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닥터
의사
의원
천문박사
천문
천문지리
지리
뉴스
"
박사
"(으)로 총 6,989건 검색되었습니다.
우리은하에서 가장 오래된 백색왜성 발견..."107억년 된 붉은별"
동아사이언스
l
2022.11.07
헬륨과 수소로 인해 파란빛을 띤다고 분석했다. 아비가일 엘름스 워릭대 물리학과
박사
과정 연구원은 "모든 별의 97%는 백색왜성이 될 것"이라며 "우리은하에서 가장 오래된 별인 백색왜성은 행성계의 형성과 진화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고 말했다. 별의 스펙트럼을 분석하면 금속이 별의 ... ...
바이러스에 대항하는 박테리아의 생존 전략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1.06
공격으로부터 생존하는 전략을 밝혔다. 왼쪽은 논문의 제1저자인 이소연 중앙대 약대
박사
과정 연구원이다. 한국연구재단 제공 바이러스로부터 생존하기 위한 박테리아의 새로운 생존 전략이 발견됐다. 박테리아 면역 시스템의 상호작용을 밝힌 연구로 추후 유전자 교정 기술에도 응용될 것으로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이태원 참사 의문 해소 안되면 '슬픔' 지속돼"
2022.11.06
픽사베이 제공 소중한 사람을 잃는 아픔은 세상이 무너져 내리는 듯한 아픔이다. 내가 살고 있는 세상이 안전하고 내 삶이 의미 있으며 나는 가치 있는 사람 ... 소통하고 있다. 온라인에서 '지뇽뇽'이라는 필명으로 활동하고 있다. 현재 미국 듀크대에서 사회심리학
박사
과정을 밟고 있다 ... ...
진단 현장에서 병원체 고감도 검출하는 나노 바이오센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2.11.03
감염병 병원체 검출도 가능해 현장 활용 기술로서 적용 가능성을 높였다. 권오석
박사
는 “그래핀과 단층 구조로 결합하여 안정성을 대폭 향상시켜 극한의 환경에서도 내구성을 확보한 나노 바이오센서를 개발했다”며 “새롭게 개발한 OPE 화합물은 길이 조절이 가능하고 합성 단계가 짧아 ... ...
[과기원은 지금] 신기정 KAIST 교수, 정보검색 분야 학술대회 튜토리얼 강연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11.02
최적 모델을 구축해 조기 조산예측 분야에서 2위, 조산예측 분야에서 4위에 올랐다. 조
박사
후연구원은 "국가 바이오 데이터 스테이션(K-BDS) 등과 같은 표준화된 대규모 생명정보 데이터의 축적이 빅데이터 기반 사회 난제 해결 모델을 개발하는데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말했다. ... ...
KIST 펠로우 제2호 연구자에 김인산 책임연구원
동아사이언스
l
2022.11.01
페리틴과 엑소좀 기반 치료제 개발 분야를 선도하고 있다. 1989년 경북대 의대에서
박사
학위를 받고 경북대 의대에서 교수로 재직하다 2014년 KIST로 자리를 옮겼다. 2015년부터는 고려대 KU-KIST 융합대학원 교수도 겸직하고 있다. 또 엑소좀 기반 신약개발회사인 시프트바이오를 창업하고 국내 ... ...
폭염 때문에 전세계 경제손실 16조달러…저소득 국가 피해 커
동아사이언스
l
2022.11.01
총 16조달러의 손실을 입었다고 추산했다. 크리스토퍼 캘러한 다트머스대 지리학과
박사
과정 연구원은 "매년 가장 더운 시기에 기후변화 적응 조치를 취하면 경제적 이익을 얻을 수 있다"며 "적응 조치에 지출된 금액은 아무것도 하지 않았을 때 지출되는 비용과 비교해 평가해야 한다"고 말했다.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나'를 지탱해주는 '누군가'의 존재
2022.10.29
픽사베이 제공 늘 많은 사람들에게 목숨을 빚지고 있다. 태어나서 첫 숨을 내뱉었을 때부터 단 한 순간도 타인에게 삶을 빚지지 않은 적이 없었지만 병원 왕래가 잦 ... 있다. 온라인에서 '지뇽뇽'이라는 필명으로 활동하고 있다. 현재 미국 듀크대에서 사회심리학
박사
과정을 밟고 있다. ... ...
[과기원은 지금] KAIST, 고성능 비불소계 전해질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2.10.28
비해 매우 우수한 전기화학적 성능을 제공했다. 이번 연구 논문 1저자인 김준욱 KAIST
박사
과정생은 "기존 소듐 전해질의 필수 원소였던 불소 없이도 불소계 전해질의 성능을 상회하는 전해질을 개발한 것은 큰 의미가 있다ˮ 라며 "앞으로 비불소계 소듐 전해질과 그에 따른 고체-전해질 계면에 관한 ... ...
'공 굴리며 좋아했지'…호박벌도 놀며 즐길 줄 안다
연합뉴스
l
2022.10.28
놀이 행동과 유사하다고 지적했다. [Samadi Galpayage 제공 동영상 캡처] 논문 제1 저자인
박사
과정 대학원생 사마디 갈파이지는 "호박벌들은 이 '장난감'에 계속 달라붙어 놀았다"면서 작은 몸집과 두뇌에도 초보적이기는 해도 다른 큰 동물들처럼 일종의 긍정적 정서 상태를 경험하는 듯하다고 했다. ... ...
이전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