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용
기교
기술
능력
재주
솜씨
구실
d라이브러리
"
기능
"(으)로 총 5,763건 검색되었습니다.
차량동역학 및 제어공학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섀시(차대) 제어 시스템’ 등이 쓰인다. 최근에는 각 시스템들이 통제어공학합되고
기능
이 향상돼 이처럼 분류하는 것이 점점 어려워졌다. 앞으로는 차와 운전자가 함께 운전하는 ‘코드라이버(Co-driver)’ 시스템이나 충돌에서 자유로운 ‘크래쉬 프리(Crash Free)’ 시스템으로 발전시키는 것이 ... ...
수학 문제만 보면 머리가 아픈 이유는?
수학동아
l
2012년 12호
했다.
기능
자기공명영상 장치는 특정한 활동을 할 때 변하는 뇌 상태를 촬영할 수 있어 뇌
기능
관련 연구에 유용하게 쓰인다.연구팀은 두 그룹의 참가자들에게 화면으로 수학 문제를 풀지 언어 문제를 풀지 알려 준 뒤, 문제를 푸는 동안 뇌 상태가 어떻게 변하는지 관찰했다. 수학 문제는 (12×4)-19=2 ... ...
물리학상 - 양자컴퓨터 성큼 다가오다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시간이 흐른 지금의 우리는 GPS, 무선 음성 및 영상통화, 인터넷, 게임 등 여러
기능
을 통합적으로 갖춘 스마트 폰을 아무런 놀라움 없이 당연한 듯 사용하고 있다. 이런 생각을 하며 새삼 과학기술의 발달에 경의를 느꼈다. 이와 유사하게 양자세계가 우리 일상생활에 매우 친숙하고 익숙하게 다가올 ... ...
죽음의 공포를 삭제할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나면, 시간이 지날수록 기억 경화 현상이 일어난다. 이 과정에서 시냅스의 전반적인
기능
이 향상된다. 이런 과정을 통해 쥐의 머리 속에는 ‘종소리=전기 충격’이라는 공식이 깊이 새겨진다.이것이 공포 기억이 경화되는 과정이다. 이렇게 경화된 공포 기억은 평생 유지되며 삭제하기 매우 어렵다. ... ...
스스로 집 찾아가 에너지 채운다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게 아니다. 최근에 나오는 로봇청소기는 문턱도 쉽게 넘고 가구 틈새까지 청소할정도로
기능
이 좋아졌다. 그런데 요 녀석, 로봇이라고 불러주지 않을까봐 보면 볼수록 신기한 게 있다. 방전되기 전에 알아서 충전기에 ‘탁’ 가서 충전하는 것이다. 배터리가 부족할 때마다 케이블에 꽂아줘야 하는 ... ...
[11월] 과동 데스크의 썰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GPS 위성과 GPS 수신시스템 사이의 상대성 이론에 대해 설명했다. 물론 스마트폰의 GPS
기능
때문에 무척 편리해진 요즘 생활을 고려하자면 스마트폰을 언급하는 게 틀린 건 아니다. 기사에 따르면 지상의 GPS 수신기와 GPS 위성과의 속도와 중력 차이 때문에 시간 차이가 발생하고 특수상대성이론과 ... ...
2012 이그노벨상 - 수다쟁이 입을 막으려면?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9월 20일(현지시간) 하버드대 샌더스 극장에서 열렸다.죽은 연어의 뇌 속에서 신호가?fMRI(
기능
성 자기공명영상)는 뇌 속 혈류량의 변화를 측정해 뇌의 어느 부위가 활성화 됐는지를 관찰하는 장비다. 그런데 죽은 연어의 뇌 속에서 신호가 잡혔다면 어떨까. 으스스한 심령현상이라도 일어난 것일까. ... ...
그는 왜 냄새를 맡지 못할까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보이는 행동이나 심리적 특성은 사이코패스와 거의 같다. 하지만 사이코패스가 전두엽
기능
문제라는 선천적인 이유로 탄생하는 반면, 소시오패스는 후천적으로 반사회적인 기질을 습득한 사람들이다. 강 경위는 “두 케이스 모두 확실한 심리치료방법은 없지만 후천적으로 발생한 소시오패스가 ... ...
바다에 살고 죽는 제주의 어머니, 해녀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증상과 다르다. 얕은 물 블랙아웃은 산소가 필요하다는 신호를 보내주는 뇌간의
기능
이 잘못 작동해 일어난다. 저산소증으로 의식을 잃는 것이다.학자들이 이 증상의 원인으로 지목하는 것이 바로 심호흡이다. 해녀들은 숨을 오래 참기 위해 잠수 전에 여러 차례 심호흡을 한다. 그런데 심호흡을 ... ...
Part 1. 조미료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양이 많다.그리고 글루타민산은 몸 안에서 신경전달물질로 작용한다. 뇌의 학습과 기억
기능
에 관련돼 있다. 신경계에 영향을 끼친다는 주장은 바로 여기서 나온다. MSG를 반대하는 사람들은 이를 근거로 어린이가 MSG를 많이 먹으면 과잉행동장애에 걸린다고 주장한다. 권 교수는 “신경전달물질은 ... ...
이전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