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위치"(으)로 총 6,664건 검색되었습니다.
- [Career] ‘한국의 젊은 노벨’ 한 자리에과학동아 l2017년 10호
- 과학경진대회인 ‘한화 사이언스 챌린지’의 본선 및 시상식이 8월 23~25일 경기 가평군에 위치한 한화 인재경영원에서 열렸다. 올해로 7회째를 맞는 이번 대회는 한화그룹이 주최하고 교육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과학창의재단이 후원했다. 올해는 ‘Saving the Earth(지구를 살리자)’라는 주제로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오로라의 충격 고백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9호
- 있었어요. 오로라는 아빠에게 구조를 요청했지요.“이런…. 신호가 너무 약해서 정확한 위치를 알 수 없구나. 대신 몇 가지 단서를 잡았단다. 그곳은 두 판이 부딪혀 만들어지는 곳으로, 세계에서 가장 깊은 바다 근처란다. 어딘지 알겠니?”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는 구슬처럼 생긴 둥근 구 ... ...
- [과학뉴스] 가상현실에서 미키마우스와 놀 수 있는 ‘요술 의자’과학동아 l2017년 09호
- 센서가 사람의 동작을 평면이 아닌 3차원으로 인식해서 입력해 주면 설계된 프로그램이 위치와 행동을 계산해서 캐릭터의 반응을 실시간으로 화면에 출력해 준다. 예컨대 캐릭터가 공을 건네주면 사람이 받는 것 처럼, 화면에는 실제로 교감하는 듯한 영상이 나타난다. 특히 의자 밑에는 ... ...
- [Issue] 경주 지진 벌써 1년, 석가탑과 첨성대 큰 지진에 견딘 비결과학동아 l2017년 09호
- 수 있다. 또한 각 단을 이루는 돌은 안쪽으로 뿌리가 길게 뻗어 있어 무게 중심이 안쪽에 위치해 쉽게 붕괴되지 않았다. 첨성대에서 가장 놀라운 점은 지진파의 충격을 감쇄시키는 ‘무게추’가 달렸다는 것이다. 현대 건축물에는 지진에 대응하기 위해 보강재를 넣어 건물이 무너지지 않게 하거나 ... ...
- Part 2. 5人 5色 인터뷰과학동아 l2017년 09호
- 책임연구원을 만났다. 그는 영상처리 전문가로, 뇌 자기공명영상에서 종양의 위치와 크기, 모양을 파악해 자동으로 3차원 종양 그림을 만드는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고 있다. 3차원 뇌 종양 그림 자동 추출하는 소프트웨어이 책임연구원은 국립목포대 전자공학과(현 전자·정보통신공학과)를 ... ...
- [수학뉴스] 수학으로 탄생한 ‘인생샷’ 제조 앱수학동아 l2017년 09호
- 화살표로 안내하는 앱을 개발했어요. 얼굴의 크기를 줄일지 키울지, 광원과 얼굴의 위치는 어디가 좋은지 화살표로 알려줘요. 100명에게 설문 조사한 결과, 이 앱으로 찍은 사진이 일반적인 카메라 앱으로 찍은 사진보다 26% 높은 평점을 받았어요. 앞으로 인생샷을 많이 건질 수 있겠죠 ... ...
- 날아가던 새가 야구공에 맞을 확률수학동아 l2017년 09호
- 지구에서 최대로 활동할 수 있는 영역을 구했다. 또 새가 애슐리 영이 있던 위치에 똥을 쌀 확률을 구하고, 여기에 애슐리 영 선수 입의 면적과 올드 트래포트 경기장 면적에서 애슐리 영이 차지하는 비율까지 고려했다. 그 결과, 새가 똥을 쌌는데 애슐리 영 선수 입에 들어갈 확률은 3.831059467787×10-1 ...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7년 09호
- 결정짓습니다. 형태형성물질은 세 가지 특징을 갖고 있습니다. 첫째는 배아의 특정 위치에서만 나옵니다. 두 번째는 분출된 이후에 한 곳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널리 퍼집니다. 영화가 끝난 직후 상영관에서 관객들이 우르르 쏟아져 나오는 모습을 상상하면 이해가 쉽겠네요. 마지막 특징은 ... ...
- [김종락 교수의 보드게임 페스타] 페그 솔리테어의 필승 전략 클라인 4원군!수학동아 l2017년 09호
- , -3), (3, 1)를 비웠을 때와 같을 거예요. 보드판을 가로축 혹은 세로축으로 접었을 때 같은 위치에 놓이니까요. 이처럼 보드판을 회전했을 때 또는 대칭시켰을 때 같은 것을 제외하면 노란색으로 표시한 (0, 1)과 (0, 2), (0, 3), (-1, 1), (-1, 2), (-1, 3), 원래 가능한 (0, 0)까지 총 7곳(노란색)을 ...
- [Photo] 천연 내비게이션, 자철석과학동아 l2017년 09호
- 퇴적층인 호상철광층에 주로 매장돼 있다. ‘천연 내비게이션’으로 활용지금이야 위성위치확인시스템(GPS)이 보편화돼 있어 목적지 정보만 있으면 휴대전화로 쉽게 길을 찾아갈 수 있지만, 이런 길잡이가 없었던 과거에는 방향을 확인하기 위해 자철석으로 만든 ‘천연 내비게이션’인 나침반을 ... ...
이전14915015115215315415515615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