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NASA
뉴스
"
미국항공우주국
"(으)로 총 2,298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카시니호가 마지막으로 보내온 토성 고리 모습들
동아사이언스
l
2019.06.16
마치고 토성 탐사선 카시니 하위헌스호가 토성에 낙하해 불타 사라졌다. 이 탐사선은
미국항공우주국
(NASA)와 유럽우주기구(ESA)가 공동 개발해 1997년 10월 15일 미국 플로리다주 케이프커내버럴 공군기지에서 발사됐다. 탐사선은 2004년 7월 1일 토성 궤도에 진입하며 본격적인 탐사 임무에 착수했다. ... ...
우주여행 시대 코앞··· 우주멀미, 방사선 영향 등 집중 연구
동아사이언스
l
2019.06.14
든 동물은 기울어진 면을 바닥으로 인지하고 고중력 상태를 느낀다. 인하대병원 제공
미국항공우주국
(NASA)은 내년인 2020년부터 일반인도 우주여행을 갈 수 있도록 한해 두 차례 국제우주정거장(ISS)을 개방한다는 계획을 10일 밝혔다. 왕복 우주선 티켓이 약 5800만달러(약 680억원)이며 최대 30일까지 ... ...
美 탐사선이 관측한 토성 고리의 ‘속살’
동아사이언스
l
2019.06.14
언 얼음으로 구성돼 있는데, 크기가 먼지만 한 것에서부터 자동차만 한 것까지 다양하다.
미국항공우주국
의 토성 탐사선 ‘카시니 하위헌스’호가 13년간의 토성 탐사 임무를 마치고 2017년 9월 15일 토성에 낙하해 불타 사라진 지 1년 9개월이 지났다. 카시니 하위헌스호는 마지막 수개월 동안은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진시황은 왜 도량형을 통일했을까
2019.06.13
폭발 또는 궤도이탈)된 사건이 있었다. 원인은 도량형 불일치였다. 탐사선을 운용했던
미국항공우주국
(NASA)은 미터법을 쓴 반면 제작사인 록히드 마틴은 야드법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게 만들었다. 우주탐사에 가장 독보적인 미국에서, 그것도 20세기 말에 이런 사고가 있었다니 잘 믿기지 않는다. ... ...
"차별에 대해 어떻게 투쟁했나"…NASA본부에 '히든 피겨스' 거리 생겼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13
필 멘델슨 워싱턴DC 시의회 의장, 마고 리 셰털리 작가가 거리 현판을 공개하고 있다.
미국항공우주국
제공 1960년대 미국 유인 우주탐사 프로그램에 공헌한 숨은 공로자들이던 흑인 여성 과학자와 엔지니어들을 기리는 거리가 들어섰다.
미국항공우주국
(NASA)은 12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의 ... ...
'서식가능지역' 행성도 유독가스로 다세포 생명체 존재 난망
연합뉴스
l
2019.06.12
들여다봐야 할 행성을 정하는 기준을 제공해 주는 것이라고 평가했다. 논문 제1저자로
미국항공우주국
(NASA)의 박사후 프로그램 연구원인 에드워드 슈위터먼 박사는 성명을 통해 "우리 행성이 얼마나 희귀하고 특수한지 보여주는 것은 지구를 보호해야 할 당위성을 강화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 ...
"달탐사, 바뀌는 것 없다"...NASA 국장, 트럼프 비판 발언 언급
동아사이언스
l
2019.06.11
"변하는 것은 없다"고 밝혔다. NASA 제공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트위터를 통해 “
미국항공우주국
(NASA)이 달에 간다고 해서는 안된다. 화성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지적한 가운데 짐 브라이든스틴 NASA 국장은 “바뀌는 건 없다”며 2024년까지 달에 우주인을 보내는 계획은 그대로 진행될 ... ...
태양질량보다 1만 배 무거운 블랙홀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9.06.11
00만광년 떨어진 왜소은하 'NGC 4395'의 중심 블랙홀이 태양 질량의 약 1만 배임을 밝혀냈다.
미국항공우주국
제공 블랙홀 기원의 중요한 단서가 될 왜소은하의 중심 블랙홀이 최초로 확인됐다. 지금까지 발견되던 '거대질량 블랙홀'이 아닌 작은 규모의 '중간질량 블랙홀'로 밝혀지면서 우주의 기원을 ... ...
머스크의 꿈이 현실로… 1만2000개 위성 띄워 ‘우주 인터넷’ 시대 연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10
안 될 수 있다. 이 경우 정보를 최초 발신지로부터 다시 보내면 시간이 너무 지연된다.
미국항공우주국
(NASA)과 유럽우주국(ESA) 등은 중간에 정보가 끊기더라도 끊긴 위성에서부터 다시 중계가 재개돼 지연시간을 최소화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지연내성네트워크(DTN)’라는 기술로, 정보를 ... ...
NASA “내년 일반인도 우주정거장 여행”...ISS 상업화 신호탄
동아사이언스
l
2019.06.09
우주방사선 노출, 밀폐된 공간 등 지상과는 다른 특수한 환경을 갖췄다. 과학동아 제공
미국항공우주국
(NASA)이 2020년 관광객이 국제우주정거장(ISS)을 방문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추진한다. ISS에 일반인이 하룻밤 머무는 비용은 약 3만5000달러(약 4100만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9일 BBC 등 ... ...
이전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