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농도
밀집 상태
비중
에너지밀도
에너지
에네르기
빽빽함
d라이브러리
"
밀도
"(으)로 총 1,868건 검색되었습니다.
벽에 부딪친 초전도 연구에 돌파구 제시한 고려대 최동식 교수
과학동아
l
1993년 09호
일어날 때는 기체적 관점을 갖기 쉬운데 오히려 동일한 조건(같은 압력, 같은 온도, 같은
밀도
)에서는 액체가 점성이 작다고 주장한다. 요약하면 전자의 흐름을 액체적인 파동현상으로 파악할 때 저항이 0이 된다는 설명.최교수는 양자통계역학이나 액체론 전공자들이 초전도연구에 참여한다면 ... ...
혼돈이론 응용 전자공학의 새 세계 연다
과학동아
l
1993년 09호
혼돈이론을 적용한 세탁기를 개발해 크게 소개된 바 있다.(그림 4)는 경북대 고
밀도
집적회로 연구실에서 고안한 카오스 선풍기다. 종래의 선풍기에서는 회전체를 좌우로 회전시키거나 선풍기 모터의 회전속도를 시간에 따라 강약으로 조절함으로써 바람의 세기에 변화를 주고 이를 자연풍이라 ... ...
금성 목성 토성 어떻게 관측하나
과학동아
l
1993년 09호
행성과는 달리 그 크기가 크면서 형태가 타원에 가깝다. 주성분은 수소와 얼음이며
밀도
가 1.5이하이면서 자전주기가 20시간 이하다. 일정치 않은 행성들의 움직임밤하늘에는 밝은 별, 어두운 별 등 셀 수 없이 많은 별들이 하늘을 가득 채워 빛나고 있다. 지구의 자전에 의해 별들은 시간과 계절에 ... ...
안드로메다 은하계서 두개의 핵 발견
과학동아
l
1993년 09호
안드로메다 은하계의 중심부를 연구해온 천문학자들은 그곳에서 두개의 핵을 발견했다.
밀도
높게 결집된 한개의 별무리에는 하나의 핵이 있어 야 함에도 불구하고 두개의 핵이 발견됨으로써 이들은 은하를 교란시키는 격렬한 힘에 대한 새로운 수수께끼에 직면하게 됐다.안드로메다 성운의 M31 ... ...
세계 최초로 '전자의 액체론적 파동성격' 주장한 새개념 초전도 이론
과학동아
l
1993년 09호
여기서 금속 반도체 절연체 모두를 다 전자다공성물질이라 부르고 그 속의 자유전자의
밀도
는 대략 (그림4)와 같다고 생각하면 된다. 이때 관속을 어떤 물질로 어떻게 메우느냐에 따라 △p가 달라지게 된다. 예를 들면 유리솜을 꽉꽉 채워 넣은 경우라면 압력차를 크게 해 주어야 한다. 그 압력차가 ... ...
우주의 나이 어떻게 재나
과학동아
l
1993년 08호
나이와 허블상수로부터 구한 우주의 나이는 동일해야 한다. 이 조건을 만족하는 우주의
밀도
를 계산할 수 있고, 그에 따른 우주의 운명을 예측할 수 있는 것이다.불행하게도 현재의 여러가지 관측적 제약과 은하들간의 거리결정의 문제점 등으로 우리는 아직 어느 것이 맞는 것인지 말할 수 없다. ... ...
침강된 지각 용암형태로 재분출한다
과학동아
l
1993년 08호
침강한다고 학자들은 믿고 있다.학회에서는 해양판들이 상부 맨틀의 바닥에 모여 보다
밀도
가 큰 상태가 된 다음에 결국 아래로 뚫고 내려간다는 중간적인 이론이 폭넓게 논의되었다.위세션 박사는 같은 과정이 플룸에서 암석이 상승하는 데도 영향을 미치리라는 의견을 제시했다. 플룸은 상부 ... ...
슈퍼컴퓨터로 초대륙 판게아의 해체 모습 재현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모델에서 지구는 1백만개 이상의 소구체(小球體)를 모아 구성했고, 각 구마다 온도
밀도
압력 등을 부여했다. 맨틀은 점성이 있는 유체(流體)로 취급했다. 그 위에 단단한 판을 올려놓고 대륙이나 바다 등을 모방하고 이를 슈퍼컴퓨터 '크레이 Y-MP'가 처리했다.먼저 각 대륙을 모아 판게아 시대의 ... ...
KIST 자성합금 연구실장 김희중 박사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상대적으로 미약했던 소재분야에 대한 관심이 커졌다는 점. 박막자성재료 이외에도 초고
밀도
정보기록매체에 필요한 광메모리 디스크나 복합자기헤드 재료개발 등이 포함돼 있다."한 제품이 등장하면 더 나은 성능의 제품으로 개량되다가 결국 새로운 제품으로 혁신되는 것이 일반적인 과정이죠. ... ...
핵융합에너지 분출하는 변화무쌍한 태양표면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약 8천-1만km까지 퍼져있는 기체의 층을 채층(彩層, Chromosphere)이라고 하는데 광구보다
밀도
가 희박하고 매우 엷으면서 거의 투명하기 때문에, 보통 상태에서는 맨눈으로 볼 수 없고 개기일식 때나 볼 수 있다.태양의 가장자리에 불타오르는 듯한 빨간 기체가 채층 윗쪽으로 수만km까지 뻗은 일종의 ... ...
이전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