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학생"(으)로 총 5,140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여성과 남성, 공간지각 능력 차이 없다과학동아 l2016년 12호
- 나왔다.미국 UC산타바바라 심리학및뇌과학과 마가렛 타람피 박사팀은 남학생 65명, 여학생 70명을 두 그룹으로 나눠 공간 지각 능력을 측정했다. 한 그룹은 특정 물체로 가는 방향을 말하거나 지도를 보고 길을 설명하는 기존의 검사를 그대로 수행했다. 다른 그룹은 물체가 아닌 사람을 시작점으로 ... ...
- [Tech & Fun] 고요한 시대과학동아 l2016년 12호
- 것들로 다시 새로운설치미술이 되어가고 있었다. 꽃이며 편지, 근조리본.단발머리의 학생들이 교복을 입고 마스크를 쓰고 지나갔다. 손에는 팻말을 들고 있다. ‘0교시 반대’ ‘일제고사 반대’ ‘야자를 없애주세요.’ 의사가운을 입은 사람이 ‘의료민영화 반대’ 팻말을 들고 앉아 있다. ... ...
- [교과연계수업] 자르고 접어서 대칭 만들기!수학동아 l2016년 12호
- 있다. GIB 1. 대상 : 대칭의 원리를 이용해 아름다운 무늬를 만들어 보고 싶은 학생이라면 누구나. 2. 제목 : 자르고 접어서 대칭 만들기! *준비물 : 양면 색종이, 연필, 칼, 컴퍼스, 자3. 수업 목표 ① 생활 속에서 대칭이 어디에 있는지 2가지 이상 대답할 수 있다. ② ‘대칭’의 뜻을 알고 ... ...
- [지식] 아름다운 수학을 탐험하다수학동아 l2016년 12호
- 만지작거리며 말했다. 종이접기에서도 수학을 떠올리다니…, 역시 수학자다웠다.다시 학생이 된다면…연구실 한 쪽에는 책이 수북하게 쌓여 있었다. 대부분이 인문학 도서였고, 소설책이 많았다. 언뜻 봐서는 수학책보다도 많아 보였다.김 교수는 “어렸을 적에 이유도 없이 그냥 공부만 열심히 ... ...
- [수학동아클리닉] 대나무로 이해하는 입체도형수학동아 l2016년 12호
- 방법에는 한계가 있다. 이미 있는 재료로 정해진 모양만 만들 수 있는 것이다. 또 모든 학생이 쓰기에는 비용도 많이 든다.이 수업은 대나무로 평면부터 입체까지 만들어 보며, 먼저 꼭짓점과 모서리를 이해한다. 그런 뒤 대나무로 입체 구조물을 만든다. 대나무는 강하고 유연하며, 가격도 저렴하다. ... ...
- [Knowledge] 뉴턴에 날개 달아준 여성 물리학자들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지식을 과소평가하고 있다고 말했다(DOI:10.1371/journal.pone.0148405). 게다가 성 고정관념은 여학생들 스스로도 자신의 실력을 과소평가하게 만든다. 과학기술 분야의 성 격차를 연구하는 미국 UCLA 린다 삭스 교수는 8월 ‘네이처’와의 인터뷰에서 성 고정관념 때문에 여성들이 자신감을 잃고 물리학자가 ... ...
- [수학 뉴스] 남녀 수학 성적 차이, 선생님 때문?수학동아 l2016년 12호
- 여학생의 성적이 떨어진다고 말합니다.연구를 이끈 요셉 심피언 뉴욕대 교수는 “교사가 학생을 가르칠 때는 남녀 구분 없이 대해야 한다”며, “이런 태도는 성적에 많은 영향을 준다”고 말했습니다. 이 연구는 10월호에 실렸습니다 ... ...
- [수학동아클리닉] 수학으로 만나는 우리 고장의 근대역사수학동아 l2016년 12호
- 지난 화에 이어 대구 근대문화골목에서 매스 투어를 계속해 봅시다. 골목을 둘러보며 여러 가지 숫자와 도형, 규칙을 쉽게 찾을 수 있었습니다. 남은 일곱 가지 미 ... 전하고 싶었답니다. 앞으로 현장 중심의 프로그램이 많이 개발돼 수학을 사랑하는 학생들이 더욱 많아지기를 희망합니다 ... ...
- Part 4. “나는 백두산 화산학자다”과학동아 l2016년 12호
- 떨어뜨렸다. 이는 유럽과 북아메리카에 거대한 기근을 불러왔다.슈밍케 교수는 박사과정 학생 한 명을 데리고 운전기사, 통역사 두 명과 팀을 꾸려 2주 동안 백두산을 샅샅이 뒤졌다. 백두산 정상에서 부석을 채취하고 연대 측정이 가능한 탄화목을 수집했다. 지하 마그마의 규모를 추정하는 연구도 ... ...
- [Tech & Fun] 디즈니 리서치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전략적으로 과학기술로 유명한 대학 인근에 연구소를 두고 있습니다. 대학에서 유능한 학생들을 끌어오기가 쉽고, 대학 교수들과 협업하기도 편리하기 때문입니다(카네기멜론대는 컴퓨터 그래픽스와 로봇, HCI 분야에서 세계 최고 수준입니다. 바로 옆에 피츠버그대도 있습니다). 덕분에 연구원들이 ... ...
이전1481491501511521531541551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