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자신"(으)로 총 2,048건 검색되었습니다.
- [강석기의 과학카페] 동아시아 남녀불평등의 기원을 찾아서2017.05.16
- 부르주아 반동 이념으로 낙인찍혀 탄압받았다). 유교는 기존 질서를 인정하고 각자가 자신의 위치에서 최선을 다할 때 태평성대가 이루어진다고 말하는데 그 기존 질서 가운데 하나가 ‘남녀유별(男女有別)’이다. 유교를 지지하는 사람들은 ‘차별’이 아니라 어디까지나 ‘구별’일뿐 서로를 ... ...
- 사랑 받는 것에 대한 두려움2017.05.13
- 또한 잘 받아들이지 못할 수 있다고 보았다. GIB 제공 일반적으로 사회적 지지의 효과가 자신에게 너그러운 사람들보다는 비판적인 사람들에게서 ‘덜’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 스스로에게 비판적인 나머지 조건 없는 친절을 받더라도 ‘내가 이런 사랑을 받을 자격이 있을까? 설마, 진심이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암 정복한다는 신약, 세상에 나오지 못 하는 이유2017.05.10
- 뿐 실험방법에 대해서는 사실상 교육과정이 전무한 상황이다. 그러다보니 학생 대다수가 자신이 사용하는 재료나 기기에 대한 기본지식조차 없는 상태에서 주어진 과제를 해내는데 급급하다. 이렇게 학위를 받고 설사 운 좋게 과학자로 자리를 잡더라도 하던 대로 하다 문제가 터지면 열에 아홉은 ... ...
- [지뇽뇽의 사회심리학 블로그] 사소한 것에 의미를 부여하는 이유2017.05.07
- 세상이 무질서하지 않고 다 나름의 이치가 있다는 느낌을 받을 때 그 안에서 살고 있는 자신의 삶을 더 의미있게 느낀다는 것이다. GIB 제공 생각해 보면 뭐가 딱딱 맞게 떨어지는 사진이나 규칙적인 패턴을 볼 때 묘한 만족감이 생기는 반면 어딘가 잘 안 맞아 떨어지고 어긋나는 걸 보면 불편할 ... ...
- [지뇽뇽의 사회심리학 블로그] 동성애에 반대한다? 성적지향에 대한 진실과 오해2017.04.26
- 선천적 요인들과 후천적 요인들이 동시에 존재할 것으로 보고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자신의 성적지향을 단순한 선택의 문제가 아닌 것으로 여긴다. ● 동성애는 정신질환인가(Is homosexuality a mental disorder)? 그렇지 않다. 레즈비언, 게이, 바이 등의 성적지향은 정신질환이 아니다. 이런 성정체성과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일란성쌍둥이는 얼굴도 똑같이 생겼을까?2017.04.25
- 때 겪은 에피소드를 소개한 부분에 나온다. 프루스트는 유화 속에 그려진 인물들을 자신이 아는 사람들과 비교하는 습관이 있었다. 이날도 도메니코 기를란다요의 1480년대 작품 ‘노인과 소년’을 보고 파리 사교계의 명사인 마르키 드 로와 꼭 닮았다고 말했다고 한다. 알랭 드 보통은 어디서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왜 어떤 사람들은 오이를 싫어할까?2017.04.18
- 거기에는 그럴만한 이유가 있을 것이고 아마도 그 배경에는 생물적 기반이 있을 것이다. 자신의 감각세계 경험을 일반화할 수 없다는 사실을 인식한다면 다른 사람들의 취향을 존중할 수 있게 되지 않을까. ※ 필자소개 강석기. 서울대 화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했다.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 ...
- [지뇽뇽의 사회심리학 블로그] 살면서 가장 크게 후회하는 것은?2017.04.16
- 모르겠다. 손더스는 끝으로 80년 후에 만약 우리가 만난다면, 학생들은 100세가 되고 자신은 134세가 되어 만난다면 당신의 삶이 어땠는지 알려달라고, 그 때 “정말 원더풀했어”라는 말을 들려달라며 축사를 마쳤다. 늘 바쁘게 성취를 위해 달려가지만 가끔은 삶을 어떻게 살아야할지, 어떻게 해야 ... ...
- '랩온어디스크'로 질병 진단의 기초 세운다동아사이언스 l2017.04.05
- 자신감이 부족하고 소극적으로 생각하는 경우가 많았는데, 외국 경험을 하고 오면 자신감을 회복하고 목소리 톤이 높아진다"고 설명했다. 조윤경 그룹리더는 IBS 내에서의 포부도 밝혔다. "이 곳을 MIT, 하버드대의 유명 연구소보다 더 와서 일하고 싶은 곳으로 만들었으면 합니다. 저희 연구가 향후 ... ...
- 봄 타는 식물, 꽃 피우는 비밀동아사이언스 l2017.04.05
- PWR 단백질의 작용과 같이, 식물은 후성유전학적으로 DNA에 담긴 유전정보의 변화 없이도 자신의 생애 전반에 걸친 중요한 유전적 결정을 내린다. 개화나 열매와 같은 유전적 결정을 조절할 수 있는 열쇠에 관한 연구를 지속해 나간다면, 우리가 보고 즐기는 꽃과 열매가 더욱 풍성해질 것으로 ... ...
이전14915015115215315415515615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