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하
밑
아래위턱
위턱
웃턱
윗턱
이하
d라이브러리
"
아래
"(으)로 총 4,217건 검색되었습니다.
원과 점을 한 번에
수학동아
l
201007
관련된 유명한 한붓그리기 문제가 있다.
아래
와 같이 원이 있고 그 중심에 점 하나가 있다.이 그림을 연필을 한 번도 떼지 않고 그리는 것이 문제다. 연필을 이상하게 변형하지 말아야 한다.왜냐하면 보통 연필로 충분히 그릴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 그림은 한붓그리기와는 전혀 관계 없어 ... ...
잠에서 깬 5500년 전 가죽 신발
과학동아
l
201007
발견 당시 신발의 보존 상태는 거의 완벽에 가까울 정도로 좋았다. 함께 발견된 염소뿔
아래
놓여 형태가 잘 보존됐고, 그 위로 염소 똥이 두껍게 쌓여 부패되지 않았다. 동굴의 기온과 습도가 낮아 신발과 함께 발견된 다른 도구들도 상태가 양호했다.신발의 제작 시기는 알아냈으나 2가지가 풀리지 ... ...
1936년 한스 셀리에 박사의 스트레스 현상 발견
과학동아
l
201007
‘부신피질자극호르몬방출호르몬(CRH)’을 분비한다. CRH는 15초 만에 시상하부
아래
에 있는 뇌하수체로 이동해 ‘부신피질자극호르몬(ACTH)’의 분비를 촉진한다. ACTH는 혈관을 타고 수분 내에 부신에 도착해 코티솔을 비롯한 일련의 호르몬(이를 통칭해 당질코르티코이드라고 부른다)을 분비하게 ... ...
‘4대강 살리기’ 현장에 가다
과학동아
l
201007
모래톱이 형성될 수 있다. 팔당댐이 있어서 운반되는 모래의 양에 제한이 있겠지만, 위
아래
로 여닫게 돼 있는 수문 구조 덕분에 모래가 전혀 흘러들지 못하는 것도 아니다. 실제로 최근까지 여의도와 밤섬 등에서 자연적으로 형성된 모래톱이 발견되기도 했다.이현정 연구원은 하천생태학의 ... ...
‘뭉치면 살고 흩어지면 죽는’ 꿀벌 초유기체
과학동아
l
201007
작은 냉장고만 한 상자 안에는 널빤지 모양의 벌집이 책처럼 꽂혀 있다. 상자 한쪽
아래
에 뚫린 작은 구멍으로 수많은 꿀벌들이 기어 나오거나 날아 들어가고 있다. 이 구멍은 꽃꿀이나 꽃가루를 채집하러 가는 벌과 이미 채집하고 돌아온 벌이 집으로 드나드는 대문이다. 상자 하나에는 얼핏 ... ...
떳다! 화석 삼총사
어린이과학동아
l
201007
김종헌 교수님의 도움과 많은 노력이 있었기 때문이라고 생각해요. 뜨거운 뙤약볕
아래
서 무거운 망치와 돌을 들고 대여섯 시간을 쭈그려 앉아 작업하는 것은 쉽지 않았어요. 게다가 지루한 작업을 반복해야 해서 답답하기도 했지요. 대충 보고 넘기고 싶은 마음도 생기고요. 이번 경험을 하면서 ... ...
작은바다 코르디움으로 풍덩~!
어린이과학동아
l
201007
바닷물의 높이 차를 이용해 전기를 만들어. 양쪽 물 높이가 서로 다르면 자동으로 댐
아래
에 있는 터널의 문이 열리고, 이 터널을 통과하는 물이 터빈을 돌려 전기를 만드는 거지. 높이 차가 클수록 전기도 더 많이 만들 수 있단다.바다의 소리 ▲ “ 딱딱딱!” 들어 봐. 딱총새우의 울음소리야. ... ...
펠리노의 정체를 찾아서~ 안데스 잉카 문명을 찾아서
어린이과학동아
l
201006
친숙한 동물이었어. …그런데 땅을 상징하는 펠리노가 무슨 동물인지 알고 싶다고? 저
아래
재규어에게 물어 봐~. ▲ 나스카의 새 무늬 사발 (페루 국립고고인류역사학박물관)나스카는 땅에 그려진 거대한 동물 그림이 유명해. 한때는 외계인이 그렸다는 이야기도 있었지만, 지금은 안데스 산맥에 ... ...
사건파일 1 공룡뼈의 정체를 밝혀라!
수학동아
l
201006
이빨을 봤겠지만 이 공룡의 턱에는 수백 개의 이빨이 벌집처럼 들어차 있거든. 위턱과
아래
턱이 만나면 그 사이의 이빨뭉치가 먹이를 맷돌처럼 갈아 버렸을 거야. 나무껍질처럼 거친 식물도 거뜬히 씹을 수 있지.위 속의 돌공룡 화석에는 위가 있던 자리에 많이 닳은 돌이 함께 발견되는 경우가 있다. ... ...
안정한 움직임
수학동아
l
201006
좌우대칭뿐 아니라 상하대칭도 있다. 이미. 피디, 이이피 등은 가운데 축을 기준으로 위
아래
가 대칭을 이룬다. 이처럼 직선을 기준으로 양쪽이 완전히 겹치는 것을 선대칭이라고 한다. 봄이면 한 해의 행운을 기리며 대문에 써 붙이는 문장 '立春大吉(입춘대길)'은 네 글자 모두가 선대칭을 이루고 ... ...
이전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