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빛"(으)로 총 5,673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우주를 향해 더 멀리~!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알파 센타우리’예요. 지구에서 각각 4.22광년, 4.37광년 떨어진 별이지요.1광년은 빛이 1년 동안 이동한 거리로, 무려 9조 5000억km나 돼요. 따라서 알파 센타우리는 무려 40조km가 넘는 거리에 있는 거죠. 이는 보이저 1호가 현재 속도로 앞으로 8만 년을 더 가야 하는 아주 먼 거리랍니다.▼관련기사를 ... ...
- [지식] 빛과 거울, 명작의 비밀병기수학동아 l2016년 12호
- 비친 얼굴이 오목거울에 반사된 뒤 마지막으로 캔버스에 맺히게 됩니다. 오목거울은 빛을 한 곳으로 모으기 때문이지요. 오닐은 렘브란트가 이 방법으로 캔버스에 비친 정면 모습을 따라 선을 그렸다고 주장합니다. 실제로 오닐은 직접 실험을 통해 증명했습니다.렘브란트는 당시에 유명한 화가로 ... ...
- [소프트웨어] 꼬마 스티브 잡스 키운다수학동아 l2016년 12호
- 같은 원리로 ‘밤이 되면 방 안의 불이 켜진다’는 명령어를 입력하면, 센서에서 나오는 빛을 손으로 가렸을 때 컴퓨터 속 캐릭터의 방에는 불이 켜진다. 그러면 캐릭터는 침대로 가서 눕는다.수업을 맡은 손경호 교사는 “아이들이 처음에는 어려워해도 곧잘 따라하고, 배운 것을 스스로 응용하기도 ... ...
- [과학뉴스] 광합성도 안 하고, 꽃도 안 피는 식물?과학동아 l2016년 12호
- 타가수분도 함께 하기에, 이 식물은 특이한 경우에 속한다.수엣수구 교수는 이 식물이 빛이 거의 들어오지 않는 숲의 바닥에 살아 광합성을 못하고 균류와 공생하게 됐을 것이라고 추정했다. 또 이렇게 어두운 환경에는 곤충의 접근도 쉽지 않아 자가수분 식물로 진화했을 것이라고 추측했다 ... ...
- Part 2. 백두산 최신 연구 업데이트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전세계로 확산시킨다. 미세한 화산재와 이산화황 등의 가스가 에어로졸을 만들어 태양빛을 가린다. 백두산이 봄철에 분화할 경우 화산재가 남한까지 피해를 줄 가능성이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와 있다.B 화쇄류온도가 수백 ℃인 화쇄류는 흘러내리는 속도가 최고 시속 100km에 달하는 가장 위협적인 ... ...
- [Knowledge] 뉴턴에 날개 달아준 여성 물리학자들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작가 프란체스코 알가로티는 시레이성에 장기 투숙하며 ‘여성을 위한 뉴턴주의, 또는 빛과 색깔에 대한 대화’라는 책을 썼다. 이 책은 한 기사가 후작부인에게 6일 동안 뉴턴의 광학을 쉽게 알려주는 내용이다. 지금 시각으로는 남성이 여성을 일방적으로 가르치는 구도가 불편할 수 있지만, ... ...
- [Career] 상식 넘어선 도전, 빛나는 태양전지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조절할 수 있고, 휘거나 늘릴 수 있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문제는 전기를 만들거나 빛을 내는 효율이 떨어진다는 점이다. 이와 반대로 실리콘 같은 무기물 기반의 태양전지나 발광소자는 효율은 높지만, 공정 과정에서 진공장비가 필요한데다 휘거나 늘어나지 않는다.과학자들은 유기물와 무기물을 ... ...
- [과학뉴스] 케플러, 외계행성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얼마만큼 유사한 환경을 가지고 있는지 분석하고 있어요.케플러 우주망원경 안에는 빛의 밝기를 매우 민감하게 감지하는 ‘광도계’가 들어 있어요. 외계 행성이 공전하면서 별을 가리면 별의 밝기가 감소하는 현상이 일어나요. 광도계를 통해 이 현상을 자세히 분석하면 외계행성의 크기와 형태를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수청이와 제비를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1호
- ”교수님의 외침에 대원들이 즐거워하며 논 안쪽으로 들어갔어요. 갖춰 신은 장화가 빛을 발하는 순간이었지요. 여기저기서 수원청개구리와 청개구리, 금개구리, 참개구리들이 발견됐어요. 대원들은 장교수님과 수원청개구리 연구자인 아마엘 볼 체, 배윤혁 연구원에게 개구리의 특징과 탐사방법을 ... ...
- Part 3. 자꾸자꾸 굽어가는 세상수학동아 l2016년 11호
- 이용해 더 촘촘히 채워 넣었고, 결과적으로 굴절률을 극대화했다. 굴절률이 큰 소재는 빛을 많이 휘게 만들어 스텔스기, 고성능 광학 현미경 등에 활용할 수 있다. 소재 안을 채우고 있는 보이지 않는 곡선이 획기적인 신소재 개발에 결정적 역할을 한 것이 놀랍다.세상은 점점 굽어간다최근 ... ...
이전1481491501511521531541551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