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량
브리지
육교
leg
브릿지
넓적다리
대퇴
d라이브러리
"
다리
"(으)로 총 2,706건 검색되었습니다.
우리 문화유산 속 아름다움, 금강비례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그렸는데, 이 인체비례도는 다음을 나타낸다.“자연이 낸 인체의 중심은 배꼽이다. 팔
다리
를 뻗은 다음 컴퍼스 중심을 배꼽에 맞추고 원을 그리면 두 팔의 손가락 끝과 두 발의 끝에 접한다... 정사각형으로도 된다. 발바닥에서 정수리까지 길이는 두 팔을 가로 벌린 너비와 같기 때문이다.”현대 ... ...
[고생물학]육지에서 출산한 원시 고래
과학동아
l
2009년 03호
지느러미를 닮은 네
다리
에도 주목했다. 이빨은 물고기를 잡아먹는 데 적합한 크기였고,
다리
는 육지에서 몸을 지탱하거나 바다에서 헤엄치는 데 유용해 보였던 것. 연구팀은 당시의 고래가 바다에서 주로 생활하다 짝짓기와 출산을 하기 위해 육지로 올라왔을 것이라고 설명했다.깅그리치 교수는 ... ...
소백산천문대에서 펼쳐진 2박 3일 상상력의 향연
과학동아
l
2009년 03호
10년을 지낸 ‘터줏대감’인 그는 “우리나라 전통천문학과 현대천문학을 잇는
다리
역할을 한 역사적 건축물”이라고 소백산천문대를 소개하며, “SF의 소재가 될 만한 천문학 연구 업적과 사연이 많다”고 자랑했다.1978년 9월 문을 연 소백산천문대는 조선시대 천체관측 관청인 관상감이 ... ...
실종 아동을 둘러싼 진한 모성애 이야기
과학동아
l
2009년 03호
약물을 주입할 수 있었겠지만 영화에선 한꺼번에 서너 명의 간호사가 달려들어 환자의 팔
다리
를 붙잡고 입안에 알약을 털어 넣는다. 1920년대를 배경으로 한 이 영화의 간호사들은 왜 주사기를 사용하지 않았을까.이는 주사기에 사용되는 약물은 먹는 약과 성분이 같더라도 농도는 달라야 하는 ... ...
하와이 제도에서 찾은 진화의 증거
과학동아
l
2009년 03호
이것이 뒷받침되지 않소. 박쥐의 팔을 길게 만든다는 Prx1 유전자를 생쥐에 넣어 생쥐 앞
다리
가 길어졌다고 하더라도 이것이‘자연선택’돼 후손에게 퍼질 것이라고 어떻게 장담하겠소. 그래서 내놓은 해결책이 이런 것이오. 나비 날개의 안점을 보면 짧은 세대 동안에도 커지거나 아예 없어지기도 ... ...
자이언트거북의 천국 알다브라
과학동아
l
2009년 03호
있다.야자집게(Birgus latro)는 육상 절지동물로는 가장 큰 종으로 몸무게가 3kg이 넘고 양
다리
를 펴면 1m가 넘는다. 야자집게는 육상 생활에 거의 완전히 적응했지만 바다와의 연결고리는 남아 있다. 산란기가 되면 암컷이 바다에 알을 낳기 때문이다. 이 녀석들은 낮에는 굴속에 있다가 밤에 먹이를 찾아 ... ...
키 크는 비법에 대한 오해
과학동아
l
2009년 03호
천장에 머리나 어깨를 닿게 하는 게임을 시킨다. 키가 작아 머리가 닿지 않는 사람은
다리
가 짧고 뜀뛰기마저 안 된다며 망신을 주고, 머리가 닿는 사람은 키가 크고 멋있는 사람이라는 확실한 증거라며 치켜세운다.방송에서만 큰 키를 선호하는 것은 아니다. 부모님들은 자녀의 키를 키우기 위해 ... ...
퍼즐 맞추며 인체 구조 배운다
과학동아
l
2009년 03호
움직여 관찰한다. 머리뼈에 연결된 턱뼈 전체를 움직여 음식을 씹는 시늉을 하거나, 팔
다리
를 움직여 공을 차거나 춤추는 흉내를 내며 재미있게 놀면서 골격 구조를 공부할 수 있다.골격 왼쪽 부분은 부위별로 움직이는 근육이 붙는지, 움직이지 않는 근육이 붙는지에 따라 각각 파란색과 빨간색으로 ... ...
악 소리 나는 고통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뼈가 서로 부딪히지 않도록 하고 충격을 흡수하는 안전판 같은 역할도 한다.턱은 팔
다리
와 달리 뼈가 한 덩어리이기 때문에 좌우를 따로 움직일 수 없다. 양쪽이 동시에 움직이기 때문에 한쪽 턱관절에 이상이 생기면 반대쪽 관절이나 윗니와 아랫니의 맞물림에도 이상이 생길 수밖에 없다. ... ...
통증 사냥꾼 진통제의 비밀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취함으로써 상처부위가 더 나빠지지 않게 하는 역할도 한다. 통증을 느끼지 못하면
다리
가 부러져도, 몸이 칼에 찔려도 사태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기 때문이다.한 겨울 난로 옆에서 몸을 녹이다가 실수로 난로를 건드릴 경우 보통 사람들은 채 의식도 하기 전에 손을 빼며 “앗 뜨거!”라고 ... ...
이전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