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료
먹거리
식량
음식
먹을거리
양식거리
양식
d라이브러리
"
먹이
"(으)로 총 1,616건 검색되었습니다.
우리 귀에 들리지 않는 곳에서 맹활약한다 초음파의 세계
과학동아
l
198906
식별해 피해가는 것이다. 또한 초음파는 박쥐의 '생존의 비결'이기도하다. 즉 곤충등
먹이
를 잡는 방법에 사용되는 것이다.들리지 않는 소리초음파는 이름 그대로 음파의 일종이다. 그러나 인간이 들을 수 없는 음파의 하나다. 인간의 귀로 들을 수 있는 음파의 주파수 범위는 대략 20Hz-20kHz인데 이를 ... ...
상어보다 무서운 유독 가오리와 창꼬치
먹이
로 달래 친구처럼
과학동아
l
198906
이따금 찰칵소리를 내어 멀리에서도 들을 수 있다는 등의 소문이 있다. 이번 우리가
먹이
를 주었을 때의 경우를 회상하면 창꼬치가 느닷없는 전격공격을 하는 것은 틀림없다.창꼬치가 사는 곳에서 잠수자는 될수록 조용하고 유연하게 움직일 것 그리고 창꼬치를 미리 발견하기는 힘들지만 만약 ... ...
'생명체는 음(-)의 엔트로피를 먹고 산다' 엔트로피란 무엇인가?
과학동아
l
198906
풀을 먹고, 개구리는 메뚜기를 잡아 먹고, 송어가 개구리를 먹고 인간이 송어를 먹는
먹이
사슬을 가정해 보자. 이때 한 사람이 1년을 살기 위해서는 3백마리의 송어가 필요하다. 또 3백마리 송어는 9만마리 개구리를, 개구리는 2천7백만마리의 메뚜기를, 메뚜기는 1천톤의 풀을 먹어야 한다.이렇게 볼 ... ...
마지막 남은 청정지역
과학동아
l
198906
많이 있으며 이것을 작은 동물들이 먹고 또 그 동물들을 보다 큰 동물들이 먹는 등,
먹이
고리가 형성돼 있는 것이다.실제 과거나 현재 지구에 살았던 가장 큰 동물인 거대한 푸른색 고래는 남극에 본거지를 두고 있다. 이 고래는 지상에 살았던 가장 큰 공룡보다 무게가 배나 되는 1백50t이나 나간다. ... ...
한반도 거의 전역에 구석기인 살아
과학동아
l
198906
가려서 먹는데 이용되기도 했다. 특히 뼈속의 핏집(골수)은 그들에게 영양이 많은 좋은
먹이
였다.이런 일을 하기 위해서는 우선 석기를 만들어야 했다. 뼈연장을 만들기 위해서는 뼈도 깨고 깎아야 했다. 또 나무를 잘라서 자루를 달고 뾰족하게 깎아서 창으로 쓰기도 하였다. 석기만들기 사냥하기 ... ...
발명왕이 되는 10계단
과학동아
l
198905
장려하고 있다. 실용신안제도가 바로 그것이다.예를 들면 일본 무까이사(杜) C사장은 '
먹이
를 먹으러 들어가면 나오지 못하는 쥐틀'이라는 남의 아이디어를 빌려 같은 원리의 바퀴벌레틀을 만들어(발명) 6억엔어치나 팔았다. 또한 일본의 오오노씨는 어린 시절에 '파리가 붙으면 죽는 끈끈이 종이'를 ... ...
생물의 갖가지 형태가 갖는 의미
과학동아
l
198905
길이는?진드기가 자신의 종족을 보존하려면 우선 그 수가 많아야 한다. 동시에 오랫동안
먹이
가 없어도 살 수 있는 능력도 갖추고 있지 않으면 안된다. 사실 진드기는 이 방면에서 놀라운 능력을 가지고 있다. 호스토크의 동물학연구소에는 18년간 단식하고 있는 진드기가 아직도 살아있는 상태로 ... ...
춥고 낯선 땅에서 오히려 번성 남극주변에 실려온 북반구의 고양이·토끼·쥐·순록
과학동아
l
198904
순록을 처음 지구의 북쪽끝에서 남쪽 끝으로 싣고 갔을때 사람들은 계절이 뒤바뀌는데다
먹이
가 전혀 생소해 순록이 살아남을지 의문스러워 했다. 처음 2년간은 순록의 숫자가 줄었지만 그후에는 정상적인 생식 사이클을 회복했다. 1925년에 싣고간 7마리의 순록이지난 70년대 중반에는 1천여마리로 ... ...
두손으로 가슴을 치는 사연은? 고릴라
과학동아
l
198904
이들이 뜯어 먹는 풀잎은 대개 쓴 맛을 내는 것들이다. 정글에서 사는 고릴라들은 동물성
먹이
는 전혀 먹지 않지만 동물원에서 기르는 고릴라는 고기는 물론 사람이 먹는 음식을 거의 다 먹는다.고릴라는 언어가 없다. 그러나 약 22가지나 되는 소리를 내어 의사소통을 하고 있다. 또 사람처럼 하품도 ... ...
농약의 발암성
과학동아
l
198903
제초제 리뉴론에 오염되어 있으며 표에서도 알 수 있듯 발암성이 높은 식품이다. 이 콩을
먹이
로 미국에서 기른 원숭이가 기형이 되었다는 것이 밝혀져 한때 크게 논란이 인적이 있었다.충분하지 못한 농약분석미국의 연구회의 보고서에 의해 모든 농약에 발암성이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그러나 ... ...
이전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