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끝
최후
최종
결말
대단원
궁극
막바지
d라이브러리
"
마지막
"(으)로 총 3,183건 검색되었습니다.
1. 축제로 들뜬 CERN의 사람들
과학동아
l
200807
개당 배경사건이 2개 이하로 낮아야 한다. 최근 그는 배경사건을 30개까지 줄였다. 그는 “
마지막
배경사건 한 개까지 잡아내 연구 오차를 줄이겠다”는 각오를 밝혔다.입자 감지는 CMS가 맡는다. 프로젝트의 성패가 CMS의 검출능력에 달렸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5월 27일 오전 노 박사의 안내로 CMS를 ... ...
3. 기네스 기록 도전하는 LHC
과학동아
l
200807
CERN) 과학자들이 직접 터널을 설계하고 측량하고 공사를 지휘해 완성했다.
마지막
에 불과 5cm 오차로 원형 터널이 완성됐다는 사실은 기네스북에 오를 만하다.터널에는 수십 종의 초전도자석이 설치돼 있다. 이들은 터널에서 양성자들이 움직일 때 원형 궤도를 유지하게 할 뿐 아니라 양성자들을 서로 ... ...
비틀린 목성 고리, 비밀은 태양빛
과학동아
l
200806
이뤄진, 후광처럼 희미한 고리가 있고, 메티스의 공전 궤도 근처에 주(主) 고리가 있다.
마지막
으로 목성에서 4번째로 가까운 위성인 ‘테베’의 공전 궤도 안쪽에 거미줄처럼 미세한 고리가 있다.목성 고리는 토성 고리에 비해 매우 희미해 관측하기 어렵지만, 토성 고리에는 나타나지 않는 특성이 ... ...
전 소대원 몰살시킨 의문의 바이러스 GP506
과학동아
l
200806
나타나면서 공격적인 성향을 드러내지만 그 뒤 몇 시간 동안은 멀쩡한 상태가 되고
마지막
에는 온몸으로 피부 발진이 퍼진다. 이렇게 시간에 따라 증상이 달라지는 질병이 있을까?실제로는 영화에서처럼 증상이 급격히 변하는 괴상한 질병은 없다. 하지만 대부분의 질병은 시간에 따라 증상이 ... ...
거대 동물 멸종 미스터리 10000BC로떠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806
매머드의 멸종이 인류의 과도한 사냥이 원인이라고 주장하는 사람들이 있었지요. 그러나
마지막
빙하기가 끝날 무렵 찾아온 환경의 급격한 변화가 더 큰 요인이랍니다. 송곳니가 번쩍번쩍, 스밀로돈언제 살았나요?250만~1만 년 전.얼마나 클까?어깨까지 높이는 1.2~1.5m로, 아주 큰 것은 아니었어요 ... ...
탄생! 대한민국 우주인 1
어린이과학동아
l
200806
인디언텐트를 짓고 구조신호도 보내며 2박 3일 동안 큰 탈 없이 훈련을 마쳤어요. 훈련
마지막
날 이소연 씨에게 훈련이 힘들지 않았냐고 물었어요.“잠잘 때 동료 우주인의 코고는 소리가 심했다는 점만 빼면 훈련 과정에서 큰 어려움은 없었어요. 하하!”이번 훈련의 책임자인 가가린우주센터의 ... ...
PART1 터키 행진곡은 붉은색!
과학동아
l
200806
빨강이 아니라 ‘잘 익은 앵두에서 광택만을 뺀 것’과 같은 아주 구체적인 감각이다.
마지막
으로 공감각 경험은 이를 경험하지 않는 사람들의 일반적 지각 경험과 같은 지각적 실제성을 갖는다. 예를 들어 꿀맛을 볼 때 ‘길고 울퉁불퉁한 지팡이를 만지는’듯한 어떤 공감각 경험자의 촉각 경험은 ... ...
PART1 "우주에서 본 한반도는 하나였다"
과학동아
l
200805
씨를 태운 소유스 귀환선은 19일 오후 2시 6분 30초 ISS에서 천천히 떨어져 나오며 지구로의
마지막
비행에 들어갔다. 출발 직전 이 씨는 6개월간 ISS에 머물 3명의 동료들과 작별의 아쉬움을 나눴다.그로부터 3시간쯤 뒤인 5시 7분. 귀환선은 7˚ 각도로 흑해 상공에서 지구 대기권에 진입했다. 진입각도가 ... ...
지름 2m의 눈으로 우주 본다
과학동아
l
200805
붉게 보이던 타이탄과 함께 모두 토성 위쪽에서 빛나고 있었다.나유타를 이용한 관측의
마지막
에 다른 곳에서는 거의 있을 수 없는 추억을 선사받았다. 탐방객들이 적었던 날, 안내하던 연구원들은 나유타의 아이피스에 보이는 토성을 사진으로 담을 수 있게 해주었다. 과연 망원경으로 본 토성이 ... ...
숭례문화재보고서-방화에서 복원까지
어린이과학동아
l
200805
008년 2월 10일 오후 8시 45분, 국보 1호 숭례문에서 연기가 피어오르기 시작했다. 설 연휴의
마지막
밤을 맞아 편안히 쉬고 있던 국민들의 마음을 뒤흔들어 놓은 숭례문 화재 사건의 시작이었다. 이 날의 화재로 인해 숭례문 1층 누각의 상당부분과 2층 누각 전체가 불에 타 사라졌다. 조선 태조 7년인 139 ... ...
이전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