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실현
가망
뉴스
"
가능
"(으)로 총 22,997건 검색되었습니다.
삼키는 인슐린 캡슐 개발…당뇨 환자 주사 대체 기대
동아사이언스
l
2019.02.08
해결했다. 랭거 교수는 “이번 캡슐은 인슐린 외에도 다른 단백질 치료제에도 적용이
가능
할 것”이라며 “캡슐이 상용화돼 당뇨병 환자에 쓰이길 희망한다”고 밝혔다 ... ...
국산 큐브샛 '티몬'과 '품바', 코로나 관측 나선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2.08
내렸다. 데이터 전송에 쓰인 통신기술과 영상촬영 기술이 심우주에서도 큐브샛으로
가능
함을 입증했다는 것이다. 앤디 클레쉬 JPL 수석 연구원은 “소형화 기술의 한계를 확장한 결과”라며 “미래의 큐브샛은 더 멀리 나아갈 것”이라고 말했다. NASA가 두 큐브샛을 개발하는 데 투입한 예산은 185 ... ...
척수손상, 파킨슨병 줄기세포로 치료한다…日 잇따라 임상시험 승인
동아사이언스
l
2019.02.08
입증해야 한다. 희귀질환과 난치병에 한해서는 우선 안전성이 검증되면 유효성에 대한
가능
성을 보고 규제를 완화해 주는 시스템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현철 이화여대 법학과 교수도 “재생의료에 사용되는 조직과 세포 모두 일반 의약품과는 다른 특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취급도 달라야 ... ...
난치성 만성통증 치료 방법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2.07
다시 새로운 신경이 자라나 기능을 회복했다. 말초신경은 중추신경과 달리 재생이
가능
하다. 연구팀은 NK세포를 인위적으로 활성화시킬 수 있다는 사실도 밝혔다. 오 교수는 “말초신경에 RAE-1 단백질의 양을 인위적으로 늘리자 NK 세포가 몰려들어 손상된 신경 말단을 제거했다”며 “면역치료법이 ... ...
기초연구 부족으로 상용화 속도 더딘 '인공고기'
동아사이언스
l
2019.02.07
최근 생산비용이 많이 낮아졌지만 상용화를 위해선 비용을 더 낮추고 대량생산이
가능
해야 한다. 멤피스 미트 제공 마이크로소프트(MS) 창업자 빌 게이츠와 영국 버진그룹의 리처드 브랜든 회장은 2017년 8월 미국의 인공고기 스타트업인 ‘멤피스 미트’에 수천만 달러를 공동 투자했다. 실험실에서 ... ...
태아별에서 생명 근원 ‘유기물’ 분자 첫 검출
동아사이언스
l
2019.02.07
기체가 되고, 스노우라인이 원반 바깥으로 밀려나며 넓은 영역에서 전파망원경 관측이
가능
해진다. 이 교수팀은 수많은 태아 별을 관측하며 ‘때’를 기다린 끝에, 2017년 후반에 V883 Ori가 밝아지는 순간을 포착해 관측하는 데 성공했다. 이 교수는 “세계 최초로 폭발하는 태아 별을 관측해 유기물 ... ...
출구 못찾는 출연연 용역직 자회사 설립
동아사이언스
l
2019.02.07
출연연은 지금까지도 모든 용역 직원을 직접고용 형태로 정규직 전환하는 것은 사실상 불
가능
하다며 맞서고 있다. 연구회 인재개발부의 한 관계자는 “용역 계약직 노동자 수가 많다고 해서 합의에 도달하는 게 어려운 것은 아닌 것으로 안다”며 “기관별로 공동출자회사를 바라보는 시각이 ... ...
“한국은 여성 자살률 세계 4위 국가"...전세계 자살자 수 연 80만명 돌파
동아사이언스
l
2019.02.07
현재 추세라면 2030년까지 자살률을 2015년 대비 66%로 줄인다는 세계보건기구(WHO)의 지속
가능
발전목표(SDG)에 대부분의 나라가 미달할 것이라는 것이다. 연구팀은 “27년 동안 자살률이 떨어진 것은 사실이지만, 자살 예방 활동 때문인지 전반적인 보건 수준이 개선돼서인지는 불분명하다”며 ... ...
화웨이도 폴더블폰 24일 공개…5G·폴더블폰 경쟁 격화
2019.02.06
이 자리에서 스마트폰 앞·뒤를 화면으로 쓸 수 있는 듀얼 디스플레이 스마트폰을 선보일
가능
성도 있다. 샤오미도 MWC에서 신제품 공개 행사를 처음으로 연다. 24일 5G 스마트폰 '미믹스 3 5G'를 공개할 것으로 예상된다. 샤오미 공동 창업자 중 한 명인 린빈 총재는 지난달 자신의 웨이보를 통해 양쪽 ... ...
이달의 과학기술인상에 이종호 KIST 책임연구원
동아사이언스
l
2019.02.06
결함이 발생을 줄이는 저온 열처리 기술을 최초로 개발했다. 이를 통해 상용화가
가능
한 가로 세로 5cm 수준의 큰 전지를 기존의 10배 이상의 높은 성능을 발휘하도록 제조하는 새로운 공정 기술을 완성했다. 연구 결과는 지난해 8월 ‘네이처 에너지’에 발표됐다. 이 책임연구원은 “한 분야 연구를 ... ...
이전
1537
1538
1539
1540
1541
1542
1543
1544
15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