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몸소
즉석
곧
즉시
당장에
바로
d라이브러리
"
직접
"(으)로 총 8,932건 검색되었습니다.
[폴리매스] 여기선 우리도 출제자 매스펀
수학동아
l
2020년 05호
정리하고 이야기를 만들다 보면 다시 한번 공부할 수 있어요. 또 답을 알고 있어야 해서
직접
문제를 푸는 재미도 느낄 수 있답니다. 문제를 어떻게 낼까? 조앤 롤링이 요기 있네? 스토리파 친구한테 등식의 양변에 0을 곱하면 어떻게 되는지 설명하다 보니 언뜻 들으면 그럴듯한 ‘억지논리’를 ... ...
[한페이지 뉴스] 피부세포를 시각세포로! 눈 먼 쥐 눈 떴다
과학동아
l
2020년 05호
환자에게 이식해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연구팀은 유도만능줄기세포를 이용하지 않고,
직접
망막 주변에 있는 피부세포에 광수용체 유도물질을 주입해 시력을 회복시키는 기술을 고안했다.안구에는 색상을 구분하는 원추세포의 광수용체와 명암을 구분하는 간상세포의 광수용체가 있는데, 연구팀은 ... ...
텔레그램에 숨은 범죄자를 어떻게 찾아내나
과학동아
l
2020년 05호
산 암호화폐를 개인 지갑으로 옮긴 뒤 받는 사람의 주소로 보내는 방법, 암호화폐를
직접
채굴해서 개인 지갑에 보관하다가 받는 사람의 주소로 보내는 방법이다. 현 시점에서 개인이 집에 있는 컴퓨터로 암호화폐를 채굴해 사용할 확률은 매우 낮은 만큼 세 번째 경우는 논외로 한다. 첫 번째 ... ...
[팩트체크] 청색광은 망막을 얼마나 손상시킬까
과학동아
l
2020년 05호
있습니다. 제조사의 홈페이지에 이런 정보가 공개되지 않는다면 번거롭더라도 제조사에
직접
요청해서 받아보기를 추천합니다. 사실 우리가 사물을 제대로 인식하기 위해서는 청색광도 필요합니다. 이 때문에 100% 완벽하게 청색광을 차단하는 제품은 색을 인식하는 데 오히려 방해될 수 있습니다. ... ...
[융복합 파트너@DIGST] 곤충처럼 기고 사람처럼 땀 흘리는 자연모사 로봇
과학동아
l
2020년 05호
DGIST) 바이오로봇메카트로닉스 연구실에서 만난 윤동원 DGIST 로봇공학전공 교수는
직접
제작한 자연모사 로봇을 선보이며 이렇게 말했다. ‘곤충과 동물을 본따서 만든 로봇은 아담하고 귀여운 모습이지 않을까’ 하는 예상은 완전히 빗나갔다. 윤 교수가 가리키는 곳에는 거대하고 기괴한 모양의 ... ...
[방구석 과학] 끓일수록 깊은 맛이? 가마솥 감바스
과학동아
l
2020년 05호
스페인 전통 요리 감바스의 만남이라니. 이 만남, 결말은 괜찮을까요? 과학기자가
직접
요리해봤습니다. 가마솥요리입문 I 가마솥 감바스 깊은 맛의 비결은 가마솥힙스터즈가 사용한 ‘찐’ 가마솥은 구하지 못했습니다. 만약 구했더라도 조리할 아궁이가 없으니 무용지물이었을 테죠. 대신 ... ...
[비하인드 로켓] 2000억 원 손해배상보험 가입...나로호 발사 허가 떨어지다
과학동아
l
2020년 05호
훌륭한 이름은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엔지니어가 지은 게 아니었다. 대한민국 국민들이
직접
제안했다.2009년 2월 23일부터 3월 31일까지 진행된 명칭 공모전에 전국 2만2916명이 참가해 총 3만4143개의 이름을 제안했다. 대상작인 ‘나로’는 우리나라 우주개발의 산실인 나로우주센터가 위치한 전남 ... ...
[스쿨리포트 A+] 생활에서 궁금증 찾아 해결하기
과학동아
l
2020년 05호
중·고등학교 수업에서 실제로 진행되는 대표적인 수행평가 사례를 보여주고 교사들이
직접
해설하는 ‘스쿨 리포트 A+’를 연재합니다. 많이 기대해 주세요 ... ...
[SF에 묻는다] 은하수를 여행하는 히치하이커를 위한 안내서 vs. 사고
과학동아
l
2020년 05호
때문에 줄거리를 깔끔하게 정리하기 어렵습니다. 여기서는 결말로 건너뛰었지만,
직접
보시면 더 재미있습니다. ● 사고 ‘사고’는 폴란드의 SF작가 스타니스와프 렘의 단편 소설입니다. 렘은 영화계 거장인 안드레이 타르코프스키 감독이 영화로 만든 소설 ‘솔라리스’를 쓴 작가로도 ... ...
[과학동아천문대 소식] 왜소은하 찾고, 시민과학자가 되어 봐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5호
찾기’ 시민참여과학 프로젝트를 마련했어요. 사진을 보고, 왜소은하로 보이는 천체를
직접
고르는 거예요. 이미지를 분류하기 위해 인공지능을 많이 쓰지만, 크기가 작고 흐릿한 왜소은하를 분류하기엔 인공지능으로 부족하거든요. 우주를 좋아하는 어과동 친구들이라면 누구나 환영해요! 참여 ... ...
이전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