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립
마춤
적합
뉴스
"
맞춤
"(으)로 총 1,679건 검색되었습니다.
24시간 실험실 개방… 이론-실무 겸비로 취업률 85.9% 1위
동아일보
l
2014.12.16
모델에 있다. 이론과 실험실습을 5 대 5 비율로 균형 있게 배분해 기업 및 산업현장에
맞춤
형 인재를 키우고 있다. 메인 캠퍼스가 있는 충남 천안시 동남구 병천면에 가면 24시간 불이 켜져 있는 실습실이 눈에 들어온다. 각종 첨단 실험실습장비가 구비된 80여 개의 실험실습실(LAB)이 24시간 개방된 ... ...
치아엔 티타늄-스텐트엔 니티놀, 생체 금속의 세계
2014.12.12
코발트와 크롬을 섞은 코발트 크롬은 강도가 높고 쉽게 닳지 않아 인공관절 재료로 안성
맞춤
이다. ‘유연함’으로 승부하는 생체 금속도 있다. 티타늄과 니켈을 1 대 1로 섞은 니티놀은 심장 스텐트(혈관 확장용 삽입장치) 소재로 쓰인다. 니티놀은 일정한 온도가 되면 원래 모양으로 돌아오려는 ... ...
우리 몸속 장기를 인공으로 만든다고요?
동아사이언스
l
2014.12.03
혁신적인 기술로 떠오르고 있다. 최근 3D 프린터는 정교한 제작기법, 저렴한 제작비용,
맞춤
형 제작 등의 특성으로 제조업계의 핫이슈가 되고 있다. 이러한 3D 프린터를 조직공학에 응용하면 뼈, 근육, 귀는 물론 간이나 심장 같은 인공장기를 프린팅 하여 바로 환자에게 적용할 수 있는 공상과학 ... ...
고대 화성에서 온 조난자, 운석
2014.11.30
알아냈다. 연구팀은 암세포 속의 돌연변이된 펩티드 물질을 구분할 수 있게 되면 환자
맞춤
형 면역조절항암치료약을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현재 제약업계에서는 면역조절항암치료제가 향후 10년 뒤 항암제 시장의 60%를 차지하는 35조 원 규모로 성장할 것이라고 전망한다 ... ...
누구나 스마트폰으로 질병 관리 “2018년 상용화”
2014.11.06
개인
맞춤
형 건강관리 서비스도 받을 수 있게 된다. ETRI는 여기에 개인정보를 활용한
맞춤
형 건강분석 기술 역시 개발할 계획이다. 개인 건강정보를 수집해 빅데이터로 활용하고 분석해 공공건강 데이터를 만들기 위한 위한 지식 맵(Map)을 구축 하겠다는 것. 이 서비스는 개인정보 이용에 동의한 ... ...
스트레스와 우울증 관계 처음 밝혀졌다
2014.10.22
결과”라며 “이 결과를 활용하면 사람마다 제각각인 스트레스 회복력을 측정해서 개인
맞춤
형 치료기술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네이처 자매지인 ‘분자정신의학’ 22일자에 게재됐다. ... ...
나노바이오융합기술 세계 최고 석학 루크 리 UC버클리 교수
2014.10.20
유도만능줄기세포를 바이오칩 위에 배양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세포를 이용해서 환자
맞춤
형 의약품을 만드는 데 필요한 많은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현재 신약을 개발하는 데 있어서 가장 큰 문제는 실험 과정에서 인간이 아닌 동물 모델을 이용한다는 점이다. 동물 모델은 인간의 생물학적 특징과 ... ...
“손목에 스마트 밴드 차니 3㎏이 쑥 빠졌네~”
2014.10.05
신상정보와 신체상태에 따라 간호사나 운동처방사, 영양학 박사 등 전문상담인력이
맞춤
건강상담을 해주는 헬스케어 서비스도 함께 운영한다. 태세원 녹십자 전략기획팀 과장은 “스마트 밴드로 24시간 건강 정보를 수집하면 사용자는 자신의 신체 변화를 수시로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목표를 ... ...
‘괜사’ 조인성 앓는 ‘조현병’ 원인 밝혀졌다
2014.09.16
교수는 “이 연구 결과를 활용하면 조현병의 개별 증상을 일으키는 발병 경로에 대한
맞춤
형 치료법을 찾아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15일자 미국 ‘정신의학저널’에 실렸다. ... ...
[동아쟁론] 과학교육 홀대 논란
동아일보
l
2014.09.12
이러한 이유에서 고등학교 공통과목이나 교과별 필수 이수단위는 학생들의 진로에 따른
맞춤
형 교육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정 수준을 유지해야 한다. 물론 다른 의견도 있다. 과학계는 국가경쟁력 강화를 위한 과학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과학 기초소양 함양을 위해서는 과학 교과 ... ...
이전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