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알력
충격
불화
싸움
격돌
접촉
불일치
d라이브러리
"
충돌
"(으)로 총 2,109건 검색되었습니다.
2. 지구 위협하는 블랙리스트 300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과거 사진건판을 분석한 결과, 가능성이 없다고 판명된 천체들이다. 물론 아직도
충돌
가능성이 배제되지 않은 소행성도 있다. 소행성 명명법소행성 발견자는 새로 찾은 소행성에 임시이름을 붙인 다음, 그것을 소행성센터(MPC)에 보고한다. 이때 ‘X’와 같은 흔한 문자는 쓰지 않으며, 길이는 ... ...
첨단 토목공학이 건설한 한국 최장의 다리 서해대교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주탑과 상판을 서로 연결한다. 케이블 하나가 받는 힘은 3백60-8백50t 정도이다. 차량
충돌
과 같은 예기치 않은 사고로 인해 케이블이 손상될 경우까지 고려해 역학적으로 설계됐기 때문에 교통제한 없이 문제가 있는 케이블만 교체할 수 있다.사장교는 힘차게 하늘로 솟은 주탑과 케이블의 배치가 ... ...
타우 제로 (Tau Zero)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그런데 우주선이 지구로부터 9광년 정도 떨어졌을 때, 예기치 않게 작은 암흑 성운과의
충돌
사고가 일어나 감속시스템이 고장나버린다. 이를 고치기 위해서는 고장난 부분에 수리 로켓을 보내야 하지만, 그러자면 전자기력장을 제거해야 한다. 하지만 전자기력장을 제거하면 승객들은 강력한 ... ...
골프공 최고 시속 3백km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대해 “마치 채찍질을 하듯 효과적인 가격”이라고 평가한다. 골프공에 최종적으로
충돌
하는 부분은 골프채 헤드지만 이런 힘(속도)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몸 전체와 골프채의 움직임이 함께 어우러지는 것이다.울퉁불퉁한 공의 속도가 더 빠르다골프공의 표면은 왜 곰보투성이인가. 야구공에 ... ...
소행성과 혜성 기원 밝히는 니어-슈메이커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7월31일 미국의 달탐사선 루나 프로스펙터가 그의 유해를 담은 작은 캡슐을 싣고 달에 가
충돌
하면서 최초로 달에 묻혀 생전의 꿈을 대신 이루게 됐다.그리고 이번 니어 탐사선에도 그의 이름이 붙여지는 영광을 얻었다 ... ...
고등학생이 제시한 우주쓰레기 해결방안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올해 컴퓨터창의성대회 고등부 금상 수상팀의 통통튀는 아이디어다. 이들은 물체에 따라
충돌
후 어떻게 속도가 변하는지를 나타내는 ‘탄성계수’라는 과학적 지식을 잘 응용했다. 이 외에도 자기장을 이용해 우주쓰레기를 지구 대기권으로 끌어들인다든지, 쓰레기의 이동 궤도를 계산해 레이저로 ... ...
우주속 숨은그림 찾기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해서 ‘더듬이은하’로 불린다. 더듬이은하는 실제로 두개의 은하(NGC 4038/4039)가
충돌
하고 있는 모습을 보여주는 끔직한 우주교통사고의 현장이다. 더듬이는 이런 와중에 뛰쳐나온 물질이 이룬 모습이다.우주에 사는 에스키모우주에서 가장 화려한 모습을 자랑하는 성운에는 여러종류가 있다. ... ...
천왕성을 찾아보자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낮이 계속되고 다른 한쪽에서는 밤이 된다. 아마도 천왕성이 갓 태어날 무렵 거대한
충돌
이 일어났기 때문에 자전축이 많이 기울어진 것으로 짐작된다.천왕성은 11월 밤하늘에서 5.7등급 정도로 빛나므로 쌍안경으로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주어진 성도에는 11월 한달 동안의 천왕성의 위치가 ... ...
사랑의 신 에로스 베일 벗다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무엇으로 어떻게 만들어졌는가, 지구에서 발견되는 운석과 어떤 관계가 있는가, 지구에
충돌
하기 전에 파괴하기 위해서는 얼마만큼의 미사일이 필요한가 등의 문제에 대한 해답을 얻기 위해 소행성을 가까운 곳에서 지속적으로 관찰할 필요가 있다. 이번 니어-슈메이커의 에로스 탐사는 지구 궤도에 ... ...
② 양자론 구축의 대들보 빛과 물질의 이중성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hv/c)을 가진 입자로 취급하고 X선 산란을 당구공의
충돌
처럼 전자와 ‘X선 양자’의
충돌
과정으로 풀었다. 그리고 뒤이어 1923년에는 자기 해석을 뒷받침하는 정밀한 실험값을 발표했다(그림3).콤프턴의 연구는 X선이 공간에서 입자처럼 진행한다고 해석될 수 있었다. 당시까지 빛과 X선의 입자성 ... ...
이전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