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스타
star
태양
해
d라이브러리
"
별
"(으)로 총 3,582건 검색되었습니다.
색소폰과 클라리넷 부는 공학자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때 우리나라 음향공학 박사 1호였을 겁니다. 우리 연구실에는 소리에 관한 연구라면
별
의뢰가 다 들어왔죠. 일단 외부에서 연구 의뢰가 들어오면 다시는 이와 비슷한 일로 찾아오지 않도록 근본적으로 파고들었습니다.” 수중음향 연구에서 국악기 개량까지메디슨에서는 초음파 영상진단기에 ... ...
일본 최초 우주실험실 '키보' 발사 성공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날개를 포개고 하강하는 새의 모양이다독수리자리의 1등성 알타이르의 바로 동쪽에 있는
별
자리 천구상(天球上)의 위치는 적경 20h 10m~21h 05m, 적위 +2°~+21°에 연한다3개의 4등성과 1개의 5등성이 작은 마름모 꼴을 하고 있고 여름철 끝무렵 초저녁에 남쪽 하늘 높이에서 볼 수 있다9월 하순 저녁 8시경에 ... ...
밤하늘에서 한국 최초 우주인과 마주보다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될 때가 관측하기 쉽다. 표 안에 있는 ISS 그림 밑 ‘Star chart’를 클릭하면 실제 성도(
별
자리 지도)를 배경으로 ISS가 지나가는 궤적을 볼 수 있다. 성도 위쪽이 북쪽 하늘, 왼쪽이 동쪽 하늘이다.ISS가 나타나는 시간에 이 성도를 갖고 나가 사진을 찍어 보자. ISS는 매우 밝지만 도심에서 사진을 찍으면 ... ...
호주의 사막 한가운데서
별
빛으로 샤워하다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사진에 생동감을 불어넣어 준다.감도(ISO)는 800~1600 사이가 무난하다. 조리개는 어두운
별
빛을 담아내야 하므로 최대한 개방한다. 자, 이제 준비 끝.구도를 정한 다음 15초에서 30초 사이로 노출 시간을 바꿔가며 사진을 찍어보자. 사진을 찍고 난 뒤 바로 확인하며 최적의 설정을 찾는 일은 디지털 ... ...
폭설과 혹한에서 전원 살아 귀환하라!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취재를 마친 다음날 기자는 모스크바에서 북서쪽으로 40km 떨어진 ‘즈뵤즈드늬 가라독’(
별
의 도시)에 있는 가가린우주센터를 방문했다. 지금까지 전세계 30여개 나라에서 420명이 넘는 우주인을 배출한 아곳은 ‘세계 우주인의 요람’으로 불린다. 고 씨와 이 씨도 지난해 3월부터 이곳에서 훈련을 ... ...
우리은하 향해 돌진하는 거대한 가스구름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90° 떨어진 곳을 강타할 것으로 보인다. 록맨 박사는 “이때 생긴 충격으로 수많은
별
이 빠른 속도로 새로 태어날 것”이라며 “밤하늘 은하수에서 거대한 ‘폭죽놀이’를 볼 수 있을지도 모른다”고 말했다 ... ...
기네스북에 오른 괴물 포켓나이프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성운의 伴星雲 등) 외에 이른바 왜성운(矮星雲)이 총수의 약 3분의 1을 차지한다
별
의 내부나 대기 등에서 국부적으로 온도가 균일하고 열역학적 평형이 유지되는 상태 이때의 열평형은 빛의 흡수 · 방출이 키르히호프의 법칙을 따르고 원천함수(源泉函數)가 플랑크의 복사함수로 주어질 때를 ... ...
별
빛보호지구에 남은 시간의 기록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
별
빛이 흐르는 곳에 청정한 삶이 있습니다.
별
빛의 낭만과
별
을 사랑하는 마음을 모두어 달도
별
도 쉬어가는 아름다운 산하 강림면 월현리 지역을
별
빛보호지구로 선포합 ... 밤하늘 어디 있는지 확인하고 싶은 사람은 이날 밤, 달 바로 옆 소곤거리듯 붙어 있는
별
무리를 확인해 보자 .. ...
돌연변이 생쥐로 뇌 신비 밝힌다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실제 통증자극을 줬을 때 억제 효과가 있는지 테스트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렇게 선
별
된 분자가 최종적으로 사람을 대상으로 한 임상시험을 통과하면 신약으로 탄생한다.한편 간질이나 정신분열증, 운동장애 등 다양한 신경계 관련 증상에 관여하는 유전자의 기능이 좀 더 명확히 밝혀짐에 따라 ... ...
사형용 '죽음의 칵테일' 시험대 올라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용도가 급증하고 있다겨울철에서 봄철에 걸쳐 남쪽 지평선 가까이 보이는
별
자리 1872년 아르헨티나에서 남천(南天)을 관측한 B A 굴드가 나침반자리를 제창, 1922년 국제천문연합회에서 채용되었다대략적인 위치는 적경(赤經) 8h 50m, 적위(赤緯) -28°이다용융(溶融)나트륨을 냉각재로 사용하는 원자로 ... ...
이전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