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보자"(으)로 총 4,660건 검색되었습니다.
- 나로호 카운트다운, 뒤는 없다과학동아 l2012년 10호
- 되면 내부 압력이 낮아져 추력이 제대로 생기지 않는다.다시 3차 발사 얘기로 돌아가보자. 2단 고체 킥모터의 FTS 화약장치를 제거했다는 의미는 강제 종료 기능을 없앴다는 말과 같다. 이유는 의외로 간단하다. 2차 발사 실패 원인 중 FTS 오작동 문제를 러시아 측이 지속적으로 제기했기 때문이다. ... ...
- 공룡이 살아있다! 캐나다에과학동아 l2012년 10호
- 대규모로 발굴되는 원인도 공통적으로 물이다. 우선 공룡들이 파묻힌 원인에 접근해 보자. 브래드 터커 공룡주립공원 방문서비스팀장은 “중생대 백악기 말에 이곳은 큰 규모의 강이 흘렀던 것으로 추정되며 무리를 이뤄 살았던 것으로 보이는 센트로사우루스가 강을 건너다가 수장된 것으로 ... ...
- 내장형 저전력연구실, 더 오래가는 스마트폰 배터리 만든다과학동아 l2012년 10호
- 다들 들고 다니는 스마트폰을 보자. 전화는 물론 영상통화, 음악 감상, 동영상 감상, 게임 등 안 되는 게 없을 정도로 기능이 다양하다. 어린 시절 미래의 모습을 상상할 때 꿈꿨던 일이 대부분 가능해졌다. 단 한 가지, 배터리만 빼고. 오래 가는 배터리를 위해 요즘 뜨고 있는 게 ‘저전력 기술’이다 ... ...
- 촉촉하면 도체, 마르면 절연체과학동아 l2012년 10호
- 반죽이 된다. 컬러점토와 고무찰흙, LED 그리고 전지를 이용해 간단한 전기회로를 만들어 보자. 점토로 전지를 만든다 컬러점토는 지금까지 살펴본 것처럼 전류가 잘 흐를 수 있는 전도성 물질이므로 금속의 반응성 차이를 이용하면 과일전지와 같은 ‘전지’를 만들 수 있다. 금속의 반응성은 금속의 ... ...
- 암흑물질 3파전과학동아 l2012년 10호
- 않고 우주에 안정하게 존재할 수 있다. 만약 이 입자가 약한 상호작용을 한다고 해보자. 말 그대로 ‘약한 상호작용을 하는 무거운 입자’가 된다. 바로 윔프다. 때문에 윔프는 물리학자들에게 유용한 초대칭 이론도 뒷받침하고 암흑물질도 될 수 있는 좋은 입자였다. 전세계에 약 20개 정도의 ... ...
- 이탈리아에서 환영받지 못하는 마당발 수, 17수학동아 l2012년 10호
- 네 번째 쌍둥이 소수다. 또한 페르마 소수이기도 하다. 먼저 쌍둥이 소수에 대해 알아보자. 쌍둥이 소수란 두 수의 차가 2인 소수의 쌍, 즉 (p, p+2)인 소수의 쌍을 말한다. 그런데 2를 제외한 짝수 2k는 1, 2, 2k가 약수이므로, 약수의 개수가 3개 이상이 돼 소수가 될 수 없다. 따라서 2를 제외한 모든 소수는 ... ...
- 10화 세계를 바로잡는 첫 발, 다시 학교로!수학동아 l2012년 10호
- 살펴봐.”폴리스였다. 폴리스가 멀리서 일행을 향해 달려오고 있었다. 폴은 폴리스를 보자 든든한 마음이 들었다. 하지만 수위 아저씨는 폴리스가 일행을 향해 더 이상 다가오지 못하도록 했다.“저 놈 도움을 받으려는 거야? 그런 생각은 꿈에도 하지 마! 너 혼자 원상태로 돌려놓는 거야.”폴은 ... ...
- 수학동아 VS 지베안 드가 진짜 캠핑의 달인은 누구?수학동아 l2012년 10호
- 텐트 치기로 시작해 텐트 철거로 끝나기 때문이다. 먼저 텐트의 기본적인 구조를 살펴보자. 텐트는 폴(기둥)과 플라이 시트(막)로 이루어지며, 폴이 만들어 낸 장력(당기는 힘)을 이용해 막으로 그 형태를 유지한다. 여기에 펙(쐐기)과 스트링(당김줄)으로 텐트를 땅에 고정시키고, 지면에서 올라오는 ... ...
- 비·커피·만년필의 물리학과학동아 l2012년 09호
- 비를 가장 적게 맞는 조건을 찾았다.먼저 무한이 얇은 종이 같은 2차원 평면을 생각해보자. 평면이 수직으로 세워져 있고 비가 수직으로 내린다면 ‘수학적으로’ 평면은 비를 한 방울도 맞지 않는다. 그런데 이 상태에서 평면을 이동시키면 진행방향쪽 면으로 빗방울이 들이친다. 이동하는 평면의 ... ...
- Part 1. 2등 정자가 임신한다과학동아 l2012년 09호
- 들어봤겠지만, 난자도 경쟁한다고? 자궁 안에 있는 임신 20주 된 여아의 태아를 찾아가보자. 이 여아는 이미 세포 분열을 통해 난소 안에 600만~700만 개의 생식 세포를 지니고 있다. 이때를 전후해 난자를 싼 주머니인 ‘난포’를 만드는데, 80%인 500만 개 이상의 난포는 성장하지 못하고 퇴화해 버린다. ... ...
이전1481491501511521531541551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