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사
비즈니스
비지니스
실업
기업
업무
상업
d라이브러리
"
사업
"(으)로 총 2,558건 검색되었습니다.
왜 생명과학자는 단백질에 유독 관심을 가질까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장차 BT와 IT의 결합을 위한 연구가 전망되기 때문이다.보석 캐는 작업과 같은 고부가가치
사업
한편 HPP에 대한 세계적인 조직이 인간게놈프로젝트의 완수와 함께 형성됐다. 2001년 2월 8일 인간게놈프로젝트를 추진해온 미국의 셀레라지노믹스사, 일본의 도쿄대, 영국 런던 임페리얼 칼리지 의대등 1 ... ...
01 황사와 산성비 없애는 차세대 발전소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아파트 단지 주차용 로봇팔과 연료전지 교환소의 로봇팔을 설계·제작·설치하는
사업
을 운영하고 있다.초전도 자석과 초전도 자석용 전기접속부품의 개발을 담당했던 오영국 과장은 OK 초전도 자석 회사를 설립해 한전과 같은 발전회사들과 산업용 가속기 제작회사, MRI 같은 의료기 제작회사에 ... ...
시판허가 내려진 응급피임약 논란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않다”고 반대 입장을 분명히 밝혔다. 이상과 현실 조화 이뤄야2년간 응급피임보급 시범
사업
을 했던 대한가족보건복지협회 정정순 가족보건 과장은 이번 응급피임약 수입허가에 대해 다음과 같은 말을 한다. “물론 최선은 철저한 성교육과 사전 피임이다. 하지만 성폭행이나 강간, 또는 콘돔이 ... ...
국내 연구진 탄소나노튜브 위치제어 성공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탄소나노튜브가 발견된지 꼭 10년이 흐른 지난 11월. 국내 나노과학연구진이 탄소나노튜브를 반도체소자에 초고집적으로 배열할 수 있는 기술을 세계 최 ... 연구개발
사업
중 테라급나노소자개발
사업
단의 과제에 속한다. 이로써 국가나노기술개발
사업
이 본 궤도에 올랐다고 평가받고 있다 ... ...
Ⅱ 놀고 있는 컴퓨터 그물망으로 엮는다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성격을 띠고 있진 않지만, 산학연 전문가들과 협조체계를 구축해 국가적인 차원에서 이
사업
을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사용자 동의없이 자원 이용한다한편 과학전문지 네이처 최신호에는 그리드 컴퓨팅과 관련한 컴퓨팅 기술의 새로운 개념이 제시됐다. 미국 인디애나 노틀담대의 물리학과와 ... ...
03 2005년 한국에 뜨는 별 K스타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필요한 자료나 정보가 풍부하다. 또한 현재 진행중인 ITER라는 국제 공동 핵융합로 건설
사업
에서도 토카막 형태를 선택하고 있다. 때문에 K스타에서 얻은 연구 결과를 ITER에서 적용해 토카막 연구에서 연속성이 보장되고 세계 핵융합 연구에 기여도가 커진다는 점도 큰 장점이다.세계 핵융합 ... ...
식지 않는 피자 포장 쓰이지 않는 이유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사용할 수 있다는 신발에 제조회사가 매력을 느낄리 만무하다.따뜻한 피자의 배달이
사업
승패의 관건이라는 점에 착안한 발명가가 30분이 지나도 식지 않는 피자 배달상자를 개발했으나 역시 쓰라린 맛을 봐야 했다. 대부분의 피자 배달 거리가 30분 미만이므로 어떤 업자도 새로운 배달상자를 ... ...
01 암과의 전쟁 5세대 선두주자 유전자치료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좀더 향상돼야 한다. 지금은 보통 바이러스를 벡터로 쓰고 있다.현재 각 나라마다 국책
사업
으로 진행되고 있는 인간게놈프로젝트가 성과를 거둬 인체의 유전자에 대한 좀더 광범위한 이해가 가능해지고 있다. 이를 통해 치료유전자의 개발이 진척되고, 이렇게 발견된 치료유전자를 환자의 필요한 ... ...
최고의 정보고속도로 펼치는 통신망 구현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혼란이 커지기 때문이다.광통신연구실은 1999년부터 과학기술부 국가지정연구실
사업
의 지원을 받아 광신호의 성능감시 분야에 대한 연구를 수행한 결과 광신호의 파장과 전력 감시, 광신호대잡음비 감시, 경로 감시 등의 분야에서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을 확보하고 있다. 또한 가입자당 하향 ... ...
Ⅱ 21세기 첫 노벨상 수상자들 : 생리·의학 - 세포분열 조절 메커니즘 규명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순차적 조절기전에 대한 연구가 진행중이다. 특히 유향숙 박사가 이끄는 인간유전체
사업
단은 너스 박사 연구실과 긴밀하게 협조해 분열형 효모 전체유전자의 기능을 밝히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이번 노벨상의 연구업적은 생명현상에 대한 분자 수준의 이해라는 오랜 시간이 필요한 생명과학 ... ...
이전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