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급
제의
지급
조달
보급
신입
제안
뉴스
"
제공
"(으)로 총 49,149건 검색되었습니다.
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 회장에 한종희 씨
동아사이언스
l
2022.02.27
제20대 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 회장으로 선출됐다. 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
제공
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는 25일 정기총회를 열고 한종희 삼성전자 대표이사 부회장을 제20대 회장으로 선출했다고 밝혔다. 임기는 내달 11일부터 3년이다. 한 회장은 삼성전자 영상디스플레이사업부 ... ...
‘행복한 오리 ‘ 화제
팝뉴스
l
2022.02.26
팝뉴스
제공
오리가 아주 행복할 것 같다. 좋은 주인을 만난 덕분이다. 주인은 백팩 모양의 반려동물 캐리어를 메고 있다. 덕분에 오리가 행복해졌다. 주인이 다니는 어디든 편하게 안전하게 구경을 다닐 수 있기 때문이다. 주인의 착한 마음이 돋보이는 사진이라는 평가를 받는다. ... ...
특이한 여자 친구의 손
팝뉴스
l
2022.02.26
팝뉴스
제공
미국의 한 유머 사이트에 화제가 된 후 여러 SNS로까지 퍼진 사진이다. 여자 친구의 손을 촬영했다고 하는데, 첫눈에는 무엇이 특별한지 알 수가 없다. 자세히 봐야 인기 비결을 알 수 있다. 손가락이 지나치게 길다. 손바닥과 비교해보면, 사람이 이렇게 손가락이 길 수 있을까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가짜뉴스에 쉽게 빠지는 사람의 특성
2022.02.26
금새 많은 신자를 보유하게 된다는 것이다. 인간은 인지적 구두쇠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물론 여전히 평소 분석적·논리적 사고력이 뛰어난 사람들이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가짜 뉴스와 진짜 뉴스를 잘 구분하는 현상이 나타난다. 사람들은 기본적으로 인지적 구두쇠, 즉 세상 모든 정보를 ... ...
[프리미엄 리포트] 온도 변화로 읽는 지구의 대멸종
과학동아
l
2022.02.26
픽사베이
제공
4억 5000만년 동안 총 5번의 대멸종이 있었다. 이 기간 동안 총 45번의 크고 작은 전지구적 온도 변화가 있었는데 온도가 5.2℃ 이상 변하면 대멸종이 시작됐다. 멸종에는 온도 변화의 속도 또한 중요했다. 100만 년 만에 10℃ 이상 변하는 빠르기여야 대멸종이 일어났다. 3번째 대멸종인 ... ...
[주말N수학] 축구 경기 결과가 뻔해진 이유
수학동아
l
2022.02.26
스타디움에서 열린 2021-2022 EPL 26라운드 원정 경기에서 뛰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제공
축구 경기에서 누가 이길지 점점 예측하기 쉬워지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 타하 야세리 아일랜드 더블린대 사회학부 교수팀은 1993년부터 2019년까지 11개 주요 유럽의 축구 리그에서 펼쳐진 약 8만 800 ... ...
[인터뷰] 생체 모방으로 탄생한 친환경 약물 패치
과학동아
l
2022.02.26
에너지공학 전공 석·박사통합과정 연구원이 연구실에서 포즈를 취하고 있다. 장춘구
제공
박치영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에너지공학전공 교수의 연구실엔 기사 스크랩이 가득 쌓여있다. 이달 5일 대구 달성군 현풍면 DGIST 연구실에서 만난 박 교수는 "새로운 분야에 도전해보고자 관심 있는 ... ...
[표지로 읽는 과학] 인간 기관지 세포 파고드는 오미크론의 모습
동아사이언스
l
2022.02.26
네이처
제공
국제학술지 네이처는 24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 바이러스에 감염된 사람의 기관지 세포를 관찰한 모습을 표지로 실었다. 물질의 표면 정보를 관찰하는 측정장비인 주사전자현미경(SEM)을 활용한 것으로 파란색 점 같은 것들이 모두 코로나19 바이러스다. 인간 ... ...
[과학게시판] 양자기술 특별위원회 제2차 회의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02.26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4일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양자기술 특별위원회 제2차 회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회의에서는 ‘양자 기술로드맵 추진안’과 ‘양자기술 대형연구개발사업 추진방향’, ‘2023년 양자기술 정부연구개발 투자 방향’을 안건으로 보고했다. ... ...
[과기원은 지금] KAIST, 강화학습 이용한 자유구조 메타표면 설계 제안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02.26
KAIST
제공
■ 장민석 KAIST 전기및전자공학부 교수 연구팀은 강화학습을 이용한 자유구조 메타표면 구조 설계 방법을 제안했다고 25일 밝혔다. 메타표면은 빛의 파장보다 작은 크기 구조를 이용해 이전에 없던 빛의 성질을 만드는 나노광학 소자다. 연구팀은 구조의 구성요소를 하나씩 뒤집는 강화학습 ... ...
이전
1528
1529
1530
1531
1532
1533
1534
1535
15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