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운
능력
역량
권력
정력
에너지
기력
d라이브러리
"
힘
"(으)로 총 6,293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공룡이야, 닭이야? 깃털 가진 소형 수각류 공룡 발견
과학동아
l
2017년 06호
알려져 있다. 하지만 그 사이의 과정이 아직 밝혀지지 않아 의견이 분분하다. 이 과정에
힘
을 보태는 생물이 수각류에 속하는 트로오돈티드(troodontid)류의 공룡이다. 크기가 작고 깃털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최근 중국과학원 척추동물고생물학및인류학연구소 쑤 씽 교수팀이 중국 랴오닝 지역에서 ... ...
[Future] 누나 드론 차 뽑았다, 널 데리러 가♪
과학동아
l
2017년 06호
5분 동안 작동했다. 래리 페이지는 뉴욕타임스와의 인터뷰에서 “우리 모두는 많은
힘
을 들이지 않고 비행하게 되기를 바라 왔다”며 “조만간 키티호크 플라이어에 올라타고 빠르고 간편하게 비행할 수 있다는 사실에 흥분된다”고 말했다. 구글의 자율주행차 프로젝트를 이끌었던 키티호크의 ... ...
[Origin] 기체 방울 속에 우주와 블랙홀을 재현하다
과학동아
l
2017년 06호
보관하면, 모세관현상에 의해 열린 구멍을 따라 유체가 바깥으로 기어(?)나온다. 아무런
힘
을 주지 않았는데 스스로 역류하는 셈이다!보스-아인슈타인 응축은 ‘입자의 파동성’으로 설명할 수 있다. 양자역학의 관점에서 입자들은 파동의 성질도 갖는데, 이를 물질파라고 한다. 온도가 낮아질수록 ... ...
[스미스의 탐구생활 2화] 우주를 향해 로켓을 날려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6호
본체를 연결한 뒤 살짝 흔들어 주면 반응이 더 빨리 일어난답니다.로켓이 튀어오를 때의
힘
은 매우 세요. 그래서 사람이 다치거나 물건이 깨지지 않도록 실외에서 실험하는 게 좋아요. 또 로켓을 흔드는 사이에 튀어오를 수 있으니 다치지 않게 주의하세요.스미스소니언 슈퍼로켓 만들기로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물을 거꾸로 흐르게 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6호
반응 전보다 줄어든다.같은 부피에서 기체의 양이 줄어들면 기체가 주위를 밀어내는
힘
인 압력이 낮아진다. 그 결과 컵 안의 압력은 컵 밖의 압력인 대기압보다 작아지고, 이 차이만큼 컵 밖에서 안쪽으로 물이 밀려 올라간다.실험 방법 둘. 착시를 이용하라!원리: 스피커에서 28Hz의 소리가 ... ...
Part 5. 미래의 사이버그를 위하여!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6호
무거운 금속으로 날개를 만들 경우, 빠르게 흔들기 위해선 기계가 무리할 만큼의 큰
힘
이 필요하지요. 따라서 쉽게 고장이 날 수밖에 없답니다. 이를 막기 위해선 금속보다 가벼우면서도 외부 충격에 쉽게 찢어지지 않는 재료를 사용해야 해요.최근엔 미국 카네기멜론대학교 카넬 마지디 교수팀이 ... ...
[비주얼 과학교과서] 엄치나의 등장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5호
이후 혜성이 태양에 더욱 가까워지면 꼬리가 생겨요. 코마를 이루는 물질들이 태양의
힘
에의해 뒤로 길게 밀려나거든요. 이 꼬리는 100만 ~ 1억 km일 정도로 매우 길며, 혜성이 태양에 가까워질수록 길어진답니다.혜성의 꼬리는 이온 꼬리와 먼지 꼬리로 나뉘어요. 그 중 푸른빛을 띠는 부분이 이온 ... ...
[수학뉴스] 나 몰래 신발 끈 푸는 범인의 정체는?
수학동아
l
2017년 05호
분석했지요.신발에는 땅 쪽으로 중력이 작용해요. 중력의 반대방향으로 작용하는
힘
은 매듭에 걸리는 관성력이에요. 관성력 덕분에 매듭이 당분간은 그대로 유지될 수 있어요.그렇지만 사람이 걷는 동안 끈 매듭은 위로 솟아올랐다가 중력 때문에 아래로 끌어내리는 동작을 끊임없이 반복해요. ... ...
[과학뉴스] 신발끈을 푸는 보이지 않는 손의 비밀
과학동아
l
2017년 05호
연구원은 “매듭에 직접 작용하는
힘
과 끈 끝부분을 당기는
힘
이 필수 요소”라며 “두
힘
이 함께 작용하지 않으면 신발끈이 풀리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연구진은 이번에 밝혀낸 신발끈이 풀리는 원리가 매듭 구조를 가진 물체나 DNA 이중나선 등을 연구할 때 활용될 것으로 기대했다. doi:10.1098 ... ...
[Issue] 공중화장실이 두려운 그대… 뇌에 새겨진 스트레스, 강박증
과학동아
l
2017년 05호
떨어져 불안한 생각이 자꾸 떠오르는 경우다. 이 경우는 우울증과 마찬가지로 ‘긍정의
힘
’을 내는 신경전달물질인 세로토닌과 관련 있다. 뇌에서 세로토닌 분비가 현저히 줄어들면서 과도하게 불안해지는 것이다. 그래서 세로토닌이 재흡수(분비의 반대)되는 것을 방해하는 약물로 치료한다 ... ...
이전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