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능
활동
영향
효과
힘
작인
작업
뉴스
"
작용
"(으)로 총 4,749건 검색되었습니다.
인간이 개를 길들인 비결은…"동물에게도 통하는 이타심"
동아사이언스
l
2023.01.17
97명의 어린이를 모집해 논문 저자의 반려견 3마리와 함께 울타리 안에서 이뤄지는 상호
작용
을 관찰했다. 안전을 위해 모든 실험은 부모가 동행한 상태에서 진행했다. 3마리의 반려견은 모두 어린이 친화적이었다. 반려견이 발이 닿지 않는 곳에 있는 장난감이나 간식을 보며 발로 울타리를 긁거나 ... ...
코로나 외산백신 값 5배 오르는데 국산 백신·치료제는 퇴출 수순
동아사이언스
l
2023.01.16
백신 접종 권고 기조가 유지되는 가운데 향후 백신 구매에 필요한 비용이 부담으로
작용
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현재 국내 코로나19 예방접종 체계에서 사용되는 2가백신 4종은 모두 화이자와 모더나의 제품이다. ● 국산 백신‧치료제, 주류 제품과는 다른 개발방식…변이 대응하지 못해 ... ...
험준한 지형·오래된 연식이 네팔 항공기 사고 불렀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1.16
트래커들에게는 인기 있는 관광지이지만 항공기 조종사에게는 까다로운 위험요소로
작용
한다. 아밋 싱 인도 안전문제재단 창립자는 인도 ANI 통신과의 인터뷰에서 "네팔의 산악지형은 매우 까다롭고 조종사의 훈련 수준이 높아야만 한다"며 "깊은 계곡 사이로 공항이 있고 사방이 높은 산으로 ... ...
AI 설계 '인공단백질', 백신·치료제 개발속도 앞당겨
동아사이언스
l
2023.01.16
암 치료제를 연구하려면 치료후보 물질이 우리 몸에 있는 2만여개의 단백질에 어떻게
작용
하는지를 확인해야 한다. AI의 계산력은 여기에 소요되는 작업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여준다. 질환을 일으키는 특정한 바이러스나 세포를 치료하는 데 가장 적합한 단백질 구조도 빠르게 설계할 수 있다. 수많은 ... ...
[표지로 읽는 과학] 연무, 행성의 베일을 벗길 열쇠
동아사이언스
l
2023.01.15
구성된 연무는 아직도 미지의 세계"라며 "연무가 무엇이며 어떻게 발생하고 어떻게 상호
작용
하는지를 밝히지 못한다면 퍼즐의 한 조각을 놓치고 있는 것"이라고 밝혔다. ... ...
2027년 '아라온호'보다 강한 쇄빙연구선 극지 누빈다
과학동아
l
2023.01.14
아라온호의 기자재 내한성능이 영하 30℃ 수준인 것도 연구 일수 확보에 한계로
작용
했다. 기자재 내한성능이란 쇄빙연구선 내 모든 장비가 해당 기온 조건에서도 정상적으로 작동한다는 뜻이다. 그런데 영하 30℃의 내한성능으로는 겨울철 극지방에서 연구 및 실험이 불가능하다. 아라온호의 ... ...
나이 든 아버지가 돌연변이 유전자를 많이 물려주는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23.01.13
통해 정자에서 형성되는 유전자 복구 매커니즘이 유전자 돌연변이 대물림에 어떻게
작용
하는지 밝혔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생태학과 진화’에 12일(현지시간) 게재됐다. 연구팀에 따르면 나이 든 아버지가 젊은 아버지보다 더 많은 유전자 돌연변이를 물려주는 이유는 그동안 ... ...
근위축증·수면병 치료제…올해 주목할 임상시험 11개는
동아사이언스
l
2023.01.11
치료제다. 알츠하이머 발병에 관련된 아밀로이드베타 단백질을 제거하는 방식으로
작용
한다. 바이오젠은 지난해 9월 치매 초기 단계 환자를 대상으로 한 대규모 3상 결과를 발표하며 인지 및 기능 저하를 27% 지연시키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 초기주를 ... ...
암세포와 싸우는 'NK세포'
작용
조절하는 새 면역관문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3.01.10
있지만 면역 관련 이상반응과 같은 부
작용
이 문제였다. NK세포의 결합을 억제하면서 부
작용
위험이 적은 면역관문을 찾는 것은 학계의 관심사였다. 연구팀은 NK세포가 감염 세포와 결합하는 면역학적 시냅스(IS) 형성을 방해하는 신규 면역관문을 발굴하기 위해 면역억제 단백질(Nogo A)을 ... ...
나노기술로 암·알츠하이머 유발 단백질 형성 원리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1.10
밝혀냈다. 특히 노치 수용체와 리간드(수용체와 결합해 활성을 조절하는 물질)간 상호
작용
과 수용체의 첫 번째 절단 과정은 접착연접 구조 바깥에서, 두 번째 절단 과정은 접착연접 구조 내에서 일어난다는 것을 발견했다. 활성화되기 전 노치 수용체의 크기는 접착연접 너비보다 커 접착연접 ... ...
이전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다음
공지사항