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점"(으)로 총 11,688건 검색되었습니다.
- [매스크래프] 세종대왕과 집현전, 한글이 이토록 수학적인 언어라니!수학동아 l2020년 10호
- 선대칭 도형이에요. 또 ㄱ을 180° 회전하면 ㄴ이, ㄴ을 180°돌리면 ㄱ이 됩니다. 이는 점대칭 관계라 해요. 모음은 ㅏ, ㅑ, ㅣ를 90° 회전하면 ㅜ, ㅠ, ㅡ를 만들 수 있고, 모두 선대칭 도형이죠. 노벨 문학상을 받은 펄 벅은 점, 선과 원의 회전과 대칭이동만으로 만든 한글을 ‘세계에서 가장 ... ...
- 너넨 우주를 보니? 핵물리학자는 우주를 만든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0호
- 더 작은 분자로, 분자는 원자로, 원자는 전자와 핵으로, 핵은 양성자와 중성자로 점점 해체되며 더이상 나뉘지 않는 기본 입자만이 남게 되지요.핵물리학자의 관심사 중 하나는 이처럼 기본 입자로만 가득한 초기 우주예요. 기본 입자들은 서로를 잡아당겼을까요, 밀어냈을까요? 초기 우주에 무슨 ... ...
- 기발한 연료 3총사과학동아 l2020년 10호
- 덧씌운 박막층을 교차하도록 설계한 것이다.그 결과, 연구팀은 휴대용 부탄가스의 발화점인 500℃ 내외에서 높은 효율로 작동하는 저온형 고성능 박막 세라믹 연료전지를 개발했다. 손 책임연구원은 “향후 부탄가스를 연료로 쓰는 세라믹 연료전지로도 상품화될 수 있다”며 “가정이나 캠핑장에서 ... ...
- 세계 6위 군사력 과학동아 l2020년 10호
- 공군의 역할은 단순히 공중에서 전투를 하는 데 그치지 않는다. 적을 감시하거나 공격 지점을 설정하는 정찰도 중요한 임무다. 공군은 이를 위해 24시간 동안 지상 20km 상공에서 비행하며 레이더와 적외선 등을 활용해 0.3m 크기의 물체까지 식별할 수 있는 무인정찰기 ‘글로벌호크’를 2019년 12월 ... ...
- [수학뉴스] TV 많이 보는 아이...수학, 독해 능력 떨어진다수학동아 l2020년 10호
- 2시간 이상 TV를 시청한 아이들은 그렇지 않은 아이들에 비해 10~11세 때의 읽기 성적이 12점 정도 낮았습니다. 8~9세에 하루 평균 2시간 TV를 시청한 아이들의 2년 뒤 수학 성적은 읽기 성적에서 나타나는 차이에 비해 작았습니다. 하지만 10~11세에 하루 2시간 이상 TV를 시청한 아이들은 그렇지 않은 ... ...
- [아이돌 수학] AKMU와 작곡 속 수학수학동아 l2020년 10호
- 개념을 처음 생각해낸 것도 음악가가 아닌 고대 그리스 수학자 피타고라스였던 점에 비춰 볼 때 수학과 음악은 떼려야 뗄 수 없는 사이가 분명하다. ★피보나치 수열로 연주하기★ 수학은 잘 알지만 음악은 잘 모르는 사람이 연주를 할 수 있는 방법이 또 있다. 악보를 볼 줄 몰라도 멋진 ... ...
- 코로나19 Q&A 리포트 과학동아 l2020년 10호
- 때 유전자 증폭 검사(PCR)를 하기 전까지는 어떤 바이러스가 원인인지 구분할 수 없다는 점이다. 환자가 인플루엔자와 코로나19에 모두 감염될 경우 바이러스의 전파력이 더욱 상승한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독일 막스플랑크연구소와 프랑스 파스퇴르연구소 등 국제 공동연구팀은 메드아카이브 9월 ... ...
- 언택트 시대, 세상을 연결하는 클라우드과학동아 l2020년 10호
- 연이어 출시한 것이다. 클라우드 게임은 사용자가 인터넷 스트리밍을 통해 즐긴다는 점에서 언뜻 유튜브나 넷플릭스 같은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와 유사해 보인다. 하지만 기술적으로 들여다보면 훨씬 더 복잡하다. 기본적으로 클라우드 게임은 서버에서 훨씬 많은 데이터를 처리해야 한다 ... ...
- [팩트체크] 인공물과 새의 충돌, 막을 수는 없을까?과학동아 l2020년 10호
- ◇ 보통난이도 | 아무나 못하는 팩트체크 대한민국은 지리적으로 동아시아와 대양주(남태평양의 여러 섬)를 이동하는 철새들의 이동경로에 포함돼 ... 땐 뛰는 것처럼 소형 조류종도 필요할 경우 충분히 높이 난다”며 “전체 조류의 관점에서 위험성을 평가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 ...
- [스쿨리포트 A+] 직접 할 수 없는 과학 실험, 가상 탐구 포스터 제작하기과학동아 l2020년 10호
- 등의 단계로 가상 탐구 활동을 진행합니다. 결론을 도출하는 과정에서 가설이 잘못된 점을 발견했다면, 가설을 새로 세우거나 수정한 뒤 다시 실험을 진행해야 할 것입니다. ■과학교사의 TIP④ 자료 조사에 답이 있다! 많은 학생들이 자신이 세운 가설이나 탐구법에 오류가 있을 것을 걱정해 ... ...
이전15015115215315415515615715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