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궁극
마지막
극도
결과
d라이브러리
"
결국
"(으)로 총 6,098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4. 인공지능의 미래를 가늠하다
과학동아
l
2016년 04호
따르면, 어떤 복잡한 문제는 최적 값을 찾는 데까지 계산 시간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
결국
답을 찾지 못한다. 사람들이 생각하기에, 바둑이 그랬다.‘P-NP’ 문제에 우회로 제시…약한 인공지능 연결해 파급력 ↑실제로 바둑은 경우의 수가 거의 천문학적이다. 바둑알을 놓을 수 있는 점이 ... ...
[Knowledge] 협력과 배신, 그 아슬아슬한 줄다리기
과학동아
l
2016년 04호
약하든 강하든 배신자를 처벌할 때는 모두 생물학적으로 만족감을 느낀다는 의미입니다.
결국
어떤 방식으로든 배신에 대한 대가는 치를 수밖에 없습니다. 다만 집단의 크기와 처벌의 강도 차이가 있을 뿐이죠. 그렇다면 크기가 작고 처벌이 다소 약하다고 느껴지는 집단에서는 배신이 무조건 유리한 ... ...
생존전략 1. 화려한 꽃 미인계
수학동아
l
2016년 04호
이 유전자들이 서로 돕거나 견제하면서 꽃의 각 기관을 만든다는 사실이 밝혀진다.
결국
FT유전자가 꽃을 피우는 데 핵심적인 ‘플로리겐’의 역할을 하는 셈이다.꽃의 각 기관을 만드는 ABC모델미국의 식물학자인 조지 하운과 크리스 서머빌은 애기장대에 돌연변이를 일으킨 뒤 각각 피우는 꽃 ... ...
인공지능, 인간을 뛰어넘은 비밀
수학동아
l
2016년 04호
끝이 났다. 이세돌 9단은 우세하게 대국을 이끌어갔지만, 대국 후반 수읽기에서 실수하며
결국
패배했다. 프로바둑 기사 김영삼 9단은 TV중계에서 “바둑 역사에 길이 남을 만큼 치열하고 흥미진진한 승부였다”고 평가했다.이번 대결은 우리에게 무엇을 남겼을까. 먼저 영화 속에서만 보던 ... ...
Part 1. 알파고가 우리에게 남긴 것들
과학동아
l
2016년 04호
이상 알파고는 이런 약점에 항상 노출 될 수밖에 없다.이 9단이 우리에게 보여준 것은
결국
창의성이다. 인간의 전유물이라고 불렸던 창의적인 작업에 인공지능이 침투하고 있지만 아직까지 그 그물은 헐겁다. 인공지능이 처음부터 독자적으로 쌓아 올린 생각이 아니라, 기본적으로 인간을 흉내 낸 ... ...
[Knowledge] 프놈펜에서 온 편지
과학동아
l
2016년 04호
학생들의 수준을 따라가기에는 실력이 부족합니다. 답답한 학생들이 향하는 곳이
결국
은 도서관입니다. 도서관에 있는 책도 상당수는 외국에서 보내준 책입니다. 한국에서 책을 보내주셔도 좋지만 너무 오래된 책은 사양입니다. 그런 책은 이곳에도 충분하거든요.저를 찾아온 기자님이 고향이 ... ...
[Editor’s Note] 우주의 주름
과학동아
l
2016년 03호
영역은 개미보다 작게 조금씩 늘어났고, 이런 과정이 쌓여 가망 없어 보이는 실험도
결국
성공하게 됐다.아인슈타인은 물질의 존재에 따른 시공간의 주름을 예측했다. 때로 이 주름은 기이한 현상도 상상하게 했다. 시공간을 접고 그 사이에 다리를 놓으면, 막대한 공간 차이를 순식간에 극복할 수 ... ...
[Tech & Fun] 믿는 도끼를 잔뜩 고른 나무꾼은…
과학동아
l
2016년 03호
협력을 어려워하는 것이 소득저하의 원인으로 꼽혔다. 또 행복에 관한 연구를 보면
결국
행복은 좋은 관계에서 온다. 때문에 사람에 대해 너그럽고 열린 마음을 갖는게 장기적으로는 더 좋지 않을까 싶다.필자도 지나치게 신중했거나 높은 기준을 들이밀며 ‘네가 정말 믿을 만한 사람이라면 나의 ... ...
[쇼킹 사이언스] 얼음 호수 속에서 기체가 방울방울~!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3호
그러면 영구동토 속에 함께 얼어 있던 유기물이 녹아서 썩으며 메탄 가스를 만들어 내죠.
결국
아브라함 호수에서는 이렇게 방출되는 메탄과 호수 안에 갇힌 유기물이 썩으며 나오는 메탄이 함께 수면으로 올라오고 있답니다. 몇몇 환경학자들은 이런 현상이 일어나는 걸 걱정하기도 해요.미국 ... ...
[숲이야기 둘] 숲을 살리는 겨우살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3호
겨우살이를 마구잡이로 채취하고 숲을 훼손하는 일이 계속되면 우리나라의 겨우살이는
결국
사라질 수밖에 없을 거예요. 그러면 우리나라 숲 생태계가 큰 영향을 받게 되겠지요. 겨우살이를 먹이나 은신처로 삼던 동물들도 피해를 입고요 ... ...
이전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