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구분"(으)로 총 3,361건 검색되었습니다.
- 800년 만에 돌아온 고려 시대 보물선과학동아 l2010년 12호
- 발굴 작업을 하는 연구원들을 또 한 번 놀라게 했다. 마도 선박에서 맨눈으로도 구분할 수 있을 만큼 보존이 잘 된 곡물류가 발견된 것이다. 벼와 메밀, 조, 피, 콩깍지 등이 나왔다. 오래된 침몰선에서 곡물이 발굴된 것은 국내에서 처음이다.곡물의 모양과 크기는 현재의 것과 별반 다르지 않다. ... ...
- 동화 같은 자연의 나라, 뉴칼레도니아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12호
- 지었다. 지금은 프랑스에 속해 있다.섬 전체가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하늘인지 바다인지 구분되지 않는 아름다운 바닷가, 그 바다 속에 살고 있는 거대한 산호초와 알록달록한 물고기, 그리고 하늘에서 내려다봐야 보이는 거대한 하트 모양의 맹그로브 습지…. 뉴칼레도니아를 소개하자면 이렇게 ... ...
- 완전수 6이 벌이는 신사 스포츠, 배구수학동아 l2010년 12호
- 이동공격, 고공(오픈)공격, 후위공격 등으로 나뉜다. 이동공격은 시간차공격으로 구분하기도 한다.속공은 크게 A속공, B속공, C속공 세 가지로 나뉜다. 속공의 종류는 공을 띄워주는 세터와 공격수 간의 거리에 따라 분류하는데, 보통 A속공은 1m 이내, B속공은 1~2m 정도, C속공은 3m 이상의 거리에서 ... ...
- 국기로 떠나는 세계여행수학동아 l2010년 12호
- 있듯이 국기도 그만큼 다양하다. 저마다 달라 보이는 국기지만 이 속에는 어느 정도 구분 가능한 규칙이 있다. 영국 해군성은 1955년 ‘세계의 국기’라는 책에서 모든 국기를 일곱 종류로 나눴다. 가로세로 색깔의 차이와 방향을 기준으로 삼은 것이다. 가장 단순한 국기 리비아 국기는 ... ...
- 4 분자, 거울에 비춰보다!수학동아 l2010년 12호
- 대칭인 두 분자는 분자량, 밀도, 끓는점, 녹는점이 모두 같아. 그래서 이 두 분자를 구분하려면 오직 빛을 이용하는 수 밖에 없어.편광이라고 부르는 특수한 빛이 거울상 분자를 통과하면 빛의 진동축이 하나는 시계방향으로 돌아가고, 다른 하나는 시계 반대방향으로 돌아가게 돼. 특별한 아미노산, ... ...
- Part 1. 한의학은 과학이다과학동아 l2010년 12호
- 때문에 한의사들이 주의해서 쓰고 있다는 것. 사실 약물의 부작용은 동서양 의학의 구분이 없다. 이 교수는 “원론적으로 모든 약이 독이 될 수 있다”며 “최근 비만치료제의 경우처럼 대규모 임상을 마치고 시장에 나온 신약이 수년뒤 예상치 못한 부작용으로 철수하는 사례가 드물지 않다”고 ... ...
- 기초결핍증을 이겨 내자!수학동아 l2010년 11호
- 덜해요. 김치찌개엔 묵은지가 제맛이잖아요. 마찬가지로 수학 공부도 겉절이와 묵은지를 구분해야 합니다. 모든공부를 겉절이용으로 해 놓으면 나중에 다른 단원에서 활용하기가 어려워요. 따라서 기초를 다질 때에는 묵은지처럼 꾸준한 시간을 투자하는 것이 중요해요.수학 공부를 할 때, 친구들이 ... ...
- 첨단기술과 인지과학의 만남 로보월드 2010과학동아 l2010년 11호
- 개최된다.체험하며 즐기는 로봇축제행사는 크게 로봇 전시회와 경진대회, 학술대회로 구분된다. 전시회는 벤처기업에서 연구소까지 122개 기관이 신기술을 선보이는 장으로 최신 로봇 기술을 한꺼번에 만날 수 있다. 부산에서 열렸던 작년에는 한국생산기술연구원이 개발한 로봇 물고기가 물속을 ... ...
- 배다해와 장재인의 노래 비법이 궁금해과학동아 l2010년 11호
- 변화가 나타나는 현상을 ‘피치브레이크(pitch break)’라고 한다. 피치브레이크는 남녀 구분 없이300~350Hz 사이에 공통적으로 나타난다. 여성은 남성보다 한 옥타브 정도 높게 발성하므로 피치브레이크 현상은 저음부에서 중음부로 올라갈 때 급격한 변화를 보이는 편이다.남 교수는 “만일 흉성으로 ... ...
- 구부렸다 모았다 ‘빛의 마법사’과학동아 l2010년 11호
- 핫스폿의 크기가 작고 빛이 강하면 분해능이 높아집니다. 분자 크기의 물질을 구분해낼 수 있는 정밀 센서를 만드는 데에 응용할 수 있지요.”최근 이 교수는 플라즈모닉 소용돌이 안에 물질을 집어 넣는 ‘광학 집게’ 현상을 연구하고 있다. 빛의 소용돌이가 강한 에너지를 형성하면서 그 안에 ... ...
이전1481491501511521531541551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