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동
양도
이주
이사
천거
이식
전출
d라이브러리
"
이전
"(으)로 총 3,756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은하 안방 차지하고 무수한 별 먹었다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거대질량 블랙홀들이 급속히 성장하기 시작하는 시기는 우주의 나이가 7~9억 년 또는 그
이전
이었다는 결론이 나온다.그런데 태양질량의 10억 배나 되는 블랙홀이 이미 초기 우주에서 존재한다는 사실은 또 다른 수수께끼를 던져주고 있다. 현재까지 천문학자들이 알고 있는 한 블랙홀을 만들어 낼 수 ... ...
Part 5. 동해의 탄생에 얽힌 수수께끼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분석 결과들이 속속 나왔다.연구 결과 일본이 떨어져 나가면서 새로운 바다가 생겨나기
이전
에 동해에 해양 지각이 형성됐다는 증거들이 나왔다. 대륙에 작용하는 힘 때문에 정단층이 생기고 이를 따라 지반이 내려앉아 열곡이 형성됐다. 열곡 주위가 올라오면서 대륙 지각이 분리되고 마그마가 ... ...
뇌신경 지도를 그린다!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알아도 그 연결이 어떤 기능을 하는지 모른다면 쓸모없는 정보일 수 있기 때문이다.
이전
까지는 이것을 알아내기 위해 뇌파나 기능적 자기공명영상(fMRI)을 이용했다. 하지만 최근 신경과학 분야에서 광유전학(optogenetics)이 발달하면서 더욱 정확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길이 열렸다. 광유전학 기술을 ... ...
모든 비과학에 맞선다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심경 변화가 있었을까.그렇지 않다. 도킨스는 모두가 읽을 수 있는 편하고 쉬운 책으로
이전
까지 해오던 논쟁을 다시 하려는 듯 하다. 거기에는 여전히 공고한 과학의 적수들이 도사리고 있다. 그는 신화와 미신 등 비과학적 요소의 공격에 맞서 과학을 수호하려는 전사 역할을 자처하고 있다 ... ...
불타는 얼음 정말 불내나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70km 지점에서 세계 최초로 가스하이드레이트 해저 시험생산을 위한 굴착이 시작됐다.
이전
에 북극의 영구동토층에서 시험생산이 이뤄진 적은 있었지만 이번엔 그보다 난이도가 훨씬 높고 쓸모가 많은 ‘해저 시험생산’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깊다. 이 일대의 가스하이드레이트 매장량은 1.1조m3로 ... ...
'머리 큰 아기' 엄마는 괴로워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골반 뼈는 현생 인류 여자의 골반 뼈와 매우 비슷한 모습을 하고 있습니다. 이는 그
이전
에 살았던 친척 인류인 여자 오스트랄로피테쿠스 아파렌시스(‘루시’)의 골반 뼈와 확연히 다른 모습입니다. 호모에렉투스 때부터 큰 머리를 가진 신생아가 태어났을 가능성이 크다는 뜻입니다.인류는 큰 ... ...
과학을 품은 조선 온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5호
부분에 온실 설계법과 온실에서 식물을 기르는 방법이 자세하게 나와 있다고 해.
이전
까지는 세계 최초의 난방 온실로 1619년 독일의 난로를 이용한 온실이 알려졌어.하지만 조선 온실은 이보다 무려 170년이나 앞서 만들어졌단다. 지금처럼 유리나 비닐같은 재료가 없던 시절에 온실을 만들다니…. ... ...
아이디어가 번쩍! 수학적인 특허소
수학동아
l
2012년 05호
발명품을 남겼거든요. 다양한 기계를 발명한 것은 물론이고, 비행기가 발명되기 훨씬
이전
에 새의 날개를 본 뜬 글라이더도 만들었습니다.최초의 계산기를 발명하다!블레즈 파스칼(1623.6~1662.8)현재 복잡한 계산을 직접 하지 않아도 되는 것은 다 저 때문입니다. 제가 최초로 기계식 수동 계산기를 ... ...
Part3. 비판과 한계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시간적 한계는 빅뱅 이후 38만 년 이후부터다. 이 경계를 “최후산란면”이라고 하며, 그
이전
은 오직 중력이 시공간에 미친 요동인 ‘중력파’를 통해서만 확인할 수 있다. 이형목 교수는 “주기적 다중우주설에서는 빅뱅 직후 중력파가 나오지 않는다고 본다”며 “반면 인플레이션 우주론에 ... ...
차세대 연료전지 나노 기술로 상용화 앞당긴다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같습니다. 하지만 리튬전지를 생각해 보세요. 1998년에 우리나라에서 처음 사용됐습니다.
이전
까지는 고성능 배터리가 없어 휴대용 전자제품은 상상할 수도 없었습니다. 그런데 지금 보세요. 노트북, 휴대전화 등 이차전지(충전해 반복해서 쓸 수 있는 전지)가 모든 전자제품에 사용되고 있습니다. ... ...
이전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