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세상"(으)로 총 4,863건 검색되었습니다.
- 치킨은 행복이다 냠냠지수수학동아 l2017년 06호
- 가까울수록 관계가 적다고 봐요. 치킨지수는 매주 금요일 KBS 1 라디오 ‘빅데이터로 보는 세상’에서 발표하고 있어요. 냠냠지수 2 빅맥지수로 물가를 알아보자꼴깍. 햄버거 가게에서 학생들의 침 넘어가는 소리가 들립니다. 주문한 햄버거가 나오길 기다리고 있는 것 같군요. 치느님만큼이나 ... ...
- [Future] 우주의 모든 유원지과학동아 l2017년 06호
- 프린터로 육체를 만들고 기억을 복사하면 되잖아요. 허가만 받으면 되는 일인데. 이런 세상에 불멸자라는 게 무슨 의미가….”마크가 노마의 말을 끊었다.“바로 그 허가가 문제예요. 아저씨도 입자 프린터로 육체를 갱신해봤다면 잘 알고 있겠죠. 은하계에 존재하는 입자의 수는 유한해요. 입자는 ... ...
- [Future] 조산아의 희망, 인공자궁과학동아 l2017년 06호
- 24주피치 못하게 엄마 뱃속에서 일찍 나온 아기들, 특히 임신 24주 이내의 아기들에게 세상은 가혹하다. 임신 23주차 미만 조산아들의 생존 가능성은 거의 0%에 가깝다. 23주차는 15%, 24주차는 55% 정도로 올라간다. 25주차에는 80%까지 높아진다. 이렇게 일주일 간격으로 생존 가능성이 급격하게 달라지는 ... ...
- [Culture] 과학동아가 선정하는 이달의 책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내가 바이오로깅으로 측정한 다양한 어류의 유영 속도를 해석한 결과 이것은 말도 안 되는 오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순항시 평균 시속은, 놀라지 마시라. 어느 어류도 8km를 넘지 못했다.”(94쪽)부끄럽지만, 기자도 몰랐다. 다랑어가 시속 70km로 헤엄친다는 이야기를 의심치 않았다. 만약 ‘바 ... ...
- Intro. 인류 키운 빵, 그 4000년의 진화 효모 사피엔스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박혀 있는 치아바타, 납작한 주머니를 열어 양고기와 채소를 듬뿍 넣어 먹는 피타…. 세상에는 셀 수도 없이 많은 빵이 있다.대륙마다 나라마다, 그리고 빵마다 생김새가 다르고 맛이 다르다. 하지만 순위를 매기기 어려울 만큼 각자 맛있는 개성을 뽐낸다. 빵은 기원전 약 2000년 전부터 인류를 ... ...
- Part 4. 토종 제빵효모 ‘빵 한류 시대’ 이끌까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애정 어린 연구가 만나 가까운 미래에는 모두가 맛보고 싶어 하는, ‘세상에서 가장 맛있는 한국 빵’이 탄생할 날이 올 것이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인류 키운 빵, 그 4000년의 진화 효모 사피엔스Part 1. 문명이 낳고 과학이 키우다Part 2. 세계 최초의 빵을 재현하다Part 3. 최고의 빵 ... ...
- [매스미디어] 캐리비안의 해적 - 죽은자는 말이 없다수학동아 l2017년 06호
- 언제나 살아남는 잭. 물론 이번 영화에서도 살아남을지는 모르지만, 지금까지 몇 번은 저 세상으로 갔어도 이상하지 않다. 5편을 보기 전에 잭이 수많은 적으로부터 살아남을 수 있었던 비법을 알아보자.우여곡절 잭 스패로우의 생존 비밀이번 영화의 예고편을 보면 시리즈를 통틀어 가장 고생할 ... ...
- 수의 시선을 담다 ‘유현미 작가’수학동아 l2017년 06호
- 유 작가는 수학자가 본 세상을 직접 표현하고 싶었다. 그래서 수를 입체적으로 만들어 이 세상을 이루고 있는 모습으로 나타냈다. 이런 작품을 소개한 전시가 ‘수의 시선’이다.유 작가는 예술가가 누구나 아는 것을 다르게 보여주는 사람이라고 말한다. 익숙한 게 새롭게 다가올 때 더 ... ...
- [Issue] 전세계 과학자들이 거리로 나선 이유 “과학, 이제 침묵하지 않겠다”과학동아 l2017년 06호
- 함께하는 사람이 있어 지금까지 해낼 수 있었다. 나 같이 불편한 사람도 같이 살 수 있는 세상을 과학자들이 함께 만들면 좋겠다”고 말해 뜨거운 박수를 받았다.소프트웨어 엔지니어 박조은 씨는 “아이 둘 낳고 육아휴직을 받을 때도, 복직할 때도 고용노동부와 상담하거나 근로감독관을 찾아가야 ... ...
- [Career] 번개 구름 흉내 낸 나노발전기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쾅쾅! 천둥이 온 세상에 울리기 몇 초 전, 눈 깜짝할 사이에 미리 예고하는 손님이 있다. 번쩍번쩍 하늘을 가르는 번개다. 과학을 몰랐던 아주 오래 전 과거 사람들은 신이 노여워하는 것이라 생각해 번개는 공포의 대상이었다. 하지만 번개가 왜 치는지 알게 된 뒤 인류는 번개를 하나의 기상 ... ...
이전15015115215315415515615715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