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분야"(으)로 총 7,602건 검색되었습니다.
- [Interview] KWMS-엔씨문화재단 젊은여성수학자상수학동아 l2018년 08호
- 정보를 안전하게 분석하는 연구를 하듯이 미처 생각하지 못했던 분야를 융합해 새로운 분야를 개척할 수도 있습니다. Q. 좋은 수학자가 되려면 어떤 자질이 필요할까요? 이영애 교수: 열정과 성실성, 끈기가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Q. 지금까지 만났던 분 중에 닮고 싶은 수학자나 ... ...
- [매스미디어] 뮤지컬, 프랑켄슈타인수학동아 l2018년 08호
- 때문이지요. 이뿐만 아니라 랭턴은 1987년 9월 ‘제1회 인공생명회의’를 열어 인공생명 분야를 알리는 데도 큰 역할을 했습니다. 현대의 과학자들은 소설 속 괴물 같은 인공생명을 아직 만들지 못 했습니다. 언젠간 빅토르가 해냈던 것처럼 인공생명체를 창조할 수도 있겠죠. 하지만 그전에 우리가 ... ...
- [Future] 1회 충전으로 609km 주행, 누가 수소차를 무시하나과학동아 l2018년 08호
- 개발에 적극적으로 투자를 시작했다. 우주선에 쓰인 수소연료전지를 가장 처음 응용한 분야가 자동차였다. 제너럴모터스(GM)가 최초의 수소전기차 ‘일렉트로 밴’을 1966년에 선보인 것이다. 일렉트로밴은 1회 충전으로 약 193km를 주행할 수 있었고, 최고 속력은 시속 약 113km였다. 하지만 ... ...
- [Issue] AI는 인간의 ‘후배’인가과학동아 l2018년 08호
- 정홍식연세대 물리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고, 삼성전자에서 21년간 메모리반도체 분야 연구 개발에 참여했다. 상무로 퇴직한 뒤 연구자로서의 꿈을 펼치기 위해 2016년 9월 중국으로 향했다. 현재 중국 칭화대 전자공학과 교수 및 인공지능센터 연구원으로 인공지능용 소자 연구를 하고 있다 ... ...
- 신과람 교사가 직접 들려주는 교내 R&E 활동, 어떻게 해야 할까?과학동아 l2018년 08호
- 사소한 것이라도 좋습니다. R&E는 어느 정도 시간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자신이 좋아하는 분야나 궁금한 주제를 찾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다음 준비운동은 선행연구 보고서나 논문을 찾아보는 것입니다. 첫 번째 준비운동으로 떠올린 단어들과 관련된 보고서나 논문을 찾아서 전체적인 연구 ... ...
- Part 6. 상상할 수 있는 초고층건물의 끝은?수학동아 l2018년 07호
- 보면 언젠가 이뤄질 가능성은 얼마든지 있다. 정 센터장은 “40년이 넘는 시간 동안 건축 분야에서 연구하면서 이뤄지지 않을 것 같던 상상이 실현되는 것을 많이 봐왔다”며, “불가능한 생각을 가능한 것으로 바꿔보겠다는 도전정신을 가져야 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 ...
- [필즈상] 미분기하학 분야 필즈상 0순위, 시몬 브렌들수학동아 l2018년 07호
- 흐름이란 평균 곡률에 의존하도록 리만 다양체의 위치를 변화시키는 걸 말합니다. 같은 분야를 연구하고 있는 서검교 숙명여자대학교 수학과 교수는 “브렌들 교수가 계속해서 좋은 연구를 선보이고 있기 때문에 필즈상 수상이 유력하다고 생각한다”면서, “2014년에는 당시 수상자인 마리암 ... ...
- Part 1. 세상에서 가장 섬뜩한 분해 작업 ‘소인수분해’수학동아 l2018년 07호
- 하던 법학자였다. 분명 취미로 한 수학이었지만, 페르마는 정수론과 기하학, 미적분학 등 분야를 가리지 않고 수학에 심상치 않은 업적을 두루 남긴다. 문제는 정리나 추측에 대한 증명을 발표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래서 혹자는 페르마가 수학적 아이디어를 떠올린 뒤 증명을 못해서 발표하지 ... ...
- Part 4. 연륜 NO인정? 뿔난 노인장의 역습수학동아 l2018년 07호
- 성과를 내는 수학자는 많다. 프랑스의 수학자 장 피에르 세르는 젊었을 때부터 위상수학 분야에 많은 업적을 냈지만, 나이가 들어서도 꾸준히 연구하고 있다. 91세임에도 논문을 내고 있는데, 2018년 5월에는 ‘코호몰로지’라는 대수적 구조와 관련된 논문을 아카이브에 올렸다. 응용수학의 스타 ... ...
- [영재교육원 탐방 6] 기초 교육을 탄탄하게, 연세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수학동아 l2018년 07호
- 보이지 않는 기둥이 튼튼해 오래 갈 수 있는 건물을 지을지는 자신의 선택이다. 다양한 분야에서 활약할 연세대 과학영재교육원 학생들의 모습을 기대해 본다 ... ...
이전14915015115215315415515615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