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짐승
동물체
축생
생물
사람
피부양자
동물기관
d라이브러리
"
동물
"(으)로 총 6,508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3. 방귀, 방심하면 놀란다! 소노란 산호뱀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6호
나, 폭탄먼지벌레처럼 위협을 느끼면 가짜 방귀를 뀌는
동물
이 또 있어. 바로 소노란 산호뱀이지. 하지만 소노란 산호뱀의 방귀는 나보다 조금 더 ‘진짜 방귀’에 가깝단다. 항문으로 공기를 빨아들였다가 다시 뽕뽕!미국 라파예트대학교 브루스 영 교수팀은 소노란 산호뱀이 내는 소리의 정체를 ... ...
[과학뉴스] 조용히 수영하는 ‘뱀장어 로봇’
과학동아
l
2018년 06호
속도는 초당 약 1.9mm다. 마이클 톨리 UC샌디에이고 기계항공공학과 교수는 “실제
동물
의 행동을 흉내 낸데다 소음이 발생하지 않아 해양생물을 가까이에서 관찰할 수 있게 됐다”며 “로봇이 물속에서 활동하는 동안 물속에 전류를 방출하지 않아 해양생물에게 해를 끼치지 않는다”고 밝혔다. ... ...
[Career] 파킨슨병 치료의 ‘골든타임’을 찾아서
과학동아
l
2018년 06호
점을 처음으로 규명했다. 이후 파킨슨병의 주요 핵심 원인 유전자들이 망가진 대부분의
동물
모델을 세계 최초로 만드는 성과도 올렸다. 골지체 이상이 신경세포 사멸 유발이 교수가 이끄는 ‘퇴행성 뇌질환과 노화 연구실’은 현재 퇴행성 뇌질환 중 희귀병에 속하는 헌팅턴병과 루게릭병을 ... ...
[가상인터뷰] 네안데르탈인은 예술가였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6호
스페인 남부와 서부에 있는 동굴에서 발견됐어. 달 월(月)자 무늬와 점으로 그린 무늬들,
동물
의 모습 등 다양한 그림이었지. 일리 : 네안데르탈인이 그림을 그렸다고? 네안데르탈인 : 맞아. 영국 사우샘프턴대학교 앨리스터 파이크 교수팀이 벽화에서 60여 개의 시료를 얻어서 언제 그려진 벽화인지 ... ...
Part 1. 가짜 방귀의 자격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6호
그 안엔 다니엘라가 연구하고 있는 아프리카 들개를 비롯해 박쥐, 치타, 기린 등의
동물
이 방귀를 뀌는지, 어떤 음식을 먹었을 때 특히 냄새가 고약해지는지에 대한 내용 등이 적혀 있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뿡뿡! 가짜 방귀왕을 찾아라!Part 1. 가짜 방귀의 자격Part 2. ... ...
[화보] 비둘기의 알록달록 반전 매력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6호
적응하며 살아가는 집비둘기의 모습 때문에 평화의 상징이었던 새가 순식간에 유해
동물
이 돼 버렸지요. 번식을 막는 것 이외에 도시 비둘기와 공존할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요?! 다같이 생각해 봐요 ... ...
[Culture] 굳이 과학적으로 꼽아 본 ‘옥에 티’ 3, ‘쥬라기 월드’가 돌아왔다
과학동아
l
2018년 06호
미생물이 이빨 대신 나뭇잎을 소화시켰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몇몇 초식
동물
의 뱃속에서는 위석(자갈)이 있어 음식물을 잘게 부술 수 있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현생 조류 중 단단한 씨를 먹는 새들은 부리에 이빨이 없는 대신 모래주머니에 위석이 있어 소화를 돕는다. 이외에도 굳이 ... ...
[Origin] 불붙은 신경세포 생성 논란
과학동아
l
2018년 06호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선 교수는 “이 연구를 이끈 르네 헨 교수는
동물
실험을 통해 우울증이 뉴런 생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사실을 최초로 밝혀냈다”며 “그래서 우울증이나 뇌전증을 앓았던 사람의 뇌는 연구 대상에서 제외했을 것”이라고 말했다.선 교수는 UCSF 연구팀과 ... ...
Part 2. 전술을 분석하라!
수학동아
l
2018년 06호
다수의 추격자가 입구를 향해 가는 적을 잡을 수 있는 알고리듬을 만들었어. 팬은 모든
동물
의 위치를 점으로 보고 보로노이다이어그램을 그려 실시간으로 적이 움직일 수 있는 공간을 측정했어. 팬이 제안한 방법은 입구에서 가까운 추격자만 직접 적을 향해 가고 나머지는 적에게 접근해 적이 ... ...
Part 2. 그 많던 소똥구리는 다 어디로 갔을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5호
이용해 씨앗을 퍼뜨린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어요. 세라카토리움은 크기와 색깔이
동물
의 똥과 비슷하고 냄새까지 똑같은 씨앗을 퍼뜨려요. 연구팀의 관찰 결과, 소똥구리는 이 씨앗을 똥으로 착각하고 땅에 묻어 씨앗의 번식을 돕는 것으로 나타났답니다. 똥에 몰려드는 해충을 줄여 주는 데도 ... ...
이전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