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마리오
네트
넷트
오네트
머릿수
수
mari
d라이브러리
"
마리
"(으)로 총 2,737건 검색되었습니다.
세상만사 둥글둥글
수학동아
l
2010년 07호
건설했어요. 나중에 로마와 전쟁을 벌일 만큼 힘있는 나라로 발전했지요. 소 한
마리
로 국가를 세운 디도 공주의 지혜가 놀랍지 않나요?원의 둘레와 π의 발견선생님 : 신기한 도형 원에 대해 조금 더 알아보기로 해요. 여기 동전이 하나 있어요.동전의 지름을 2cm라고 하면, 이 동전이 한 바퀴 굴러간 ... ...
‘뭉치면 살고 흩어지면 죽는’ 꿀벌 초유기체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입으로 다시 뱉어낼 때 효소와 섞여 미네랄이 풍부해진다. 꿀 1kg을 모으기 위해 일벌 5000
마리
가 10번이나 왕복해야 한다.꿀벌이 모으거나 만드는 물질은 이뿐이 아니다. 일벌은 복부 7마디 중 3~6마디에서 생산하는 밀랍으로 집을 짓는다. 벌집에 있는 방은 육각형 모양인데, 일벌과 수벌, 여왕벌이 ... ...
PART 3 똑똑한 곤충의 움직임
수학동아
l
2010년 07호
대표적인 사회성 곤충인 벌의 움직임이 예사롭지 않다. 꽃 주위를 뱅글뱅글 도는 꿀벌 한
마리
가 있다. 잠시 후 꽃 주위에 벌떼가 가득 모여 윙윙~ 거리는 소리가 시끄럽다. 어떻게 된 일일까? 수많은 벌이 제각기 동시에 꽃을 발견하고 왔을까? 그런 일은 불가능하다. 처음 꽃을 발견한 꿀벌이 ... ...
사람은 죽어서 ‘불멸의 업적’을 남긴다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8000원딱따구리 둥지에 동고비 가족이 날아들었다. 저자는 80일 동안 동고비 한 쌍이 새끼 8
마리
를 키우는 모습을 관찰해 글과 사진 300여 컷에 담았다. 딱따구리 둥지를 차지하기 위한 치열한 다툼, 둥지의 리모델링, 새끼에게 먹이를 가져다주는 모습처럼 끈기를 가지고 세심하게 지켜보지 않으면 ... ...
한국 과학에 ‘일러스트 르네상스’ 올까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묘사가 생명이다.한국에서 서식하는 곤충과 식물을 그리는 권혁도 작가는 “곤충 한
마리
를 그리더라도 수십 장의 사진자료를 검토하고 반드시 살아 있는 곤충을 직접 관찰한다”고 말했다. 사진을 찍을 때의 조건에 따라 곤충의 모습이 다른 데다, 곤충이 죽으면 색이 변하기 때문이다. 그는 ... ...
1971년 마샤 맥클린톡의 월경 동기화 현상 발견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수컷 나방 수백
마리
가 서재를 뒤덮은 광경을 발견하는 장면이 있다. 파브르는 암컷 한
마리
가 그 많은 수컷을 끌어들인 비밀을 밝히려고 이런저런 실험을 하지만 결국 실패했다.독일 막스플랑크연구소 페터 칼손 박사와 독일 베른대 마틴 뤼셔 교수는 1959년 ‘네이처’에 발표한 짤막한 논문에서 ... ...
자연의 놀라운 움직임
수학동아
l
2010년 06호
밤, 수리부엉이 한
마리
가 나무 위에서 한 곳을 바라보고 있다. 시선을 따라가니 생쥐 한
마리
가 아무 것도 모른 채 식사를 즐기는 중이다. 수리부엉이는 가만히 날개를 펴는가 싶더니 순식간에 생쥐를 낚아챈다. 속도도 속도지만 생쥐를 덮친 수리부엉이의 비행 곡선은 예술 그 자체다.나무 위에서 ... ...
2010 개인게놈 시대 개막 선언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유전병의 원인을 밝히게 된 과정을 설명했다. 그는 유전성 신경계 질환인 샤르코-
마리
-투스병의 전문가로 그 자신이 이 병을 앓고 있다. 거동이 다소 불편한 그는 컨퍼런스에서도 별도로 마련된, 다리가 짧은 의자에 앉았다. 그는 자신의 게놈을 분석해 병의 원인이 된 유전자 변이 2곳을 밝혀 ... ...
꿀벌보다 못한 인간의 선거방식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행동을 관찰했다.이런 방식으로 실리 교수는 새집을 찾아낼 때까지 정찰에 나선 꿀벌 149
마리
의 행동을 추적할 수 있었다. 꿀벌들은 일단 하루 정도를 정보를 수집하는 데 보냈다. 그런 다음 무리가 있는 곳으로 돌아와 자신이 찾아낸 후보지들을 춤으로 알린다. 다른 정찰 꿀벌에게 자신이 찾은 ... ...
날갯짓 하는 로봇새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움직임까지 영락없는 새처럼 보인다. 그 때문일까. 인근 어은 동산에 서식하는 쇠백로 몇
마리
가 비행체의 꽁무니를 뒤쫓는다.새·곤충을 닮은 로봇 비행체캠퍼스에 출현한 이상한 새의 정체는 KAIST 항공우주공학과 ‘스마트 시스템 및 구조 연구실(SSSLAB)’ 한재흥 교수팀이 개발한 로봇새(SF-2)다. 한 ... ...
이전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