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코튼
페이지
쪽
무명
목화
장
페이쥐
d라이브러리
"
면
"(으)로 총 3,168건 검색되었습니다.
10년이
면
강산도 변한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5호
할아버지와 함께 남산에 갔다. 내가 어렸을 때 할아버지는 날씨가 좋은 날이
면
내 손을 잡고 남산에 오셨단다. 케이블카도 타고 바나나와 솜사탕을 먹으 ... 이동 방향도 알 수 있다. 날씨가 따뜻해서 얼음이 다 녹는다
면
얼음 속에 있던 모래가 비누 표
면
에 쌓일 것이다. 빙하도 마찬가지다 ... ...
나도 애니메이션 감독!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4호
준단다. 그래픽 디자이너는‘3D 맥스’나‘마야’등의 그래픽 프로그램으로 실감나는 장
면
을 만드는 사람들이지.우리나라 애니메이션의 수준을 알고 싶어요.미국이나 일본의 화려한 애니메이션을 많이 봤을 거야. 우리나라는 왜 그런 애니메이션이 없냐고 궁금해하는 친구들도 많을 것 같은데. ... ...
현미경과 망원경이 보여 주는 놀라운 세계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3호
지름만 1.8미터로 남자어른의 키만큼이나 크죠. 그러나선진국들의 대형 망원경에 비하
면
이 크기는 아기 망원경 정도예요. 선진국들은 1990년대에 이미 지름 8미터급 대형망원경을 앞다퉈 건설하기 시작해 지금은 전 세계에 모두 15개 정도의 대형망원경이 있다고 해요. 이러한 추세에 맞춰 ... ...
돌이라고 다 같은 돌은 아니야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3호
거야. 이걸 봐! 붉은빛이 찬란한 루비군. 루비는 단단한 강옥으로 만들어지지. 그렇다
면
….”에스메랄다의 얼굴이 갑자기 환해졌다. 의기소침해져 있던 하녀도 비로소 안도의 한숨을 내쉬었다. 깨순이는 어떻게 진짜 다이아몬드를 찾아 낸 걸까?다른 보석들이 아깝긴 하지만 서로 긁어 보며 굳기를 ... ...
달에서 월드컵이 열린다
면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3호
심사평 어린이다운 글이 필요해요 김기명(서울 신명초등학교 교사)이번 응모 글을 보
면
서 느낀 점은 초등학교 어린이들이 생각하는 과학 글쓰기는 신기하고 새로 알게 된 재미있는 과학적 사실을 나열하는데 그치고 있다는 점입니다.개별적인 과학 개념 하나하나만을 기억해야 하는 현실에서 좀 ... ...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줄이는 방법
과학동아
l
2006년 12호
물질의 불연속적 구조를 주장한 데모크리토스 등에 의해 제창되어, 물질은 계속 분해하
면
더 이상 분해할 수 없는 극단적인 미립자에 도달하는데, 그 입자를 원자라고 명명했다그러나 이 원자설은 형이상학적 사상에 지나지 않았다돌턴은 일정 성분비의 법칙, 배수비례의 법칙, 상호비례의 법칙 ... ...
DAY 7 잠 못드는 우주의 밤
과학동아
l
2006년 12호
1가량이 작용하므로 우주공간에서보다 사랑을 나누기 쉽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
면
?떠나자! 우주여행 7박8일 INTRO 8일간 환상의 우주여행 DAY1 '골리앗' 최홍만이 신체검사 불합격?DAY2 따사로운 적도에 들어설 꿈의 우주공항 DAY3-4 스페이스십투 타고 우주 가볼까 취향 따라 골라 입는 패션 우주복 ... ...
맛있는 빛의 요리사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2호
빛에도 색깔이 있을까? 사람의 눈에 빛은 투명하다. 그러나 빛을 흩뿌린 세상은 알록달록한 색을 가진다. 파란 하늘과 푸른 숲, 노란 꽃과 붉은 노을. 게다가 ... 이 때 나무젓가락을 종이 사이에 넣고 함께 붙인다.3 완성된 그림판을 빠르게 회전시키
면
새가 새장에 들어 있는 것처럼 보인다 ... ...
우리는 왜 월드컵에 열광할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2호
독일월드컵 D-7일나는 축구를 광적으로 좋아하는 과학자먼저 내 소개를 하지. 나는 동아사이언스 뇌과학연구소에서 일하고 있어. 전문분야는 인간의 뇌와 관련된 행동을 분석하 ... 것도 우울함을 이길 수 있는 방법이지. 거리 응원을 하며 찍은 사진을 인화하여 앨범정리를 하
면
어떨까 ... ...
미개척 전파에서 노다지 캔다
과학동아
l
2006년 12호
강의 과목은 가장 먼저 정원이 찰 정도로 인기가 많다. 해마다 실험실이 정해지는 봄이
면
그의 명강의에 매료된 지원자가 줄을 잇는다. 아니나 다를까 작년 ‘학부 최우수 강의 교수상’도 수상했다. 그가 키운 제자들이 그의 뒤를 이어 어떤 과학자가 될지 기대된다 ... ...
이전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