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재고
d라이브러리
"
다시 생각함
"(으)로 총 6,123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암살엔 역시 ‘모신나강’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지금 기준으로 봤을 때 살짝 불편한 점도 있습니다. 총을 한 발씩 쏠 때마다 장전을
다시
해야 하거든요. 하지만 유효사거리가 750m에 이르는 총이 당시엔 많지 않았죠. 2차 세계대전을 배경으로 한 영화 ‘에너미 앳 더 게이트(2001)’ 주인공의 실제모델인 바실리 자이체프는 모신나강을 이용해 242명을 ... ...
[Info] 북극에 특이한 공생생물이 자라는 이유는?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자세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다섯 명의 21C 다산주니어들은 8월 3일 다산기지를 출발해,
다시
롱이어비엔과 오슬로를 거쳐 7일 한국에 돌아왔다. 21C 다산 주니어는 내년에도 북극에 간다. 내년엔 누가 가게 될까 ... ...
[Knowledge] 예수는 어떤 와인을 마셨을까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것이다. 이것보다 7000년 전에 와인을 스스로 만들던 중국인들이 비슷한 서양 문물을
다시
들여왔다는 것은 이상하다. 뿐만 아니라 지하우 지역에는 타닌 성분을 지닌 아시아 체리나 산시나무 같이 포도를 대체할 다른 과일이 많았99다. 그래서 일부 학자들은 와인이 아닌 타닌 성분을 지닌 어떤 ... ...
[Life & Tech] 비만? 고기보다 음료수가 문제!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먼저 오렌지를 짜서 원액을 만든 뒤 물만 추출해 농도를 크게 높인다. 이 농축액을
다시
물에 섞어 오렌지 주스를 만든다. 이쯤 되면 생과일 주스에서 농축 당 주스로 변해버린다. 송 교수는 “영국 정부가 학교에 음료 자판기를 없애기로 한 것도 음료수를 통한 당 섭취를 줄이기 위한 것”이라고 ... ...
아인슈타인도 깜짝 놀란 뇌 연구소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8호
무슨 연구를 하고 있는지, 또 뇌에 대한 어떤 새로운 사실이 밝혀졌는지 너무 궁금해서
다시
왔지롱~. 과연 2015년에는 뇌에 대한 비밀이 모두 풀려 있을까?뇌과학의 마지막 ... 가진 전자파를 순간적으로 발사해요. 그러면 잠시 뒤에 뇌에 흡수됐던 전자파가
다시
방출돼요. 이 신호를 컴퓨터가 ... ...
PART 2 학문을 품은 브릭
수학동아
l
2015년 08호
‘변수↔관계↔구조’ 단계를 자유롭게 오갈 수 있다는 점이 가장 큰 공통점이다.
다시
말해 정해진 브릭으로 호텔을 만들었다가
다시
브릭 조각으로 분해할 수 있는 점이 이 수학과 닮았다는 것이다. 챙 교수는 “수학 공부를 지금보다 잘 하려면 변수 사이의 관계를 잘 분석하고, 이것을 ... ...
[지식] 마지막 요리 모두의 맛, 미분과 적분 그리고 치킨
수학동아
l
2015년 08호
아니라, $π$와 √3 같은 무리수의 근삿값도 구해냈습니다.도형을 작은 부분으로 나누고
다시
합쳐 넓이와 부피를 구해냈다는 점에서 아르키메데스의 방법은 적분과 닮았습니다. ... 하지만 수학의 맛을 찾아 떠나는 여행이 끝난 건 아닙니다. 언제 어디서든
다시
만날 날을 그리며 인사 드립니다. ... ...
[지식] 열대과일의 비밀, 파인애플은 알고 있다
수학동아
l
2015년 08호
보면 시작점과 끝점이 하나의 세로선 위에 있다는 놀라운 사실을 발견할 수 있어요.
다시
말해 하나의 긴 나선은 파인애플을 거의 정확히 한 바퀴 돌고 있다는 것이지요. 만약 파인애플의 몸통을 원기둥으로 생각한다면 옆면을 펼친 직사각형의 대각선이 하나의 긴 쪽 나선이 되고 옆면의 높이는 폭이 ... ...
[생활] 수학과 화학의 맛있는 만남 분자요리
수학동아
l
2015년 08호
내놓음으로써 요리 맛을 한층 더 향상시킨 셈이다.이런 가짜 캐비어 알은 미역이나
다시
마, 톳 같은 갈조류에 들어 있는 ‘알긴산나트륨’을 이용한다. 알긴산나트륨과 칼슘이 ... 간다. 잘 만든 달걀흰자 거품은 지름이 10~150μm 정도다.하지만 시간이 흐르면 물과 공기가
다시
분리된다. 결국 거품이 ... ...
소똥부터 물방울까지! 별별발전소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8호
깃발이 나부끼면서 판에 닿으면 마찰이 일어나며 각각 전하가 생겨나지요. 깃발이
다시
판에서 떨어질 때, 판에 있던 전하는 판 뒷면에 있는 전극으로 모여요. 이 전하들을 흘려보내 전류를 만든답니다.연구팀이 만든 장치는 자동차뿐만 아니라 다리 같이 바람이 강하게 부는 곳이라면 어디든 ... ...
이전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