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과학기술"(으)로 총 8,404건 검색되었습니다.
- 우주의 특별한 공간, 블랙홀과학동아 l2019년 03호
- 빛에 대한 연구는 현대 이론물리학의 발전에 큰 역할을 했다. 빛의 이중성과 흑체복사 스펙트럼 연구에서 양자역학이 탄생했고, 관측자와 무관하게 빛의 속도가 일정하다는 사실은 상대성이론의 발견을 가져다줬다. 또 그로부터 흥미로운 시공간인 블랙홀의 존재도 알게 됐다. 빛은 세상을 밝게 해 ... ...
- [3·1운동 100주년] 대한과학 독립만세과학동아 l2019년 03호
- 구국의 심정으로 연구와 교육에 온 힘을 쏟은 조선의 과학자들이 없었더라면 지금의 과학기술 강국 대한민국도 존재하지 않았을 것이다. 대한 과학 독립 만세! ▼연관기사를 더 보려면? Intro. 대한과학독립만세Part1. 일제강점기 조선 과학자를 찾아서Part2. 대한의 모든 존재에게 한글 이름을 ... ...
- [3·1운동 100주년] 일제강점기 조선 과학자를 찾아서과학동아 l2019년 03호
- 과학자 박화영의 죽음을 아는가. 박화영은 도쿄제국대학을 졸업하고 일본 이화학연구소(RIKEN) 연구원으로 활동하던, 장래가 촉망되던 젊은 조 ... 주요 저서로는 ‘한국 근대 과학기술인력의 출현’ ‘황우석 신화와 대한민국 과학’ ‘한국 과학기술혁명의 구조’ 등이 있다. rootkgb@jbnu.ac ... ...
- '약밍아웃' 통해 본 스테로이드 부작용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정설이다. 도핑 검사 비용을 절약하고, 대회의 수준을 높인다는 이유에서다. 손정현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도핑컨트롤센터 선임연구원은 “스테로이드뿐만 아니라 흥분제(스티뮬런트), 성장호르몬, 인슐린, 약물 복용 사실을 숨기기 위한 이뇨제까지 약 500가지 금지 약물을 모두 잡아낼 수 있는 ... ...
- 화면만 터치, 디스플레이 지문인식과학동아 l2019년 03호
- 것이다. 신호가 중첩돼 제대로 지문을 인식할 수 없는 셈이다.2018년 7월 박장웅 울산과학기술원(UNIST) 신소재공학부 교수팀은 은나노와이어와 은나노섬유를 합성해 하이브리드 투명전극을 개발해 이 문제를 해결했다. 은나노와이어와 은나노섬유를 그물 형태로 쌓으면 빛이 지나갈 수 있는 빈 공간이 ... ...
- [언니오빠 논문연구소] 버려졌던 이론의 재탄생과학동아 l2019년 03호
- 노력하고 있습니다. 김문기 서울대 지구환경과학부에서 박사학위를 받고 한국해양과학기술원(KIOST)에서 연구원으로 있다. 심해퇴적물의 기원지 및 고환경 연구와 더불어, 해저열수광상과 망간단괴 등 심해저자원 개발 시 발생하는 잔사물질에 관한 연구를 수행 중이다. mgkim@kiost.ac ... ...
- [핫이슈] AR을 찍자 눈앞에 한자가 나타났다! 마법천자문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사라질 소(消)! 손오공의 마법이 모두 사라지며, 어둠으로 가득 찬 악의 세상이 올 것이다! 하하하.” 대마왕의 마법이 통한 걸까요? 그동안 에 쓰인 손오공의 한자마법이 감쪽같이 사라졌어요. 이에 손오공은 그동안 꽁꽁 숨겨뒀던 한자마법을 꺼냈어요. “윽. 부디 마지막 남은 이 마 ... ...
- Part 2. SPORTS, ENERGY, VITAMIN, COFFEE과학동아 l2019년 02호
- 낮추고, 심장과 신장 건강에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김영수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뇌과학연구소 책임연구원팀은 타우린이 치매 증상을 치료하는 데도 도움이 된다는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트’ 2014년 12월 12일자에 발표했다. doi:10.1038/srep0746 ... ...
- [TECH] 카메라는 눈높이에 스피커는 어디에?과학동아 l2019년 02호
- ‘로보트 재권V’를 만들려면 가장 먼저 어떤 것부터 시작해야 할까요? 로봇을 만들어본 적이 없는 사람들이 가장 먼저 떠올릴 수 있는 질문입니다. 머리? 몸통? 팔? 다리? 저는 항상 이렇게 답합니다. “로봇이 움직이는 상황을 머릿속으로 그려보세요.” 로봇을 왜 만들려고 하는지, 로봇을 누가 ... ...
- 새로운 도형이 나타났다! 뫼비우스 칼레이도사이클수학동아 l2019년 02호
- 다양한 시도를 했습니다. 유레카! 뫼비우스 칼레이도사이클! 일본 오키나와과학기술대학원대학교 수학, 기계 및 재료과학 연구팀의 요하네스 쇤케 연구원과 엘리엇 프라이드 교수는 칼레이도사이클을 변형하기 시작했습니다. 칼레이도사이클의 각 사면체는 90°를 이루며 연결돼 있습니다. ... ...
이전15015115215315415515615715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