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립
관립
국정
국유
국립과학관
과학관
국립현대미술관
d라이브러리
"
국립
"(으)로 총 2,388건 검색되었습니다.
세계 3번째로 큰 공룡 한국에 왔다
과학동아
l
200411
한창인 계룡산
국립
공원에 최근 새 친구가 이사를 왔다. 이름은 ‘계룡이’. 1억4천만년전 지구를 주름잡았던 ‘목 긴 공룡’이다. 계룡이는 머리부터 꼬리 끝까지 몸길이가 무려 25m, 키는 16m다. 살아 있을 당시 몸무게가 80t에 달해 지금까지 발굴된 것 중 세계에서 3번째로 큰 공룡으로 추정된다. ... ...
4. DNA로 나노벽돌 찍어낸다
과학동아
l
200411
모방한 펩티드를 만들어 펩티드 나노튜브를 만드는데 성공했다고 2002년 4월 16일자 ‘미
국립
과학원회보’ (PNAS) 에 보고했다. 인지질 분자에는 물을 좋아하는(친수성) 부분과 싫어하는(소수성) 부분이 있다. 그 결과 소수성 부분이 서로 마주보고 친수성 부분이 바깥쪽에 배열한 이중막이 자발적으로 ... ...
인간 유전자 수 파리와 엇비슷
과학동아
l
200411
2만5천개로 파리와 엇비슷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인간게놈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는 미
국립
인간게놈연구소(NHGRI)의 프랜시스 콜린스 소장은 21일 런던에서 “당초 3만-3만5천개로 알려진 인간의 유전자 수가 인간 게놈지도에 대한 정밀 분석을 통해 이보다 1만개 더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 ...
아프리카에서 겨울나는 붉은등때까치 국내 첫 발견
과학동아
l
200411
국내에서 처음으로 발견됐다.
국립
공원관리공단은 지난달 16일 전남 신안군의 다도해해상
국립
공원인 홍도에서 때까치과인 붉은등때까치 새끼 한 마리를 발견했다고 17일 밝혔다.붉은등때까치는 영어 이름인 ‘Red-backed Shrike’ 를 직역해 붙인 임시 이름이다.공단은 지난해부터 붉은등때까치와 ... ...
세계는 지금 곤충산업 붐
과학동아
l
200411
생활특성과 유전학을 접목해 유해물질을 감시하게 하는 연구도 추진 중이다. 미 샌디아
국립
연구소 제프 브린커 박사 연구팀은 유해물질을 감시하는 환경감시원으로 바퀴벌레를 이용하는 방법을 연구하고 있다. 바퀴벌레는 내성이 강하고 구석구석을 탐색하는 능력이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왔다 ... ...
연료전지
과학동아
l
200410
· 다지증(多指症) · 항문폐쇄증 등의 유전적 장애이다미국 캘리포니아주 버클리에 있는
국립
고에너지 물리학연구소 캘리포니아 대학이 운영하며, 1930년 캘리포니아 대학의 E O 로렌스가 최초로 사이클로트론을 제작했는데, 이것은 균일 자기장과 고주파 전기장을 조합시켜 사용하는 ... ...
혈관 다스려 난치병에 도전한다
과학동아
l
200410
혈관이 만들어지는 것을 확인했다.콤프-안지원의 연구결과는 세계적 학술지인 ‘미
국립
과학원회보’ 4월호에 게재됐다. 현재 국제특허도 출원 중이며, 심장병과 뇌졸중 환자에게 사용하기 위한 전임상시험을 진행하고 있다. 콤프-안지원은 앞으로 4-5년 이내에 치료제로 개발될 수 있을 것으로 ... ...
에어버스와 보잉의 에어쇼 수주전쟁
과학동아
l
200410
몰두, 유전자와 염색체의 관계를 발견했다1943년 콜드스프링 하버 연구소원, 45년
국립
과학원 여성회원에 선출되었으며 46년에는 여성으로서는 사상 최초로 미국 유전학회 회장이 되었다67년 미국 과학원이 수여하는 컴버 유전학상을 수상했으며 81년에는 앨버트 라스커 의학연구상을 수상했다83년 ... ...
첨단 음향 기술과 현대 건축이 되살린 한국의 소리
과학동아
l
200410
결과는 곧바로 국악당 설계에 적용됐다. 그 결과물이 바로 올 11월 착공에 들어가는 부산
국립
국악원이다. 국내 최초로 국악음원연구 결과를 토대로 시공된 국악전용공연장인 셈이다. 부산국악원은 2개의 전문 공연장과 야외 공연장을 갖추게 된다. 공연장은 대공연장과 소공연장으로 나뉘며 연주 ... ...
허술한 혈액 공급망 긴급 진단
과학동아
l
200409
마련해야 한다. 그래야 부적격혈액이 시중에 유통돼 수혈 사고가 발생해도 보건복지부나
국립
보건원 관계자들이 자신의 업무소관이 아니라는 안일한 태도를 보이지 않게 될 것이다.에이즈나 간염 같은 혈액 관련 질병은 감염됐더라도 검사결과 음성이 나오는 기간, 즉 잠복기가 있다. 질병에 대한 ... ...
이전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