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적"(으)로 총 5,301건 검색되었습니다.
- [비주얼 과학교과서] SSG와의 첫 대결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1호
- 행성이에요. 자전축이 공전 궤도와 거의 수직을 이루며 꼿꼿하게 서 있지요. 이 때문에 적도 부근은 종일 강한 태양빛을 받는 반면 극지방은 내내 그림자로 덮혀 있어요.2015년 4월,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수성 탐사선 ‘메신저’가 보내온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수성의 극지방에서 약 30cm 두께의 ... ...
- [수학소설 I 멋진 신세계] 영웅의 아들 제1화수학동아 l2017년 01호
-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게 아니라 출처를 알 수가 없었다. 마고조차도 편지 보낸 곳을 역추적하지 못했다. 엄마는 언제나 하림을 생각하고 있지만 피치 못할 사정 때문에 만날 수 없다며, 하림이 그걸 알았으면 하는 마음에서 매년 편지를 보낸다고 했다.‘그런데 왜 한 번도 찾아오지 않는 거야? ... ...
- [Future] 1초를 둘러싼 전쟁, 윤초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없다. 아직까지 사회적으로 큰 피해나 혼란이 없었기 때문이다. 과학자들도 천문학적인 관점에서는 윤초를 시행하는게 옳다고 생각해 큰 이견은 없는 상황이다.윤초 제도는 2023년까지는 유지될 예정이다.2015년 11월 스위스에서 열린 세계전파통신회의 (WRC)에서 각국 대표들이 윤초 제도의 유지 ... ...
- Part 1. 3진법 소자, 하드웨어 인공지능을 꿈꾼다과학동아 l2017년 01호
- 계산해 인간의 직관을 모방하는 소프트웨어다. 하지만 다치논리회로가 구현되면 적은 양의 전력을 써서 인간의 사고를 모방할 수 있다. 인간의 뇌에 가까이 다가가는 것이다.하지만 3진법을 비롯한 다치논리회로의 전망은 아직 장밋빛이라고만은 할 수 없다. 2진법 소자의 시대가 곧 종말을 맞을 ... ...
- [Origin] 평범한 발상, 비범한 과학자를 만나다과학동아 l2017년 01호
- 그나마 잘 아는 동물은 인간뿐이었다. 인간의 경우를 머릿속에 떠올리면서 사회적 행동의 진화를 이리저리 궁리했다. 해밀턴이 밝혀냈듯이, 혈연은 매우 중요하다. 피는 물보다 진하니까 말이다. 하지만, 인간 사회의 협력은 혈연으로만 설명할 수는 없다. 인간은 피붙이가 아닌 상대도 자주 ... ...
- [Career] 4배체 유전자 개구리, 세계 최초로 해독한 과학자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여럿 있다. 많은 진화학자들이 왜 이런 특징을 보이는지 연구하고 싶었지만 그 동안은 적절한 모델이 없어 연구가 수월치 않았다. 권 교수의 연구 결과는 이런 궁금증을 풀어줄 열쇠다. 권 교수는 “정확한 유전체 지도가 밝혀졌으니, 다양한 분야의 연구에서 유용한 도구로 활용되길 바란다”고 ... ...
- [현장취재] 2016 지구사랑탐사대 수료식 우리는 모두 시민과학자!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4호
- 물론 우리나라 고유종인 민물고기를 소개하기도 했어요. 김정훈 어벤저스는 어릴 적 외가 댁 앞 하천에서 각시붕어를 만난 뒤 민물고기와 사랑에 빠졌다는 이야기도 전해 주었지요. 이후 외래종에 의해 그 수가 줄어들고 있는 민물고기를 보존하기 위한 방법을 연구하고 있답니다.내년부터는 ... ...
- [도전! 코드 마스터] 사이버테러!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4호
- 올해 7월 한 쇼핑사이트에서 1000만 명 이상의 개인정보가 한꺼번에 유출돼 큰 논란이 된 적이 있어요. 이처럼 많은 사람의 개인정보를 해킹해 한꺼번에 빼내가는 것도 일종의 사이버테러예요. 개인정보는 해외 등에서 돈을 받고 판매하거나 범죄에 사용할 수 있는 ‘자원’이기 때문에 사이버테러의 ... ...
- [가상 인터뷰] 돌도끼를 만드는 원숭이가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3호
- 우리처럼자신이 만든 석기를 다른 동료에게 과시하는 동물도 지금까지는 한 번도 관찰된 적이 없다고 하네요.연구팀은 우리가 석기를 만드는 행동과 석기의 모양을 보고, 우연히 돌을 부순 것이 아니라 도구를 만들었다고 결론지었어요. 우와! 너희가 만든 석기는 어떤 모양이야? 우리는 대부분 약 ... ...
- [과학뉴스] 18년간 바다를 감시한 로봇 홍합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2호
- 온도는 주변 홍합의 체온을 의미 한답니다.연구를 이끈 노스이스턴대 헬무스 교수는 “적도 부근의 동식물이 기후 변화의 피해를 가장 많이 입을 것이라는 가설을 확인하려고 로봇 홍합을 만들었다”고 설명했어요. 하지만 18년간 연구한 결과, 연구팀의 예상과 달리 기후 변화로 인한 홍합의 체온 ... ...
이전1481491501511521531541551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