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아래"(으)로 총 5,599건 검색되었습니다.
- [Career] 한옥의 매력에 푹 빠진 건축학도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설치하고 흙벽을 치기까지, 모든 과정을 수업에 참여한 15명의 학생들이 해냈다(163쪽 아래 사진).이렇게 장점이 많은 한옥이지만, 물이나 불, 벌레에 약하다는 단점도 있다. 한동안 현대 건축에 밀려 역사의 뒤안길에 머물러 있었지만, 2000년경 다시 한옥의 인기가 높아졌다. 한옥이 재조명 받은 것은 ... ...
- [Issue] 반려앵무새, 사이테스 신고에 도전하다과학동아 l2017년 03호
- 돌아와 아래에 있는 사이테스 설명 더보기를 눌렀다. 다시 해외 사이트로 연결이 됐다.더 아래의 지식백과를 통해서야 사이테스에 대한 설명을 볼 수 있었다. 사이테스(CITES)란 ‘멸종위기에처한 야생 동식물종의 국제 거래에 관한 협약’이다. 멸종위기에 처한 야생동식물을 보호하기 위해 국제 ... ...
- Part 3, 기후변화 최대 피해지, 북극 스발바르는 지금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사실이 연구를 통해 밝혀졌다. 영국 스완지대 연구팀은 조수빙하가 떠 있는 표층수 아래에 수온이 따뜻한 북대서양 수괴가 조수빙하를 녹이고 후퇴시킨다는 연구결과를 2015년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에 발표했다. 논문에 따르면 다산북극과학기지가 있는 니알슨의 남동쪽 콩스피오르드의 ... ...
- [Future] ‘마음의 창’을 열다과학동아 l2017년 03호
- 넣기만 하면 된다. 이 색소는 빛에 반응하는 특수 재질로 돼 있어서 빛이 쪼여지면 바로 아래에 있는 시신경을 직접 자극할 수 있다. 배터리도, 외부 광원도, 심지어는 카메라도 필요 없다. 아직은 생쥐를 이용해서 가능성을 시험하는 수준이지만 성공만 한다면 다른 어떤 방식보다 강력하다 ... ...
- [과학뉴스] 빨리 마르는 19세기 물감의 비밀이 밝혀지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아래 그림은 19세기 영국 화가 윌리엄 터너의 라는 작품이에요. 그는 빛과 색채를 아름답게 표현하기 위해 새로 개발한 유화 물감으로 그림을 그렸어요.당시 유화 물감은 보통 씨앗의 기름과 안료를 갈아 만들었어요. 하지만 마르기까지 너무 오래 걸려서 하나의 그림을 ... ...
- [수학뉴스] 무한히 많은 방의 비밀수학동아 l2017년 03호
- 끝없이 계속되는 ‘무한소수’도 무한을 이해하는 데 빼놓을 수 없습니다. 소수점 아래 9가 무한히 많은 0.999…는 무한소수기도 하지만 결국 1과 같습니다. 0.999…는 9가 무한히 많아서 1을 향해 움직이는 존재라고 오해하기 쉽지만, 이보다 크고 1보다 작은 실수를 찾을 수 없기 때문에 1과 같은 수라고 ... ...
- 어기면 일어나는 비극, 해녀의 법칙수학동아 l2017년 03호
- 해녀의 물속 작업은 ‘물질’이라고 하는데, 산소공급 장치 없이 숨을 참고 물속으로 15m 아래까지 내려가 1분 이상 작업한다. 해녀는 물속에서 몸이 수압을 견뎌 내는 시간과 산소의 양을 감지해 수면까지 거리를 가늠하며 잠수 시간을 조절해야 한다.물질 기술에 따라 해녀는 상군, 중군, 하군 세 ... ...
- [매스미디어] 포켓몬 트레이너 L씨의 피카츄 사냥수학동아 l2017년 03호
- 인식한다. 이는 모션센서 안에 있는 자이로센서와 가속도센서 덕이다.자이로센서는 아래 그림처럼 중력으로 기울기를 알아낸다. 중력이 x축에서 z축 쪽으로 45°방향을 가리키면 스마트폰은 지표면에서 45°만큼 기울어져 있다는 뜻이다. 가속도센서는 미분법★으로 속도를 알아낸다. 기울어진 ... ...
- [알쏭달쏭 논리 동화] 두 공주가 확률에 갇혔다!수학동아 l2017년 03호
- 나왔을 확률을 구했는데, 과연 ‘내가 잠에서 깨어났다’는 정보를 어떻게 알았을까? 아래 두 주장과 독자의 의견을 읽고 결국 공주의 답이 무엇이어야 할지 생각해 보자!antoniozo님일요일에 던진 동전이 앞면이 나왔을 확률은 (동전이 앞면이 나와 내가 깨어날 확률)÷(내가 깨어날 확률)입니다. 내가 ... ...
- Part 1. 내 이름은 어디 있나요?수학동아 l2017년 03호
- 아니라 ‘네이피어 수’라고 불러야 하는 거 아닌가요?수학을 연구하다 보면 소수점 아래 수가 길고 복잡한 수를 계산하는 경우가 있어요. 그런데 제가 살던 시기에는 기계식 계산기가 없어서 시간이 오래 걸리고 실수도 많이 했죠. 그래서 계산을 간단하게 만들어 주는 로그표를 만들었어요. 이 ... ...
이전15015115215315415515615715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