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발견"(으)로 총 10,803건 검색되었습니다.
- [2020 노벨상] 화학상│ 박테리아는 어떻게 침입자의 DNA를 자를까과학동아 l2020년 11호
- 것이 크리스퍼 덕분임을 실험으로 입증했다. 이들은 바이러스에 면역을 가진 유산균을 발견하고 여기에 바이러스의 DNA 일부가 저장됐음을 밝혔다. 바이러스 유래 DNA는 유산균 유전체의 크리스퍼 부위에 저장돼 있었다.그럼에도 풀리지 않는 질문이 있었다. 크리스퍼는 대체 어떤 방식으로 ... ...
- 반은 수컷 반은 암컷, 현실판 ‘아수라 백작’ 자웅모자이크과학동아 l2020년 11호
- 뼈가 길고 조밀했다.연구팀은 이들의 좌우 세포가 거의 완벽하게 분리돼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즉 세 마리 모두 수컷 부분은 남성 염색체를 가진 세포(수컷 세포), 암컷 부분은 여성 염색체를 가진 세포(암컷 세포)의 비율이 훨씬 많았다.연구팀은 추가로 닭의 암컷 세포를 고환(수컷 조직)에 ... ...
- 이상한 우주탐사 아이디어 대잔치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1호
- 우연히 미국항공우주국(NASA) 홈페이지에 들어가 봤는데, 정말 신기한 탐사 계획들을 발견했어! 태양 중력렌즈 망원경? 통통 튀어 다니는 탐사선? 바로 이거야! 여기서 SF 아이디어를 얻어봐야겠어!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 Intro. 이상한 우주탐사 아이디어 대잔치 Part1. 엉뚱하지만 엄청난 우주 ... ...
- [쇼킹 사이언스] 물속에선 내가 왕! 스피노사우루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1호
- 잘 된 것으로 알려졌어요. 그러나 일부가 지층 속에 묻혀 있어서, 과학자들은 2008년 발견 이후 거대한 바위들을 제거하며 지속적으로 뼈화석을 발굴하고 있었어요. 그리고 최근 그동안 형태를 알 수 없었던 꼬리뼈가 완전히 발굴되면서 꼬리 부분이 완벽한 형태로 복원되었어요.연구팀이 복원된 ... ...
- [한장의 과학] 겨울나기 위해 새끼를 먹는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1호
- 거예요. 연구진은 성체 빗해파리의 뱃속에서 새끼 빗해파리(아래 사진 빨간 화살표)를 발견했고, “빗해파리 성체가 새끼를 잡아먹은 것”이라고 설명했어요. 또한 빗해파리는 새끼 해파리를 먹고 난 뒤 별도의 사냥을 하지 않고도 2~3주 정도를 더 버틸 수 있다는 사실도 확인했답니다.연구에 참여한 ... ...
- [특집] 수학의 근간인 공리가 종이접기에도?수학동아 l2020년 11호
- 유명한 종이접기 작가인 로버트 랭이 7번째 공리를 찾아 추가했죠. 이 공리들은 처음 발견한 수학자의 이름을 따 ‘후지타-하토리 공리’라고 불리기도 합니다. 종이접기에서는 당연히 받아들이는 기본 바탕인 만큼 종이접기 전에 꼭 알아두세요 ... ...
- [주접 평론가 피터팍의 아이돌 수학] 펜타곤이 연 새로운 세계수학동아 l2020년 11호
- 이름이 오각형인 아이돌이 있다, 없다?정답은 ‘있다’!10월 12일 미니 10집 ‘WE:TH’로 컴백한 보이그룹 ‘펜타곤’의 이야기다. 그룹 로고부터가 대놓고 도형 ... 잘 알고 있다고 생각했던 오각형이 불가능의 세계를 가능의 세계로 만든 것처럼, 놀라운 발견이 기다리고 있을 테니 말이다 ... ...
- 과학동아 at a glance과학동아 l2020년 11호
- 한다는데요. 나비, 거미는 물론 닭, 북부홍관조 등 조류에서도 자웅모자이크 현상이 발견된 적이 있답니다. 과연 아수라 백작의 염색체에는 무슨 일이 있었던 걸까요? 상상하면 실현된다, SF(84p)☞바로가기SF는 과학기술이 우리 삶을 어떻게 변화시킬지 상상하고 이야기하는 장르입니다. 하지만 그 ... ...
- [2020 노벨상] 물리학상│보이지 않는 블랙홀이 생길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20년 11호
- 과정에서 중력에너지 방출이 있어서 블랙홀이 생성될 수 없다고 예상했지만, 퀘이사 발견 이후에 블랙홀에 대해 재고하게 된다. 휠러와 함께 블랙홀을 의논하던 펜로즈 교수는 별이 구형 대칭이 아니라도 블랙홀이 생성될 수 있을지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 위상수학을 도입해 ‘갇힌 표면(closed ... ...
- [수학자 인터뷰] “수학은 세상에 대한 이해”과학동아 l2020년 11호
- 확실한 것에 너무 집착한 나머지 지금까지 쌓아 놓은 이론에 어긋나는 무리수 2를 발견한(혹은 누설한) 제자 히파수스를 죽였다는 전설도 있다”고 말했다.하지만 그의 생각은 조금 달랐다. 김 교수는 “수학은 세상을 이해하는 학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한 변이 1인 정사각형의 대각선 길이는 ... ...
이전1481491501511521531541551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