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수님
교사
가르치기
수업
교육
정교수
선생
d라이브러리
"
교수
"(으)로 총 12,487건 검색되었습니다.
[특집] 2500년 만의 원조 논란, 우리가 먼저 알고 있었거든?!
어린이수학동아
l
2021년 11호
등이었지요. 피타고라스의 정리를 나타내는 직각삼각형이었던 거예요. 대니얼 맨스필드
교수
는 “바빌로니아 사람들이 피타고라스의 정리를 이해하고 실생활에 적용할 만큼 수학에 뛰어났다는 걸 보여준다”고 말했어요. ●인터뷰 “수학은 언제나 놀라움을 주지요!”_대니얼 맨스필드 (호주 ... ...
[수학뉴스] 수학으로 기후변화 분석한 물리학자들 노벨 물리학상 수상
수학동아
l
2021년 11호
숨겨진 패턴을 찾은 파리시
교수
역시 연구에 수학 모형을 활용했습니다. 파리시
교수
는 통계 물리학자로 수학과 인연이 깊습니다. 이처럼 노벨상에는 수학 부문이 따로 없지만, 수학을 빼놓을 수 없습니다 ... ...
[기획] 리치메이커, 수학으로 똑똑하게! 재테크
수학동아
l
2021년 11호
‘리치 메이커’에 오신 걸 환영합니다. 리치 메이커는 재테크로 부자가 되는 것이 목표인 게임이에요! 전 여러분을 도울 리치 메이커의 비서 ‘큐브’입니다!지금 바로 게임을 시작해 볼까요? ▼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기획] 리치메이커, 수학으로 똑똑하게! 재테크Part1. [기획] 부자 되 ... ...
[과학뉴스] 구름이 새로운 구름 형성을 방해한다
과학동아
l
2021년 11호
HPMTF가 황산으로 변해 결정핵이 만들어졌다. 티모시 버트램 위스콘신 매디슨대 화학과
교수
는 “황화합물이 구름의 밝기 등 다른 요소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10월 19일자에 발표됐다. doi: 10.1073/pnas.211047211 ... ...
[과학뉴스] 특이점, 사과 모양에도 숨어있다
과학동아
l
2021년 11호
지나면 스스로 부풀어오르는 젤을 이용한 실험으로도 똑같은 결과를 얻었다. 마하데반
교수
는 “주변에서 쉽게 보는 물건인 사과에서도 특이점을 발견할 수 있다”며 “사과 꼭지 주변의 성장을 제한하는 화학 신호를 밝히는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 ...
[과학뉴스] 리튬보다 효율 높인 마그네슘 배터리 전해질 개발
과학동아
l
2021년 11호
리튬이온배터리와 비슷한 수준을 기록했다.왕천쉥 미국 메릴랜드대 화학공학과
교수
는 “마그네슘이온배터리가 리튬이온배터리와 유사한 에너지 밀도에 도달한 것은 처음”이라고 말했다 ... ...
[기획] 노벨화학상, 비대칭 분자를 만드는 정확한 도구를 개발하다
과학동아
l
2021년 11호
맥밀런
교수
연구실에서 박사후연구원으로 지냈다. 2006년부터 아주대 화학과에서 전임
교수
로 재직 중이다. 그린 촉매 연구실에서 일산화탄소나 이산화탄소로 유용한 물질을 만드는 촉매와 촉매 공정을 개발하고 있다. hyjang2@ajou.ac ... ...
여성과 남성 백신 영향 차이날까
과학동아
l
2021년 11호
특별한 연관성이 없었다. 아만다 데베스 미국 존스홉킨스 블룸버그 공중보건대학원
교수
팀이 화이자, 모더나 mRNA 백신을 접종한 954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연구에서도 부작용과 항체 형성의 연관성은 발견되지 않았다. mRNA 백신을 2회 접종한 사람은 증상과 상관없이 모두 면역글로불린G(IgG) 항체가 ... ...
[융복합 파트너] 새로운 길 개척한 분자구조의 설계자
과학동아
l
2021년 11호
최근에는 빛에너지나 전기에너지를 활용한 유기합성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
교수
는 “친환경적인 에너지를 활용한 유기합성법이 최근 주목받고 있다”며 “유기합성에 사용하는 에너지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합성경로를 보이기도 해 새로운 반응을 끌어낼 수도 있다”고 말했다.이외에도 ... ...
[특집] 물고기를 잡아도 너무 잡아!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11호
있죠. 그럼에도 과학자들이 고기잡이에 주목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부경대학교 서종석
교수
는 “어획은 물고기의 수가 줄어드는 이유 중 인간이 가장 직접적으로 미치는 영향으로, 해양 생태계 보호를 위해 조절하기 더 쉽기 때문”이라 말했어요 ... ...
이전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