을 떠올려보자.
한쪽
에서는 선원들이 구명정을 바다 위에 띄우고 있고, 승객들은 재빨리 구명복을 착용한 채 침몰하는 배로부터 탈출을 시도할 것이다. 폭풍이 가라앉고 정신을 차렸을 때 혼자 망망대해에 남겨졌다면 어떨까. ... ...
과학관 2백배 즐기기
과학동아
l
2000년 08호
플라스마 불꽃이 생긴다.이때 손을 가까이하면
한쪽
으로 전기장이 형성돼 방전광이
한쪽
으로 모인다.자이로스코프의자에 앉아서 바퀴를 세게 돌린 후 양축을 손으로 잡는다.축을 좌우로 기울이면 앉아있는 의자가 회전한다.바퀴축을 기울이면 사람이 앉아있는 전체 계의 각운동량은 변화한다.계는 ... ...
과학마술
과학동아
l
2000년 07호
원리다줄 끊기 관성실험사과의 위와 아래에 가는 실을 묶고,위와 아래 중 관객이 지정한
한쪽
의 실만 끊어보자.왜그럴까?실을 끊으려고 할 때는 그 실에 큰 힘이 실리게 하면 된다. 아래의 실을 천천히 잡아당기면 그 힘과 사과의 무게가 더해져서 위의 실에 큰 힘이 가해지기 때문에 위의 실이 ... ...
과학마술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클립 세개가 하나로 돼 튀어 나간다.손수건 정수기흙탕물이 들어있는 컵 속에 손수건의
한쪽
끝을 담그고 흙탕물을 정수해보자.왜그럴까?흙탕물 속에 손수건을 담그면 물이 손수건을 따라 조금씩 올라온다. 이것은 손수건을 이루고 있는 섬유의 미세한 틈을 따라 물이 빨아 올려지기 때문인데, ... ...
유전자가 세상을 바꾼다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각 주제에 대한 찬반논란 역시 활발하다.하지만 생명공학의 혜택이나 폐해에 대해 어느
한쪽
입장이 다소 일방적이다는 느낌을 지울 수 없다. 예를 들어 인간게놈프로젝트의 성과물에 대해서 대체로 긍정적인 입장이 많다. 하지만 이로부터 파생되는 ‘유전자 차별’이나 ‘유전자 특허’에 대해 ... ...
스노우의 두 문화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한 구절이 당시의 상황을 잘 표현하고 있다.“
한쪽
극에는 문학적 지식인이 그리고 다른
한쪽
극에는 과학자, 특히 그 대표적 인물로 물리학자가 있다. 그리고 이 양자 사이는 몰이해, 때로는(특히 젊은이들 사이에는) 적의와 혐오로 틈이 크게 갈라지고 있다. 그러나 그보다 더 한 것은 도무지 서로를 ... ...
공룡 되살리기
과학동아
l
2000년 05호
왼쪽 갈비뼈를 만들 수 있다. 만약 왼쪽 다리에서 세개의 발가락뼈가 존재하고 다른
한쪽
다리에서 왼쪽에는 없는 한개의 발가락뼈가 있다면 이 모두를 조합해 완전한 두다리를 만들 수 있다.다음 단계에서 공룡학자의 작업은 매우 더디고 조심스럽게 진행된다. 각 뼈를 자세히 기재하고 그림을 ... ...
오래 쓰고 전기료 싼 3파장 전구의 비밀
과학동아
l
2000년 05호
장점이 있다.형광등은 원자가 에너지를 흡수했다가 방출할 때 발생하는 빛을 이용한다.
한쪽
전극의 필라멘트로부터 방출된 전자가 안에 채워져 있는 수은증기와 충돌하면서 에너지를 얻었다가 잃으면서 빛을 낸다. 이때의 빛은 사람의 눈으로 볼 수 없는 자외선. 형광등 내부 표면에 도포된 ... ...
파라볼라 안테나
과학동아
l
2000년 04호
두 지점이었다. 조각 방의 특별한 구조 때문에 양편이 포물선의 형태로 돼 있었고,
한쪽
의 초점 부근에 있으면, 반대편 초점에서 이뤄지는 대화를 또렷하게 들을 수 있었던 것이다.파라볼라 안테나는 전파의 수신만이 아니라 송신에도 쓰이는 장치인데, 이것도 포물면 거울의 형태를 띠고 있다. ... ...
허준은 스승의 시신을 해부했을까?
과학동아
l
2000년 04호
허준의 의학에서는 보이지 않았던 내용이다.한의학에는 민간에서 ‘언청이’(입술과 턱
한쪽
이 기형적으로 쳐진 증상)라 부르는 선천적 장애에 대한 외과적 수술이 존재했다. 그것은 오늘날의 수술 형식과 거의 똑같은 것이다. 중국에서는 당나라 때의 한 의사가 이런 수술을 10여 차례 성공적으로 ... ...
이전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