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준"(으)로 총 4,268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식] 오감만족 수학체험, 포켓몬 잡듯 수학 잡자!수학동아 l2016년 09호
- 서로 공유하고 소통하며 지속적으로 성장해 나가는 수학 체험전이지요. 실제로 2016년 기준으로 전세계 140개 도시에서 이매지너리 수학 체험전을 열었어요. 해를 거듭할수록 규모도 커지고 프로그램도 다양해지고 있어요.이매지너리 수학 체험전의 가장 큰 장점은 수학을 좋아하고, 수학으로 ... ...
- Part 3. 천사, 악마를 이겨라!수학동아 l2016년 09호
- 물론 경로2 말고도 다양한 경로를 고려할 수 있어요. 새로운 경로의 변의 개수에서 기준 경로(경로1)의 변의 개수를 뺀 값(A), 새로운 경로의 왼쪽에 포함된 붉은 칸의 개수(B)를 찾아 2B-A를 구해보세요. 이 값이 가장 큰 경로가 천사에게 최적의 경로랍니다.천사는 매 차례마다 클로스터의 전략을 써서 ... ...
- [수학동아클리닉] 재구성으로 배우는 원기둥, 원뿔, 구수학동아 l2016년 09호
- 재구성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360도로 회전시키는 회전체를 위에서 보면 원의 중심을 기준으로 도는 원을 볼 수 있습니다. 앞에서 보면 회전해서 좌우가 합동인 선대칭도형이 됩니다.원기둥, 원뿔, 구가 어디에 쓰이고 있는지 알려주면 흥미를 더 높일 수 있습니다.1. 원기둥과 구의 특성을 활용한 ... ...
- [News & Issue] 이산화탄소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있는 분야 중 하나다. 올해 미국 하버드대 연구팀이 인공광합성을 상용화할 수 있는 기준 효율(10%)을 넘기는 장치를 고안하며 관심이 더 높아지고 있다. 전세계가 이 기술에 집중하고 있는 이유는 바로 월등한 광합성 속도다. 생물로는 따라 잡을 수 없을 만큼 이산화탄소 전환 속도가 빠르다. 또 ... ...
- [Knowledge] 뼈의 말에 귀 기울이는 사람들(上)과학동아 l2016년 09호
- 구멍은 어떻게 생겼는지 등 머리뼈의 특징으로 인종을 추정한다.치아 역시 중요한 판단 기준이다. 예를 들어 앞니의 혀 쪽 면이 움푹 들어가 삽 머리 같은 모양을 한 치아는 주로 아시아인에서 나타난다. 1990년대 이후에는 이런 특징들을 수량화시켜 좀 더 객관적으로 추정하려는 연구들이 진행됐다. ... ...
- PART 1. 바벨탑은 무너져야 했을까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수밖에 없을 것”이라며 “한 층의 높이를 넉넉하게 15~20m로 잡는다고 하더라도 현대의 기준으로 아주 높은 건물로는 볼 수 없다”고 말했다.바빌론의 에테메난키, 브뤼헐의 바벨탑도 모두 하늘에 닿을 만큼 높은 건물은 아니었다. 하지만 실망하기에는 이르다. 바빌론과 브뤼헐의 초거대건축물에 ... ...
- [Tech & Fun] 운동 선수의 금지약물 복용, 효과 얼마나 지속될까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밝혀졌을 때도 말이다.그런데 올해 김재환이 완전히 달라졌다. 개막 후 현재까지(8월 12일 기준) 337타석에 들어서서 25개의 홈런을 때려냈고, 타율은 3할2푼9리나 된다. 게다가 승부를 가르는 결정적인 홈런이 많아 야구팬들의 관심을 한 몸에받고 있다. 5년 전에 사용했던 부적절한 약물이야기도 ... ...
- [Career] 미래 기술 예측하는 ‘첨단 경영’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없는 것들도 많죠. 그래서 제목, 초록, 본문 어디에서 어떻게 검색해 데이터를 추출할지 기준이 애매합니다. 또 특허 취득에는 시간이 오래 걸리기 때문에 특허가 나왔다는 것은 곧 신기술로서는 늦었다는 뜻이기도 하죠.”이 교수가 새롭게 찾은 데이터는 위키피디아다. 위키피디아에는 대상과 ... ...
- [Tech & Fun] ‘정상성’에 대한 의문, 토마스 쿤에서 찾다과학동아 l2016년 09호
- 기준으로 했다. 백인이 아니거나 비(非)남성이거나 신체 기관 중 하나가 부재해 이 기준에 부합하지 않으면, 차별 받고 배제 당했다. 한 달 내내 취재를 하면서 이런 의심은 추호도 해보지 못했다.기자가 다뤘던 첨단기술들, 소위 ‘핫’한 과학은 사실 과학이 작동하는 방식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 ...
- [지식] 들쭉날쭉 요동치는 화폐의 힘겨루기수학동아 l2016년 08호
- 나타내느냐의 차이일 뿐 같은 의미입니다. 한국을 포함해 대부분 국가는 외국 통화를 기준으로 자국통화의 가치를 나타냅니다. 즉, $1=\1,133.6처럼 쓰는 거지요.환율이 결정되는 방법그렇다면 서로 다른 통화를 사용하는 국가가 여러 개 있을 때도 같은 방법으로 계산해야 할까요? 3개국이면 3가지, ... ...
이전15015115215315415515615715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