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역사"(으)로 총 4,676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_ 우주를 팽창시키는 힘, 암흑에너지과학동아 l2013년 12호
-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우주를 지배하는 검은 손 암흑에너지Intro. 우주론의 역사Part 1. 우주를 팽창시키는 힘, 암흑에너지Part 2. 보이지 않는 68%의 수수께끼를 찾아서Part 3. 우주의 종말은 뜨거울까, 차가울까 ... ...
- PART2 물 건너 온 한국 음식 김치과학동아 l2013년 12호
- 제외한 다른 채소(무, 파, 마늘, 생강)는 삼국시대부터 기록에 남아있을 정도로 재배 역사가 길다. 배추와 고추가 들어오기 전에는 무나 오이, 가지처럼 단단한 채소를 소금에 절인 뒤, 마늘, 생강과 같은 향신료를 이용해 양념하는 백김치의 형태였다. 김치에 새우젓이나 멸치젓을 넣은 시기도 조선 ... ...
- [knowledge] 인류는 지금도 진화하고 있다과학동아 l2013년 12호
- 일입니다. 문화인류학 전공이던 동기가 제게 물었죠.“논문 주제가 뭐니?”“인류 진화 역사에서 성차(성별의 차이)가 어떻게 변화했는지, 화석을 통해 살펴보고 있어.”그 다음 동기의 말에 저는 크게 놀랐습니다.“성별의 차이? 성별은 문화적인 개념인데 어떻게 뼈를 보고 알 수 있다는 말이니?” ... ...
- 과학기술자가 창업하는 나라를 위해 (천종식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 / 생명과학 벤처 ‘천랩’ 대표)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이라는 이름으로 불렸다. 하지만 최근의 빅데이터 열풍과 함께 생명정보학은 생물학의 역사를 다시 쓰는 첨단 분야로 떠올랐다. 인간이 지닌 30억 쌍의 DNA 염기서열을 모두 분석하는 유전체학(게노믹스)이 대표적이다. 미생물의 유전체를 다루는 천 교수의 연구는 그 중 독특하다. 미생물은 유전체가 ... ...
- 걷고, 뛰고, 춤추는 두발 로봇 ‘휴보’를 만들다 (오준호 KAIST 교수)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분야 국내 일인자로서의 입지를 착실히 다졌던 시기였다. 로봇 이름 개발 시기 비고 KHR-1 2002년 사실상 한국최초의 2족보행 로봇이다. 머리가 없었고, 케이스를 씌우지 않아 해외 언론에선 ‘KAIST Headless Robot’이라고 부르기도 했다. KHR-2 2003년 휴보의 실험용 모델. 사실상 ... ...
- 디자인으로 공간의 마음을 훔쳐라 (황지은 서울시립대 건축학부 교수)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전문성을 위협받기 쉬운 사람들입니다. 누구나 집에 살고 있고, 건축의 역사는 인류의 역사와도 아마 같을 정도로 길지요. 누구나 한 마디씩 할 수 있는 분야입니다. 집을 여러 채 지어본 사람도 건축가 못지 않게 잘 알아요. 이런 분야에서 견디려면 지구력도 있어야 하죠.” 건축가의 인기는 ... ...
- ‘스마트’하게 즐기는 수백 년 전 과학실험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움직임에 대해 의문을 표하는 사람들이 있었지. 이 때 프랑스의 물리학자였던 나, 푸코가 역사적인 실험을 했어. 일명 ‘푸코의 진자’. 1851년 나는 수도 파리에 있는 돔형 건물인 ‘팡테옹’에 진자를 매달았어. 길이 67미터의 실 끝에 매달린 28㎏짜리 추가 흔들리는 면, 즉 ‘진동면’은 사람들이 ... ...
- 나를 키운 건 팔할이 소변이었다 (정희선 전 국립과학수사연구원 원장 / 충남대 분석과학기술대학원장)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승격이 되면서 첫 원장이 됐다. “우리들은 그걸 소원성취라고 불러요. 국과수 50년 역사의 소원이었거든요. 제가 첫 원장인데 사실 제 남편도 소장을 지냈어요. 그래도 가끔 집에서 모임이 있을 때 ‘나는 원장, 당신은 소장’이라고 확인해 주죠. 하하하.” 국과수를 이끌면서 참 많은 일이 있었다. ... ...
- [체험] 만화영화 감독에 도전하다! 애니메이션 기구 만들기수학동아 l2013년 11호
- 움직인다. 이것이 어떻게 가능할까?사실 그림을 움직이는 것처럼 보이게 하는 건 그 역사가 깊다. 기원전 1만 8500년에서 1만 4000년 사이에 그려진 것으로 추정되는 알타미라 동굴벽화에는 다리가 8개인 멧돼지가 있다. 구석기인들이 달리고 있는 멧돼지를 표현하기 위해 이 방법을 쓴 것으로 추정된다 ... ...
- 70억 인류 정말 한가족일까과학동아 l2013년 11호
- 경우도 있습니다(피부색처럼). 현재 미국에서는 인종이 생물학적인 개념이 아니라 역사나 문화, 사회 등 인문적인 개념으로 보는 경향이 강합니다.인종이 생물학적인 종이 아니라고 밝혀지자, 이번에는 종의 하위 개념인 ‘아종’인지 묻게 됐습니다. 아종은 ‘어느 정도로 고립된 상태에 있는 ... ...
이전15015115215315415515615715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