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곳"(으)로 총 10,917건 검색되었습니다.
- 돌멩이 하나에 30억 원? 운석 재테크 해볼까과학동아 l2020년 08호
- 계속 위로 치고 올라오니, 다른 빙하에 떨어진 운석들이 이런 빙하의 이동에 따라 한곳에 모이게 된다. 덕분에 한 장소에서 운석 수천 개가 발견되기도 한다. 현재 지구에서 발견된 6만 개가 넘는 운석 중 70%가량이 남극에서 발견됐다. 연구 목적으로만 방문할 수 있는 남극과 달리 누구나 갈 수 있는 ... ...
- [SF에 묻는다] 매트릭스 vs. 사이코 패스과학동아 l2020년 08호
- 별’처럼 인간이 안락하게 살 수 있는 유토피아를 만들 가능성도 있습니다. 하지만 그곳도 사회를 유지하기 위해 인구수에 제한을 뒀습니다. 남의 통제를 받는다는 건 어떤 식으로든 자유를 잃는 겁니다. 아무래도 매트릭스처럼 전쟁에서 지는 일이 생기지 않는 한 자발적으로 인공지능에게 통제를 ... ...
- [한장의 과학] 어떤 비밀이 담겨있을까? 개구리 두개골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8호
- 팔루 박사과정생은 “멕시코맹꽁이와 호주거북개구리는 계통이 먼 친척이고 서로 다른 곳에 서식하지만, 먹이 습관과 두개골이 비슷하다”는 예를 들었어요. 연구팀은 “생태 환경이 두개골 모양을 변화시켰는지, 혹은 그 반대인지 순서를 알 수는 없다”며, “이 연구가 개구리 두개골 모양에 ... ...
- [주접 평론가 피터팍의 아이돌 수학] 여자친구라는 헤어날 수 없는 미궁수학동아 l2020년 08호
- 다닌다고 생각하면 쉽다. 트레모 알고리듬의 규칙이 복잡하게 보여도 두 번 지난 곳은 절대 지나지 않는다는 사실만 이해하면 쉽게 적용할 수 있다. 표를 보면서 예시 미로를 따라해보고 규칙을 충분히 터득했다면 미로에 갇힌 여자친구에게 알려주자. 여자친구라는 헤어날 수 없는 미로에서 ... ...
- [때문에 과학] 1탄. 꿀잠 좌우하는 심부 체온과학동아 l2020년 08호
- 감지한다. 이 정보는 뇌에서 체온 정보를 취합하는 시각교차앞-전시상하부(PoAH)라는 곳으로 보내진다. PoAH는 다시 수면과 각성을 조절하는 여러 뇌 부위와 연결돼 결과적으로 수면에 영향을 주는데, 아직 그 기작은 자세히 밝혀지지 않았고 일부만 알려졌다.올해 4월 임정훈 울산과학기술원(UNIST) ... ...
- [잡히다] 고래 감옥의 비극이 드러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7호
- 가장 많이 수입하는 국가는 중국이에요. 중국에는 이미 80곳의 대형 수족관이 존재하고, 27곳이 추가로 건설되고 있어요.* 이런 수족관은 고래를 비싸게 사들여요. 범고래는 한 마리에 약 10억 원이 넘기도 하죠.사람들은 수족관에서 고래를 보고 싶어 하고, 사냥꾼은 고래 포획으로 많은 돈을 벌 수 ... ...
- [쉬러가다] 바다 쉼터로 간 흰고래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어떻게 지내고 있어?실내 수족관과 아이슬란드 앞바다의 환경은 매우 달라. 그래서 이곳에 도착했다고 바로 바다로 갈 수 있는 건 아니란다. 지금은 쉼터 옆의 수조에서 사육사들과 바다로 돌아가기 위한 훈련을 하고 있어. 아이슬란드의 날씨가 좋아지는 5월이 가까워지면 바다로 돌아갈 수 있을 ... ...
- [기획] Player. 수학도 속전속결! 게임하면서 배워봐!수학동아 l2020년 07호
- 탈출할 수 있는 맵을 개발했어. 한붓그리기는 붓을 한 번도 종이에서 떼지 않으면서 같은 곳을 2번 이상 지나지 않고 모든 점을 잇는 문제로, 스위스 수학자 레온하르트 오일러 덕에 유명해졌지. 이 문제를 푸는 원리는 최적의 길을 찾는 여러 분야에 쓰이고 있어. 매스마인크래프트는 한붓그리기 ... ...
- [주니어 폴리매스] 게임 디자인 씽킹, 게임 분위기 결정하는 도형 구도수학동아 l2020년 07호
- 고요함 등의 감정을 느껴요. 삼각형은 어떤가요? 정삼각형은 세 변의 길이가 같고 한 곳에 치우치지 않아 안정적으로 느끼지만, 밑변의 길이가 짧을수록 뾰족하기 때문에 날카롭다고 느껴요. 이렇게 사람들은 도형의 모양을 보고 유사한 감정을 느끼는데요, 이를 게임 화면의 구도로 활용해 게임을 ... ...
- 소나기가 내리면 목숨을 걸고 튀어라! 호주 개구리 탐사기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7호
- 5일부터 10일까지 저는 뉴질랜드에서 열린 ‘세계 양서파충류 학회’에 참가했습니다. 이곳에서 시민과학용 앱 FrogID를 만든 호주 자연사박물관의 조디 롤리 연구원을 만났습니다. 2017년에 개발된 FrogID는 시민들이 개구리의 사진과 울음소리 정보를 자유롭게 올릴 수 있는 앱입니다. 개구리와 같은 ... ...
이전1481491501511521531541551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