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발달
발전
성장
향상
전개
발육
화재진압
d라이브러리
"
진화
"(으)로 총 3,203건 검색되었습니다.
영화 오션스의 주인공은 누구?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4호
하고 물구나무서기를 하듯이 살아간다. 모래 속에 있는 먹이를 편하게 먹을 수 있도록
진화
한 결과로 추측된다. 듀공입 주위에 난 200여 개의 털이 먹이를 감지해 입술을 움직이는 것과 동시에 풀을 잡아뜯어 입 속으로 가져간다. 회색 빛깔의 몸에 코끼리같이 주름이 많아 ‘바다코끼리’라고도 ... ...
대칭 vs 비대칭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3호
감각기관인 눈이 굳이 필요없기 때문이다. 과학자들은 넙치의 이런 변신 과정이 긴
진화
과정을 짧게 압축해서 보여 준다고 말한다. 몸 속은 사실 비대칭!사람을 포함한 많은 척추동물의 경우, 심장과 위는 왼쪽, 간과 맹장은 오른쪽에 놓여 있다. 겉모습은 좌우대칭을 이루면서 몸 속이 이렇게 ... ...
따로 또 같이! 세계의 인종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2호
두툼해졌다.보이지 않아도
진화
하고 있는 유전자몸 속 유전자도 각 지역의 환경에 맞게
진화
하고 있다. 대표적인 예는 우유를 소화시키는 유전자. 본래 인간은 어른이 되면 우유를 잘 소화시키지 못한다. 우유를 소화시키는 젖당분해효소가 자라면서 점점 줄어들기 때문이다. 하지만 목축업을 주로 ... ...
동화 같은 자연의 나라, 뉴칼레도니아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2호
부드러운 잎은 오늘날의 소나무와 생김새가 무척 달라. 아로카리아의 잎이 납작하게
진화
한 것이 바로 카오리소나무인데, 블루리버파크에는 무려 4500살이나 된 카오리 소나무도 있단다. 어른 24명이 둘러싸야 할 정도로 엄청나게 밑동이 굵다고! 짖는 새, 카구이쯤에서 내 소개도 해야겠지? 내가 ... ...
Part 1. 한의학은 과학이다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건 치료가 아니라 ‘자해행위’라는 것. 과연 그럴까. 얼핏 생각해보면 일리가 있다.
진화
의 관점에서 쓴맛은 독이 들어 있다는 경고의 표시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런 일반론을 한약에 적용할 수 있을까. 그런 식이면 현대인들은 매일 서너 잔의 독배를 마시고 있다. 많은 사람들이 쓰디쓴 커피 ... ...
국내 연구진 배추 염색체 해독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인자 등 중요한 기능을 하는 유전자 500여 개가 포함돼 있다. 이 유전자는 배추과 작물의
진화
경로를 밝히거나 항암 배추와 같은 기능성 작물을 만들 때 유용하다. 문 박사는 “다양한 맞춤형 배추 품종을 개발할 수 있는 지도를 얻은 셈”이라고 말했다 ... ...
Photos as Memories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병마와 싸우는 것을 도와준다. 그러나 신경심리학자들이 활용할 수 있는 기술은 빠르게
진화
하고 있다. 클레어는 새로운 기술의 도움을 받는 초기 두뇌손상 환자 중 한 명이다. 클레어의 두뇌 중 바이러스에 의해 가장 많이 손상 받은 부위는 해마라고 불리우는 부위다. 두뇌 깊숙이 위치한 해마는 ... ...
스크램제트 엔진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등장한다.스크램제트 엔진은 현재 항공기에 쓰는 터보팬이나 터보제트 엔진에서 바로
진화
한 것이 아니다. 중간 단계에 해당하는 ‘램제트 엔진’이 이미 상용화돼 있다. 램제트 엔진은 음속 이상의 속도에서 공기가 저절로 압축되는 ‘램 현상’을 응용한 엔진이다. 터보제트 엔진이나 터보 팬 ... ...
Part 1. 살아남은 50%의 슬픔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있다.인간 활동에 의한 멸종은 각종 통계와 연구에서 현실로 나타나고 있다. ‘잃어버린
진화
’는 지구의 척추동물 중 19%가 곧 사라질 위기에 처해 있다고 결론짓고 있다. 생물의 수 역시 지난 1970년에 비해 30%가 줄었다. 미국의 생물학자 에드워드 윌슨은 2002년 펴낸 ‘생명의 미래’에서 “이 ... ...
과학동아 특집 ‘코리아노사우루스’ 정식 학명 됐다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사용됐다.허 교수는 “요즘 공룡의 연골 화석에서 DNA를 뽑아내 새와 공룡의
진화
과정을 유전자로 밝혀내는 연구를 시작했다”며 “화석에서 DNA를 뽑아내는 게 굉장히 어렵지만 한국 공룡을 통해 세계적인 연구 성과를 내고 싶다”고 포부를 밝혔다 ... ...
이전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