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간
연대
시기
당시
당대
세상
부분
d라이브러리
"
시대
"(으)로 총 5,521건 검색되었습니다.
정보의 원유, ‘빅데이터’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02호
일어나면 새로운 정보와 자료, 즉‘ 데이터’가 넘실대는
시대
예요. 지구를 정복하기 위해서는 이런 데이터를 잘 활용해야 한다더라고요. 하지만 걱정 없어요. 이름은 ‘닥터 그랜마’지만 몸과 마음은 늘 이팔청춘인 제게 인터넷과 컴퓨터 활용쯤은 껌이거든요, 후훗! 뭐? 계속 나이 타령하고 있지 ... ...
상속자들 공평한 분배법을 찾아라!
수학동아
l
2014년 02호
영토와 재물을 나누는 문제 등 다양한 분배 문제를 겪고 있다. 이토록 분배 문제가
시대
를 불문하고 사람들이 해결해야 할 숙제로 남게 된 이유는 무엇 때문일까?그 이유는 ‘공평하다’라는 말에는 주관적인 가치 판단이 들어가 있기 때문이다. 단순히 ‘양’적인 분배를 했다고 해서 공평한 분배가 ... ...
INTRO. 인류는 전쟁을 멈출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4년 02호
‘전쟁’과 ‘평화’ 중에 무엇이 더 이득인지 깨닫는 듯하다. 통신망의 발달로 글로벌
시대
가 열리며 이해의 폭이 넓어졌다.경제적으로 서로 복잡하게 엮이면서, 전쟁의 피해가 과거보다 더 막대해졌다. 물리적인 힘보다 합리적인 권력이 더욱 힘을 얻고 있다. 과연 인류는 앞으로 전쟁을 멈출 수 ... ...
PART1 제1차 세계대전은 어이없이 일어났다
과학동아
l
2014년 02호
유럽 왕실은 외교 수단으로 혈연을 맺는 전통이 있었다. 핵심에는 19세기 영국의 황금
시대
를 이끌었던 빅토리아 여왕이 있다. 당시 영국 국왕 조지 5세는 빅토리아 여왕의 친손자고, 독일 황제 빌헬름 2세는 빅토리아 여왕의 외손자다. 러시아 황제 니콜라이 2세는 빅토리아 여왕의 며느리였던 ... ...
면역세포로 암세포 ‘킬러’ 만든다
과학동아
l
2014년 02호
3일 전에 작고했지만 2011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거머쥐었다. 수지상세포가 암 면역치료
시대
의 서막을 열었다는 일종의 증표인 셈이었다.하지만 수지상세포의 장밋빛 미래는 얼마 가지 못했다. 최근에는 사실상 ‘실패작’이란 얘기가 나오고 있다. 최 연구원은 “백신으로 개발한 수지상세포가 ... ...
[독자탐방] 미술관에 숨겨진 수학을 찾아서!
수학동아
l
2014년 01호
11월 개관한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부지는 과거 조선
시대
규장각이 있던 자리로, 과거와 현재를 이어 주는 가교의 의미를 지니고 있다. 개관을 기념하는 첫 전시는 바로 !이 전시가 수학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해서 수학동아 독자기자들이 찾아가 봤다. 전시를 직접 기획하고 ... ...
내 돈은 언제 두 배가 될까?
과학동아
l
2014년 01호
베네치아에서 활발하게 활동해 ‘회계학의 아버지’라는 이름도 얻었다. 르네상스
시대
에 기하학과 회계학 분야에 큰 획을 그은 수학자이자 수도사였던 파치올리는 진정한 르네상스적 인간이었다 ... ...
비트코인도 털린다
과학동아
l
2014년 01호
남아 있기 때문이다.이렇게 탄생한 비트코인은 참여자의 익명성까지 보장하는 덕분에 이
시대
사람들에게 더 인기를 얻었다. 또 익명이기에 안전한 측면도 있다. 벤처 캐피털인 앤드리슨호로위츠의 크리스 딕슨은 “비트코인의 흥미로운 점은 거래 당사자를 전혀 믿지 않고도 안전하게 온라인 ... ...
지구 반대편에 있는 가족의 뺨을 만지다
과학동아
l
2014년 01호
내장된 휴대폰으로 촉각을 저장해서 유투브에 올리면, 전 세계인이 그 촉각을 공유하는
시대
가 올지도 모릅니다. 아이돌 그룹 EXO가 5번째 앨범을 낼 때쯤이면 멤버끼리 뺨을 부비는 촉각을 팬사이트에 올리는 게 아닐까요?촉각은 상당히 예민합니다. 누구나 손가락 위에 올려 놓은 머리카락 한 올의 ... ...
Part 3 '코리아늄' 찾는다
과학동아
l
2014년 01호
감긴 모습은 사람 손으로 했다고 믿어지지 않을 만큼 정갈했다. 참빗으로 빗은 조선
시대
아녀자의 앞머리가 이랬을까. 이보다 더 정성스러울 수 있을까.가속기는 입자물리학과 핵물리학의 상징이자 첨단 기술의 집합체다. 기술적으로 어려운 부분은 무수히 많다. 300~400m나 되는 거대한 가속기 ... ...
이전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