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총"(으)로 총 3,590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계의 원리가 한눈에 쏙~! 어메이징파크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1호
- 마치고 실내 전시관으로 들어서자, 속이 훤히 보이는 전시물들이 기자단을 맞이했어요. 총 3층으로 구성된 실내 전시관에는 기계의 원리를 체험할 수 있는 200여 가지의 다양한 전시물들이 가득했지요.전시관에서 가장 큰 관심을 받은 건 1층에 있는 ‘어메이징스윙’이에요. 어메이징 스윙은 ... ...
- [생활] 요트 과학적 스포츠의 추억수학동아 l2015년 11호
- 경로를 세 번 돌아 결승선에 들어오는 방식이다. 요트가 출발해서 결승선에 오기까지 총 이동 거리는 약10km다.경기가 시작되고 모터를 끈 요트는 돛의 방향을 조절해 바람을 이용한다. 단, 바람과 돛이 이루는 각도가 45°이하인 구역에서는 요트가 앞으로 가기 힘들다. 이런 구역을 ‘노고존(No Go Zone ... ...
- [창의] 모바일과 블록을 잇다, 모블로수학동아 l2015년 11호
- 연구팀과 공동으로 소형로봇과 모블로를 합치는 연구도 진행 중이다.모블로는 현재까지 총 일곱 가지 콘텐츠를 갖췄다. 대표 콘텐츠인 ‘블록메이커’는 컴퓨터 화면 속 그림과 똑같이 블록을 쌓는 게임이다. 3D 설계도를 이리저리 돌려 보며 결과물을 만들어야 하기 때문에 공간 지각 능력을 ... ...
- “거북선은 3층, 큰 대포는 앞에만”과학동아 l2015년 11호
- 배 양옆에 있었다면 포를 쏠 때마다 배가 뒤집혔을 것이다. 그래서 천자·지자총통은 2층과 3층 전면에 배치했을 걸로 예상된다.Q 거북선의 상징인 등껍질에 대한 새로운 발견이 있나A 흔히들 거북선의 등껍질이 돔구장처럼 완전히 덮인 모양일 것이라고 오해한다. 그러나 그렇게 거북선을 만들었다면 ... ...
- Part 2. 메가이터, 생태계를 바꾸고 진화를 일으키다과학동아 l2015년 11호
- 때 성장속도와 체형이 훌륭한 송아지 40여 마리를 고른다. 이들의 정액을 이용해 20마리씩 총 800마리의 새끼를 낳게 한다. 2년 뒤 이 새끼들을 도축해 체중, 근내지방도(마블링), 등심단면적, 등지방 두께 등을 기준으로 좋은 고기를 판별한다. 그 송아지들의 아빠 소가 드디어 유전능력이 보증된 ... ...
- 범인의 신원 정보를 먼지가 알고 있다고?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위해 유전자를 분석했다.분석 결과 참가자들이 보내온 집 안팎의 먼지 샘플에서 총 12만5066종의 세균과 7만2284종의 곰팡이가 나왔다. 실내 먼지에서는 평균적으로 한 가정 당 5000종 이상의 세균과 2000종 안팎의 곰팡이류가 발견됐다. 의외로 집안에서 채집한 먼지가 집밖에서 채집한 먼지보다 세균과 ... ...
- [지식] 테렌스 타오, 83년 묵은 수학 퍼즐 풀다!수학동아 l2015년 11호
- 있다면 3의 배수와 6의 배수에서 양이 2마리 더 많아 골고루 섞여 있지 않다. 하지만 총 11마리가 있다면 모든 부분 수열에서 1을 넘지 않게 만들 수 있다. 즉 골고루 섞이게 배열할 수 있다.증명만 1만 5000쪽!여기까지가 불과 몇 년 전까지 알려져 있던 내용이다. 1과 -1을 길게 늘어놓았을 때 앞에서 ... ...
- [수수께끼 3] 캐럴이 사랑한 수 42수학동아 l2015년 11호
- 윤년이다.여왕이 태어난 날은 1758년 6월 3일이다. 이때부터 1859년 6월 2일까지 101년 동안 총 24번 윤년이 있다. 따라서 101년은 (77×365)+(24×366)으로 계산해 더한다. 이제 6월의 남은 날 수 28일, 7월과 8월, 10월은 31일, 9월은 30일, 11월은 4일이 있으므로 이수를 각각 더한다. 그러면 37044가 ...
- [Photo] 지구에서 체험하는 화성 라이프!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있다.화성학회는 유럽과 호주에도 연구소를 설치할 계획이다. 계획대로 된다면 연구소는 총 네 군데가 된다.1 바위에서 샘플 채취로버가 가지 못하는 복잡한 지형에는 사람이 직접 간다. 한 연구원이 험준한 바위 위에 올라 샘플을 채취하고 있다.2 채취한 샘플 연구연구소로 돌아온 대원들이 낮에 ... ...
- 천문학자 김담, 조선의 우주를 열다과학동아 l2015년 11호
- 혜성 관측 기록이 이전보다 풍부해졌다는 점이다. 그때까지 혜성 출현을 확인한 것은 총 8번이었고, 1회에서 최대 6회 관측에 그쳤다.하지만 1450년 이후 혜성이 나타날 때마다 관측 횟수가 최대 38회까지 많아졌고, 관측 내용도 혜성이 출현한 방위와 별자리, 꼬리의 길이까지 상세해졌다. 또 이순지와 ... ...
이전14915015115215315415515615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