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상
상등
기상
오르막길
오르막
오르기
d라이브러리
"
상승
"(으)로 총 1,610건 검색되었습니다.
세계에서 가장 큰 화산호(火山湖) 백두산 천지
과학동아
l
1987년 08호
천지에서의 강수현상은 특이하다. 비나 눈은 강풍 때문에 지면과 거의 수평으로 내리며
상승
기류의 영향 등으로 도로 공중으로 올라가는 등 복잡한 운동을 하면서 내린다. 여름에는 청명하다가도 갑자기 소나기가 억수같이 쏟아지기도 하고 산정에서는 눈이 펑펑 내리는데 천지 한가운데는 비가 ... ...
하이테크시대의 신종병 테크노스트레스의 정체를 살핀다
과학동아
l
1987년 08호
1~2시간사이에 콜티코스테론(Corticosteroneㆍ부신피질에서 나온 호르몬)이 평상시의 2~3배로
상승
하고 있다(그림A). 그리고 백혈구는 이 호르몬과는 반대로 현저하게 감소함을 나타내고 있다(그림B). 사진③은 묶은 상태를 1~4일간 계속하여 항체생산(1g Eㆍ알러지에 관계가 깊다)에 어떻게 ... ...
서울대 사회학과 교수 권 태 환
과학동아
l
1987년 08호
있지만, 기술발달은 사람들의 생활조건의 개선을 가져오고 이것이 인구증가율의
상승
을 낳았다는 역사적 사실을 무시할 수 없읍니다. 다시말해 기술혁명 이후 빠른 도시의 형성과 성장은 기술혁명의 결과로서의 빠른 인구증가에 주로 기인한다는 것이죠." -그렇다면 서구보다는 빠른 인구증가를 ... ...
텔리미터링 시스팀 가정방문 검침이 사라진다
과학동아
l
1987년 07호
검침원을 불신함으로써 검침 거부 사례도 종종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외에 인건비가
상승
됨에 따른 검침 수수료 지불액이 늘어나게 되고 검침원의 확보에도 어려움이 따르는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문제들은 원격검침의 실시로 해결할 수 있다. 전화망을 이용 자동원격검침시스팀의 구성은 ... ...
넘실대는 전자파의 위험
과학동아
l
1987년 07호
1백기가 헤르츠까지 확대되어있다. 체중1kg당 1~4W강도의 전파를 흡수하면 체온이 1도
상승
된다는 동물실험결과를 바탕으로 안전계수를 10으로하여 체중 1kg당 전파의 전신흡수량이 0.4W를 넘지않게 되어있다(그림 4참조). 처음에 소개한 EPA의 환경기준안도 이 82년 ANSI 기준에 바탕을 두고있다. ... ...
PART3 초신성 폭발의 드라마
과학동아
l
1987년 07호
안정성이 커 핵융합이 자발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다. 중심핵은 계속 수축해 압력이
상승
하게 되는데 온도는 상상할 수 없는 80억℃에 달하게 된다. 이 상태가 되면 안정한 철의 원자핵도 붕괴된다. 즉 전자와 양성자가 소립자 반응을 일으켜 합쳐져 중성자와 뉴트리노로 된다. 별의 중심핵이 반경 1 ... ...
시원한 맛속에 담긴 식품첨가물을 조심하자
과학동아
l
1987년 07호
수 있다. 또한 서로 다른 첨가물들이 몸안에서 섞여 이른바 복합오염을 초래, 독성의
상승
작용을 불러 일으킬 수도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식품첨가물의 종류는 무려 3백63가지나 되고, 요즈음 우리가 먹는 음식의 70%가 첨가물을 쓰는 가공식품인 점을 생각하면 엄청난 양의 화학물질이 몸안으로 ... ...
PART 1 물의 신비한 특성
과학동아
l
1987년 06호
에는 온도는 전혀 내려가지 않은채 열을 방출한다. 그열의 총량은 녹을 때에 온도를
상승
시키지 않고 흡수한 열의 양과 같다. 기체 액체 고체로 변할때의 열량 물의 잠열은 이상할 만큼 높다. 얼음을 온도변화없이 완전히 액체의 물로 바꾸는 데에는 같은 양의 미온의 물을 덥히는데 필요한 것과 ... ...
희귀동식물의 보고 설악산의 생태계
과학동아
l
1987년 06호
1천7백8m인 대청봉 꼭대기에 나와 있다. 이것은 태백산맥이 적어도 1년에 평균 0.2mm 이상씩
상승
해야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화강암이 지하에 생길 때 주위에는 20억년의 나이를 먹은 변성암이 있었다. 이들 암석은 설악산 남쪽에 나타나 있다. 그 일부는 반상변정편마암이라는 이름을 가졌는데 ... ...
초전도 현상이 실온에서 가능할까? 뜨거운 온도 경쟁
과학동아
l
1987년 05호
973년의 절대온도 23도까지 초전도 현상을 일으키는 온도는 연간 평균 0.3도씩 매우 완만히
상승
해 왔다. 73년에 수립된 절대온도 23도의 기록은 86년 3월까지 13년간 깨뜨려지지 않았다. 스위스 취리히 IBM연구소는 란타늄(La) 바륨(Ba) 구리(Cu) 산소(O)의 화합물(란탄계 화합물)로 절대온도 30도에서 초전도 ... ...
이전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